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 이야기]九淺一深(구천일심)
몇 해전 청소년을 위한 교양도서에 <소녀경(素女經) >이 포함되어 문제가 된 적이 있었다. 선정위원이 무심결에 이 책을 <도덕경>이나 <사서삼경>처럼 소녀들을 위한 경전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녀경>은 길거리 노점상의 베스트셀러인 성 지침서이다.
성에 대해 호기심은 있으나 서점에서는 차마 부끄러워 살 수 없는 사람들이 길거리 노점상에서 파는 이 책을 무슨 대단한 성의 교과서처럼 여기고 사기 때문이다. 더불어 성에 대해 조금이라도 아는 체 하는 사람들 대부분 자신의 주장을 증명하기 위해 소녀경 한 구절을 인용하므로 널리 알려진 책이기도 하다.
그러나 지금 전하고 있는 소녀경은 완전한 것이 아니고 많은 내용이 왜곡되어 있으며 당대에 전하는 <외대비용>등 여러 의학서에 포함되어 단편만 전하고 있을 뿐이다. 특히 소녀경에 나온 것으로 한의사들까지 잘못 인용하고 있는 구천일심(아홉번 얕게 한 번은 깊게)이나 접이불루((接而不漏:교접은 하되 사정은 하지 말아라) 등은 사실 소녀경에 나오는 말이 아니다. 서기 10세기경 일본에서 편찬된 <의심방(醫心方)>이라는 의서에 일부 들어있는 내용이다.
또 성기를 아홉 번 짧게 찌르고 한번 깊게 찌르라는 것도 아니다. 입맞춤을 통한 음기와 양기의 교환을 통해 여인의 기를 취하라는 것이다. 물론 <옥방비결>에는 성기의 삽입에 대해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그 내용도 성기를 너무 깊이 찔렀을 경우 간.폐병.요통 등에 걸리기 쉽다고 하고 있다. 얕은 데서는 기를 취하지만 오히려 먼 곳에서는 기가 흩어진다는 것디다. 따라서 일심을 결코 성기의 깊이를 뜻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오히려 9와 1이라는 수는 홀수로 남성을 상징하며, 1은 모든 것의 시작을, 9는 완결을 뜻한다. 특히 9에 9가 겹친 수, 즉 81은 모든 수 중에 가장 완벽한 수를 뜻한다. 그래서 <황제내경>이나 <노자도덕경>등이 모두 81권이다.
이처럼 만고불변의 진실처럼 알려진 옛 중국의 문헌들도 속내를 알고 보면, 잘못 알려져 있거나 본 뜻이 왜곡된 경우가 많다. 하물며 비과학적인 내용이 많은 민간요법의 허다한 정력증진 방법은 말해 무엇하랴.
출처:퍼스트비뇨기과(http://www.drim2u.co.kr/) 글 김재영원장
[참고]조상들의 성교육
'궁정에 환희불(歡喜佛)이 있는데, 불상은 구슬 장식이 단정하게 갖추어져 있고, 서로 껴안고 있으며 두 뿌리가 한 곳에 모아져 있다. 제왕의 혼례식 때는 반드시 이 불전에 들어가 예배를 마치고 은밀한 곳을 더듬으며 마음속으로 교접의 방법을 깨달아 이불 속에서 행했다.’
명나라 때 학자인 심덕부가 ‘창추헌잉어’라는 책에 기록한 내용인데 환희불은 라마교 사원에 있는 남녀 교합의 불상이다. 라마교는 성애술을 추종하는 종교이므로 불상의 모양이 미루어 짐작될 것이다.
일견 음란하기까지 한 이 불상이 궁정에 모셔진 것은 제왕들의 성교육용 학습자료였기 때문이다. 중국은 왕실 차원에서 성을 연구하고 집대성했음에도 실제 성교육은 미미했다. 책자로는 짐작만 될 뿐 실질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물론 시각적인 춘화도도 제작되었는데 춘화도란 세자의 거처인 춘궁(春宮)에서 유래되었다. 혼례 직전 남녀가 교접하는 입체적인 불상의 이모저모를 만져 보는 것이 가장 구체적인 성교육이라고 할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서 우리나라의 성교육은 실제적이었다. 남자들은 사춘기가 지나면 서당에서 ‘보정(補精’이라는 생리철학을 배웠으며, 삼촌 집 사랑들이라는 풍속도 있었다. 조카와 연배가 비슷한 기혼의 삼촌이 혼례를 앞둔 조카에게 구체적이고 실전적인 강의로 운우지정을 전수해 주었던 것이다.
한편 소녀들에게는 화락천사(和樂薦事)라는 풍습을 통해 성교육이 이루어 졌으니 성에 개방적이고 경험이 풍부한 무녀를 수양모로 삼아 남녀상열지사를 체계적으로 가르쳤다. 교육 내용은 부녀자의 몸가짐과 수태일, 자식 낳는 비방, 남편의 사랑을 받는 법 등 성생활 전반에 걸친 것이었다.
하지만 슬기로웠던 우리의 전통적인 성교육이 계승되지 못해 안타깝다. 물론 학교에서 성교육을 하고 있지만 형식적이고, 물밀듯이 성이 개방되는 시대 상황을 따라 가기에는 역부족이다.
피임이나 임신과 같은 생리적 내용보다 원조교제나 몰카, 포르노에 노출된 현실을 바르게 대처하고 헤쳐 나갈 수 있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적지 않은 청소년들이 성을 체험했음에도 불구하고 미혼모가 급증하고 혼전 낙태는 위험수위에 와있다. 실효성 있는 성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한다.
출처:서울경제 글 김재영 퍼스트비뇨기과원장 drkim@drim2u.co.kr
|
첫댓글 구천 일심이 다른 뜻이었군요. 올바른 성생활 즐거운 성생활 교육이 바르게 보급 되어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