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의류 및 부속류(HS Code 6100)
□ 선정사유
ㅇ 중국 의류시장 지속 확대 및 의류에 대한 대한국 수입 증가
- 중국 의류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추세이며, 디자인과 가성비가 우수한 한국 제품의 성장세도 중국 시장 내에서 두드러짐.
- 중국 정부에서 2018년 7월 1일부로 의류제품에 대한 관세 추가인하를 시사함에 따라 외국기업의 진출 가능성 확대
□ 시장규모
ㅇ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17년 중국 의류산업 매출액은 1조9200억 위안으로 전년동기대비 6.0% 성장했으며, 2012~2017년간 연평균 복합성장률(CAGR)은 6.2%에 달함.
중국 패션산업 매출동향

자료원: 중국 보고망(中国报告网)
ㅇ 생산량 증가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2011~2016년간 중국 의류생산량은 5년 연속 증가추세를 보였는데 254억2000만 벌에서
314억5200만 벌로 증가해 연평균 복합성장률은 4.4%를 기록함.
- 하지만 2017년 이후 전자상거래를 필두로 한 신유통이 국가정책에 반영되면서 산업 업그레이드가 진행됐고, 생산량이 287억8100만 벌로 최근 6년 이래 처음으로 감소세를 나타냄.
ㅇ 중국 산업정보통계자료에 따르면, 2011년 중국 의류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2035억 위안을 기록했으며, 2016년 해당 시장규모는 9343억 위안까지 성장해 전년동기대비 25% 성장함.
- 2011~2016년 연간복합성장률은 36%를 기록해 전체 의류시장에서 전자상거래 거래방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14% 수준에서 2016년 37%로 크게 성장함.
□ 시장동향
ㅇ 중국 의류산업은 과거 ODM 방식에서 OBM 방식으로 변모함.
- 그 이유로는 천을 짜는 실, 원단, 옷의 부재료 등 원자재와 중간재의 브랜드 가치가 점차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고, 국내외 소비자
들이 가지는 브랜드에 대한 인식도도 높아졌기 때문임.
ㅇ 남자 의류의 경우, 전반적으로 시장이 침체 국면에 있으나, 중고가시장은 오히려 성장 국면에 있음.
- 최근 경기하방 압력 및 제품 변화주기가 길어 남자의류시장은 어려운 상황에 직면한 상황이며, 2017년 남자의류 시장규모는 5500억 위안 수준으로 4년 연속 3~5% 성장에 그쳤음.
- 반면, 비즈니스 네트워킹의 필수품인 중고가 남성 의류시장은 관련 브랜드의 정보기술과 의류를 결합한 제품을 잇따라 출시하며, 고가의류시장에서 남성 비율을 70%까지 끌어올렸음.
ㅇ 의류 구매의 주요 루트인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의류는 가격적인 부분이 가장 큰 고려 대상이며, 1선 도시를 중심으로 전자상거래
소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전자상거래 소비 침투율은 1선 도시가 여타 도시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단적인 예로 2015년 전자상거래 소비
침투율은 1선 도시는 8.4%이고 4선 도시는 3.6%을 기록했음.
- 특히 1선 도시는 임금이 높지만 생활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관계로 수입과 소비가 정비례하지 않는 상황이 다수 발생해, 의류와
같은 소비재 제품 구매 시 가성비를 가장 으뜸으로 두는 것으로 나타남.
- 2016년 전자상거래 소비에서 전체 소비자의 40%가 제품 구입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가격으로 응답함.
ㅇ 온라인에 대한 수요도 많지만 가격변동이 다른제품에 비해 적고, 옷은 직접 입어봐야 한다는 성향도 있어 오프라인 구매 인구도
많은 것으로 나타남.
- 그 원인으로 가장 큰 것은 의류의 경우 2007년부터 2017년간 가격지수 상승률이 10%에 지나지 않았지만 소매물가지수는 2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품의 경우 그 수치가 6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 2002~2017년간 상기 세 종류의 수치 상승률은 각각 4%, 31%, 104%를 기록하며 더욱 더 큰 차이를 보였음.
□ 수입규모 및 동향
ㅇ 중국 의류 수입규모는 2015년 23억978만 달러, 2016년 23억9788만 달러, 2017년 27억8619만달러를 기록함.
- 수입증감률은 2015년, 2016년, 2017년 각각 전년동기대비 11.7%, 3.8%, 16.2%를 기록하며 빠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음.
중국 의류 수입동향(HS Code 6100 기준)
구분 | 수입액(천 달러) | 증감률(%) |
2015년 | 2,309,788 | 11.7 |
2016년 | 2,397,884 | 3.8 |
2017년 | 2,786,195 | 16.2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ㅇ 중국 10대 수입국 동향을 살펴보면 베트남·캄보디아·인도네시아 등 위주의 저가시장, 한국·포르투갈 등 중고가 시장, 이탈리아 위주의 고가시장으로 나눠져 있음.
ㅇ 수입증감률을 보면, 2017년 대한국 수입액은 전년대비 17.5%를 기록하는 등 중국 내 수입액 기준 10대 국가 대다수가 두자릿 수 성장률을 기록함.
