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부산약대80회
 
 
 
 
 
카페 게시글
80회 공부방 스크랩 고혈압약의 정리,,,
김진수(86) 추천 0 조회 50 05.11.10 14:57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최병철 박사님의 강의를 나름대로 정리해보았습니다. (누가??? 부천시 약사회 김명철 약사가요...ㅎㅎ)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고혈압약




혈압의 조절은 첫째로 뇌에서, 심장에서, 신장에서, 혈관에서 조절되는데, 뇌에 관계되는 약은 최종선택약입니다.




1차선택약:thiazide이뇨제

1)체액의 부피를 빼주는데, 수분을 빼주어 혈압을 낮춘다기보다

나트륨을 배설시켜 체액의 저류를 막아줍니다.



2)혈관 확장 작용도 있습니다. 말초저항을 줄입니다.

loop이뇨제를 쓸 경우===>신장이 망가지는 신부전증일때 사용합니다.




2차 선택약==>베타 차단제

1)심장박동 약해지게 합니다.

2)신장의 레닌의 생성을 차단합니다==>angiotensin 생성을 원천 봉쇄합니다.




3차선택약==>ACE inhibitor




베타 차단제의 레닌 생성을 차단하는 것을 연구하는 도중 angiotensin을 발견하게되고 여기서 ACE inhibitor를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뱀독 중에 이 ACE를비가역적으로 차단하여 혈압을 영구히 떨어뜨려 사망에 이르게 되는데 거기서 captopril이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부작용==>마른 기침==>치료약: sulindac (NSAIDS)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ARB(Angiotensin Receptor Blocker)를 계발하게 되었으나 ACE inhibitor 보다 효과가 약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근거로 ACE는 혈관벽에 존재하여 AngiotensinⅡ의 생성을 막아 혈관을 이완시키는 작용도 있지만, 폐에서bradykinin의 불활성화를 유도하기도 합니다.

bradykinin은 혈관이완 물질입니다.

따라서 bradykinin의 생성이 많아져서 혈관이 이완됩니다.

(참고로 예전에 칼리크레인이라는 약은 kininogen에서 bradykinin으로 활성화될때

활성 물질이어서 bradykinin을 증가시켜 혈관확장에 도움되는 약입니다.. 혈액순환제로 판매했었죠.

어디서요? 태웅이형약국에서요..^^).

그런데, 이 kinin은 프로스타글란딘(프로스타글란딘도 혈관이완물질임)을 유도하는 물질이다. 그래서 이 프로스타글란딘이 마른 기침을 유발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프로스타글란딘을 제거하면 마른 기침이 안나옵니다.

그럼 NSAIDS중에서 혈압에 영향이 없는 약은 설린닥 뿐입니다..설린닥은 신장에 영향을 안주는 유일한 NSAIDS입니다.

(프로스타글란딘은 혈관을 이완시켜 혈액을 신장으로 혈류량을 증가시켜 혈압을 떨어뜨림)




따라서 ACE inhibitor는 혈관 이완의 두가지 작용이 있습니다.

그러나 코자같은 ARB제제는 AngiotensinⅡ의 수용체만 차단하기 때문에 한가지만 혈관이완 효과가 있겠습니다.




4차 선택==> 칼슘 채널 차단제.




1)nifedipine계(혈관에서 칼슘을 차단)

2)diltiazem(혈관,심장에서 모두 칼슘을 차단==>주로 심장쪽에서 작용)

3)verapamil(심장에서 칼슘을 차단)




그럼 다시 정리하여 혈관 확장제를 보면,




1.thiazide이뇨제(동맥)

2.ACE Inhibitor(동맥)

3.칼슘차단제.(동맥)

4.알파1 차단제(동맥, 정맥)

5.칼륨채널개방제(미녹시딜==>고혈압약,니코란딜==>협심증에 주로) (동맥)

6.nitroprusside(동맥, 정맥)

7.hydralazsine(동맥)







여기서 동맥, 정맥을 동시에 혈관을 이완시키는 약은 알파1차단제, nitroprusside(주로 주사약) 이며 혈관확장제 중에서 가장 강하다. 근거로 기립성 저혈압을 일으키므로.

그러면, nitroglycerine은 동맥보다 정맥에 더 작용이 크므로 고혈압약으로 쓰기보다는 협심증약에 사용됩니다.




합병증에서의 고혈압 선택약.




1.혈압+당뇨==>ACE inhibitor



2.혈압+갑상선기능항진증==>propranol계통의 베타 차단제(갑상선 기능항진으로 인한 교감신경의 자극을 베타차단제가 차단)



3.고혈압+성기능장애==>ACE inhibitor

(같은 혈관확장제인 칼슘채널 차단제는 전신의 혈관을 확장시키므로

성기의 혈관에 갈 약의 함량이 적으므로 효과가 거의 없습니다.)



4.고혈압+울혈성 심부전==>베타차단제와 베라파밀은 절대 금기.

울혈성 심부전은 심장의 상태가 부은 상태이므로 베타차단제와 베라파밀은 심근을 이완시키므로 절대 안됩니다.




5. 고혈암+협심증==>협심증은 심근의 산고요구량을 많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베타 차단제는 심근을 이완시켜 심근의 산소 요구량을 줄이고, 베라파밀은 관상동맥을 확장시켜 심근의 산소를 공급하므로 가장 중요합니다.) ==>4번과 반대입니다.




6.고혈압 +양성전립선 비대증==>알파1차단제..(카두라)



7. 고혈압+고지혈증==>ACE inhibitor (콜레스테롤을 낮춤)

이상으로 뇌를 제외한 심장, 신장, 혈관에 작용하는 혈압약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뇌에서 작용하는 혈압약을 보면,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약으로는 메칠도파와 클로니딘이 있습니다.

임신 중 고혈압에 유일한 약으로는 메칠도파임(임신 중 절대금기는 ACE Inhibitor)



좋은 하루 되세요...^^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