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발표한 MD계획과 관련해서 지금 추진되고 있는 KM-SAM(철매2사업)
KM-SAM이 PAC-3보다 성능이 떨어진다고 이야기를 하시는 분들도 있는 것 같은데,
KM-SAM은 러시아의 S-400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을 도입한 것으로 성능에서
떨어지지는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래 KM-SAM(철매)과 S-400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였으니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출처 : 위키백과사전, 사진 : S-400




KM-SAM 개발사업은 대한민국의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개발 사업으로서,
알마즈 설계국과 화켈 설계국의 S-400 지대공 미사일 기술을 도입해서 자체 개발하는 방식으로
사업이 진행중이며, 2008년에 사업이 완료
"철매2 사업"이라고 한다.
- 구분
- KM-SAM : 한국의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체계 개발사업
- SAM-X : 한국의 미국산 패트리어트 지대공 미사일 체계 도입사업
추진 배경
본 사업을 추진하게 된 배경은 기존에 방공포병(공군 소속으로 중거리 이상의 대공 방어를 책임짐)의
주력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로 운용 중인 호크미사일과 나이키 허큘리스 미사일이 워낙 오래되어
더 이상 운용하기 힘든 수준이기 때문이다.
두 미사일 모두 1950년대에 개발된 대공미사일로 이 미사일로 격추할 수 있는 가상 적기도 별로 없을 뿐더러
워낙 오래 전에 생산되어 가만히 놔두어도 자폭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기 때문이다
(나이키 같은 경우, 미국도 1979년에 제식 장비 목록에서 삭제하고 퇴역시켰다).
천마 대공미사일과 비호 자주대공포같은 시스템이 개발되어 배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천마의 경우 단거리 대공미사일 체계이고 두 시스템 모두 주로 야전부대와 함께 행동하는
이동식 대공방어 시스템으로 개발된 관계로 중거리 거점 방어용 대공미사일은 아니다.
공군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사업을 추진 중이다.
장비 구성
KM-SAM은 최초배치연도를 2011년으로 설정 1개 포대는 목표수색과 미사일 유도를 담당하는
다기능 레이더(MFR)차량 1대와 포대을 지휘하는 지휘통제차량 1대,
그리고 8기의 발사관을 장착한 발사대 차량 6~8대로 구성된다.
발사관의 경우에는 S-400의 9M96E와도 호환되며 KM-SAM의 미사일은
9M96E와 유사한 특성을 보이고 있는것이 특징이다.
사업 추진 일정
- 1999-09-29 한국형 중거리 대공유도무기(K-MSAM)에 280만달러의 로열티를 러시아에 지불했다.
- 2000-10-17 군 일각에선 ▲전장(전장)이 좁은 한반도에선 북한 스커드 B/C 미사일의 비행시간이 6~8분에 불과해 요격이 매우 어렵고 ▲걸프전 당시 패트리어트 미사일의 요격률이 매우 낮았으며 ▲미사일 요격능력을 가진 국산 중거리 대공미사일(K-MSAM)을 자체 개발 중이기 때문에 막대한 돈을 들여 패트리어트를 구입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어 사업 타당성 문제를 놓고 논란을 빚어왔다.
- 2001-02-23 국방부는 2조원 규모의 차기 유도무기(SAM-X) 사업에 단독참가한 미국 레이시온사가 향후 협상과정에서 합리적인 가격조건을 제시하지 않으면 사업 자체를 전면 재검토키로 했다.국방부는 22일 이 사업이 무기연기될 경우 현재 개발중인한국형 중거리 대공미사일(K-MSAM)로 기능을 대체,전역미사일방어체제(TMD)를 구축하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패트리어트미사일 제조업체인 미국의 레이시온사는 지난 99년 그리스가 도입한 가격보다 20∼30% 높은 가격을 제시해 반발을 사왔다.
- 2005-01-06 국방부는 대공방어망 구축에 필수적인 차기유도무기(SAM-X) 사업은 예산 확보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중장기적으로 반드시 추진할 계획이라고 재확인했다.
- 2005-04-20 순수 방어용인 이 미사일은 지난해 12월 국방부의 차기유도무기(SAM-X)사업이 백지화되면서 현재 사거리 40㎞의 호크 미사일과 180㎞의 나이키 미사일을 함께 대체하는 방공미사일로, 군이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2005-04-25 국방장관과 세르게이 이바노프 러시아 국방장관은 22일 모스크바에서 열린 양국 국방장관 회담에서 ‘한·러 간 무기기술 이전과 공동 연구개발에 관한 방산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밝혀졌다.또 양국 간 ‘비행정보 교환용 긴급 통신연락체계(핫라인)’ 조기 설치에도 합의했다.
