BRT는 Bus Rapid Transit의 약자로 간선급행버스 또는 간선급행버스체계라고 한다.
BRT 편람에서는 기존 버스체계에 철도운영 개념을 도입한 새로운 대중교통 시스템으로서...
주요 기반시설과 운영시스템(버스통행권, 교차로 신호우선처리, 쾌적한 차량, 편리한 환승시설, 효율적 관리시스템, 운영서비스 등)을 갖추어 통행속도, 정시성, 수송능력 등 버스 서비스를 지하철 수준으로 대폭 향상시킨 저비용, 고효율의 대중교통시스템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간선급행버스 설계지침에서는 버스전용차로, 편리한 환승시설, 교차로에서의 버스우선통행권 및 그 밖의 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사항을 갖추어 급행으로 버스를 운행하는 교통체계로 정의하고 있다.
BRT 기반시설 설치형식에 따라 신교통형과 일반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또 다른 해설(국토연구원)
BRT란 승객중심의 대중교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운행되는 고성능 버스로 편리하고 비교적 저렴한 요금으로 운행되는 버스의 일종이다.
통행권이 보장된 버스전용차로에 대용량 버스를 도입·운행하여 버스의 주행속도를 향상하고 지하철과 같은 수준의 운행 정시성을 확보함으로써 버스이용에 대한 대중의 인식전환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신교통수단이다.
BRT란 용어는 여러 국가에서서 Rapid Bus, Metro Bus, High Capacity Bus Systems, High Quality Bus Systems, Express Bus Systems, Busway Systems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BRT로 운행되는 버스는 기존 버스에 비해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낮은 저상버스여서 노약자나 장애자들에게 개선된 버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승객편의를 고려하기 위한 시설로는 안내전광판을 통한 실시간 버스정보제공시설, 굴절버스인 경우에는 여러 개의 출입문을 통하여 승하차할 수 있는 시설들이 있다.
BRT는 버스정보/관리 시스템인 BIMS(Bus Information & Management System)와 같은 첨단기술과 접목되어 운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차로에 정차하고 있는 버스의 경우 도로에 설치된 검지기에서 버스에 장착된 전송기(Transporter)를 통하여 버스가 대기하고 있음을 교차로에 있는 신호제어기에 알리면 신호기에서 버스통행 우선신호를 부여할 수 있다.
BRT 구축에 필요한 비용은 기존 대도시에서 지하철을 구축할 때 드는 비용의 5% 정도에 불과하며 사업기간도 18개월 정도로 짧아 수도권과 같은 광역교통난을 해소하기에 적합한 대중교통수단으로 평가되고 있다
첫댓글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