2017년 중국 의류 국가별 수입규모(HS Code 6100 기준)
국가명 | 수입액(천 달러) | 증감률(%) |
베트남 | 497,801 | 26.5 |
이탈리아 | 315,528 | 20.6 |
캄보디아 | 222,382 | 29.9 |
방글라데시 | 202,191 | 0.3 |
포르투갈 | 160,060 | 34.6 |
인도네시아 | 159,864 | 34.6 |
터키 | 141,710 | 7.4 |
태국 | 108,796 | 12.2 |
한국 | 79,096 | 17.5 |
북한 | 65,254 | -41.7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대한국 수입규모 및 동향
ㅇ 중국 의류의 대한국 수입규모는 2013년 6150만 달러 수준이었으나, 2017년 그 수입액이 7909만 달러까지 늘었음.
ㅇ 수입증감률은 2014년을 제외하고 지속 성장하고 있으며, 2017년에는 전년대비 17.5% 성장해 최근 5년 이래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함.
중국 의류시장 대한국 수입동향(HS Code 6100 기준)
구분 | 수입액(천 달러) | 증감률(%) |
2013년 | 61,505 | 4.8 |
2014년 | 59,367 | -3.5 |
2015년 | 63,102 | 6.3 |
2016년 | 67,333 | 6.7 |
2017년 | 79,096 | 17.5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제품 형태별 경쟁동향, 주요경쟁기업, 유통 형태
제품형태 | 캐주얼 | 여성의류 | 패셔너블 | 온라인 구매 | 고급 여성의류 |
출범시기 | 1980년대 이후 | 1990년대 후반 | 2000년 이후 | 2003년 이후 | 2000년 이후 |
유통망 형태 | 전문점, 쇼핑몰 입점 | 쇼핑몰 입점 | 쇼핑몰 대규모 입점 | 온라인 플랫폼 | 쇼핑몰 입점 |
로컬 인기 브랜드 | 메이방(美邦), 센마(森马), 즌웨이스(真维斯) | 거리야(歌莉娅), 쯔유니오(自由鸟) | meters/bonwe (美特斯邦威) | 한두이시어(韩都衣舍) 비롯한 여러 가지 티몰 플랫폼에서 인정 받은 브랜드, 유명 오프라인 패션 브랜드의 온라인 플랫폼 | Marisfrolg (玛丝菲尔), LANCY(朗姿), EP( 雅莹) |
해외 인기 브랜드 | GIORDANO(佐丹奴), U-RIGHT(佑威), BOSSINI(堡狮龙) | ONLY, VERO
MODA, ETAM等 | ZARA, H&M,
UNIQLO等 | ONLY 등 명품 티몰에 입점 | MAXMARA,
MIUMIU, MARNI |
시장 현황 | 2000년 이후 경쟁확대로 저가 가격 위주로 형성 여러 제품 형태 출시 이후 큰 타격 | 해외 브랜드가 시장점유율에서 압도적이며, 유명 브랜드 위주 시장 점유 | 해외 브랜드가 대규모 자금 및 빠른 영업전략을 앞세워 중국 시장 점유 | 해외 브랜드는 낮은 가격 및 품질 문제 직면, 전통 브랜드 온-오프라인 판매 균형문제 직면 | 시장은 현재 성장 중이고, 브랜드 집중도가 낮으며, 진입장벽이 비교적 높음 |
중국 기업의
대응전략 | 새로운 중가상품 출시로 시장판도 변화를 위해 노력 | 티몰 등 온라인 판매주력 | 판매망 확대, 영업전략 개선, 벤치마킹 주력 | 7일 내 환불 및 무료 교환, 온라인 판매전담팀 구성 | 지속적인 판매망
구축 및 확대 |
자료원: 중국 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网)
□ 관련 정책 및 관세율
ㅇ 2018년 5월 30일 중국 국무원 상무회의는 비교적으로 큰 범위에서 일용 소비품의 관세를 낮추기로 결정했음.
- 5월 31일에 중국 관세세제위원회(关税税则委员会)는 일용품 수입 관세를 낮추는 것에 관련 결정을 발표했음.
- 이 결정에 따라 2018년 7월 1일부터 총 1449개 세목을 포함된 부분 일용 소비품의 최혜국 관세율을 낮추는 정책을 실시함.
ㅇ 1449개 세목 중 의류 관련 세목은 430개에 달해 총 세목의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 대부분 의류제품의 관세율은 16~14% 수준에서 6%로 떨어짐.
- 특히 편직 외투, 양복 등 의류제품 관세율은 25%에서 10%로 대폭 떨어짐.
□ 시사점
ㅇ 중국 의류시장 내 한국 제품은 최근 3년간 빠른 성장세를 보여 왔으며, 최근 한-중 관계가 해빙기에 접어들면서 더욱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ㅇ 특히 2018년 7월 1일부로 의류제품의 관세가 대폭 인하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한국 의류제품의 가격경쟁력은 더욱 올라갈 것으로 사료됨. 이에 따라 한국 제품의 중국 진출은 더욱 확대될 전망임.
ㅇ 하지만 상기 분석한 제품 형태별로 중국 의류시장도 다른 상황을 띄고 있기 때문에 중국 시장 공략을 위해서는 제품 형태별로 차별화된 진출전략 수립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사료됨.
자료원: 중국 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网), 한국무역협회, 중국 보고망(中国报告网) 및 KOTRA 정저우 무역관 자체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