- 협상에 참여한 국방부 관계자는 “MOU는 기존의 완제품 위주 러시아제 무기수입에서 탈피, 미사일 기술협력을 바탕으로 한 공동 무기개발을 목표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한·러 양국이 체결하기로 한 양해각서에는 우주와 미사일 분야의 기술협력이 포함된 것으로, 한국측은 양국의 방산분야 공동연구와 무기개발 없이는 더이상 러시아제 무기 수입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강하게 전달했다고 전했다.
- 한국 국방부는 오는 2008년 완료 목표로 추진 중인 중거리방공미사일(K-MSAM) 개발을 위해 대공유도탄 분야 등 러시아측의 기술도입 필요성을 인식, 적극 추진해 왔다.
----------------------------------------------------------------------------------------------
Triumf S-400은 러시아의 최신형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을 말한다.
S-400 Triumf (Russian C-300ПМУ-3/С-400 "Триумф" - triumph, 나토 제식명 SA-X-21)는 1999년에 소개되었다.
개칭되기전에는 S-300 PMU 3라고도 호칭되었다.
S-400은 S-300PMU (SA-10) 시리즈를 업그레이드한, 새로운 세대의 대공미사일 시스템으로서,
알마즈 중앙 설계국(Almaz Central Design Bureau)에서 개발되었다.
파켈 기계설계국(Fakel Machine Building Design Bureau),
노보시비르스크 과학 연구 협회(Novosibirsk Scientific Research Institute of Instruments),
세인트페테르부르크 특별 기계 설계국(St. Petersburg Design Bureau of Special Machine Building) 등의
다른 기관들도 개발에 참여했다.
목표물에 따라서 사정거리 40km 부터 400 km 거리의 공중 목표물을 요격하고 파괴하도록 고안되었으며,
저고도 비행물체에 대한 탐지능력을 포함시켰다.
최대속도 초속 4.8 km로 비행하는 공중 목표물을 요격할 수 있다.
Triumf 시스템이 탐지하고 요격할 수 있는 대상은 다음과 같다:
- 전투기/폭격기 (스텔스 폭격기 포함 - 그러나 탐지거리는 제한적임)
- 크루즈 미사일
- 탄도 미사일
- 조기경보기
- 전술항공기와 전략항공기
S-400 Triumf의 테스트는 1999년에 시작되었다. S-400 시스템은 S-300의 미사일을 사용한다.
그러나 낮은 레이더 피탐지율(RCS, Radar Cross Section)의 스텔스 비행기,
예컨대 B-2 스피릿, F-117 나이트호크, F-35 등에 대해 더욱 뛰어난 탐지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소형 크루즈 미사일에 대한 대응기능이 향상되었다.
S-400이 운용하는 미사일은 항공기, UAV, 순항미사일을 주로 요격하도록 설계된 9M96E와 탄도탄 요격을 위해
미사일 하부의 로켓 모터를 강화한 9M96E2가 있으며 AEW & C와 대형 항공기를 장거리에서
요격하기 위해서 설계된 'Big'이라고 호칭되는 미사일을 운용 할 계획이다.
제원
S-400 시스템
- 동시요격목표물: 12개
- 발사관: 1개 발사대에 48N6E 미사일 발사관 4개 탑재. 발사관당 1개의 장거리 미사일 또는 4개의 단거리 미사일 탑재.
- 미사일: 48N6E 장거리 미사일과 9M96 단거리 미사일로 구성
- 공격대상: 비행기, 순항 미사일, 초속 4.6km 속도의 중거리 탄도 미사일, 지상 레이더 시설, 지상 벙커.
- 레이더:
- 96L6 목표물 획득 레이더: L 밴드, 탐지거리 300 km
- 목표물 획득 레이더: 탐지거리 700 km
- Grave Stone 목표물 추적 레이더: I/J 밴드, 탐지거리 300 k
48N6E 미사일
- 무게: 1,700 kg (3,700 lb)
- 직경: 0.52 m (1.69 ft)
- 길이: 6.98 m (22.91 ft)
- 날개폭: 1.04 m (3.40 ft)
- 탄투: 180 kg (390 lb)
- 추진방식: 고체로켓
- 최대사거리: 400 km (240 mi)
- 최소사거리: 3.00 km (1.80 mi)
- 최대고도: 30,000 m (98,000 ft)
- 최저고도: 10 m (32 ft)
9M96 미사일
- 미사일 발사관: 1개의 48N6E 발사관에 4발의 9M96 미사일을 탑재
- 무게: 420 kg (920 lb)
- 직경: 0.52 m (1.69 ft)
- 길이: 6.98 m (22.91 ft)
- 날개폭: 1.04 m (3.40 ft)
- 탄투: 24 kg (52 lb)
- 추진방식: 고체로켓
- 최대사거리: 120 km (75 mi)
- 최소사거리: 1.00 km (0.60 mi)
- 최대고도: 30,000 m (98,000 ft)
- 최저고도: 5.00 m (16.40 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