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172-가 D-Dimer 검사(정성)(B1721)
나-172-가-주 : 역가검사를 실시한 경우에는 소정금액의 100%를 가산한다.
나-172-나 D-Dimer 검사(정량)(B1723)
고시 제2007-113호(20080101)신설(EDI코드:B1722) 주 : 반정량(역가)검사를 실시한 경우에는 99.37점을 산정한다.
--------------------------
1. D-DIMER 검사
(1) 실시목적 및 임상적 의의 : D-Dimer는 섬유소(Fibrin)가 Factor VIII에 의해 Polymerizaion된후에 Plasmin의 작용으로 용해되어 형성된다. D-Dimer에 대한 Monoclonal Antibody를 이용함으로 FDP와 교차반응이 일어나지 않음으로 섬유소용해(Fibrinolysis)에 특이하다. D-Dimer와 FDP검사를 하여 원발성 섬유소용해와 이차성 섬유소용해를 감별할 수 있으며, 특히 이차성 섬유소용해인 DIC의 경과 추적관찰에 유용하다.
<적응증>
① 원발성 섬유소용해(Primary Fibrynolysis),
② DIC,
③ 심부정맥혈전증,
④ 혈전색전증
(2) 검사 원리 및 방법 : D-Dimer는 면역학적 방법인 직접 라텍스 응집법으로 측정한다. 채취한 혈장 또는 혈청을 안정화된 Fibrin 분해산물인 XL-FDP의 D-Dimer에 대한 단일클론항체를 부착시킨 라텍스 입자와 반응시켜서 응집 여부를 관찰한다. 응집을 보이는 역가를 측정하므로 반정량이 가능하다. 또한 혈장으로도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
1. D-Dimer 검사는 DIC 및 DIC를 일으키기 쉬운 기초 질환 등에 시행하는 검사로서 수기료는 나-161(FDP)에 준용하고, FDP와 D-Dimer는 각각 실시할 수 있으나 D-Dimer검사는 2회까지 인정함. 또한 적응증은 FDP와 동일하게 적용함.
[임상병리과분위, 1991/07/04]
2. 뇌동맥 폐색증(뇌경색증)에 실시한 나-158(항-트롬빈), 나-170(V-응고인자 정량), 나-172(VIII-응고인자 정량), 나-176(XII-응고인자 정량), 나-178준(α-2-Antiplasmin), 나-169준(Plasminogen), 나-161준(D-Dimer), 나-177준(Lupus Anticoagulant), 나-177준(Anti-Cardiolipin-Antibody)검사 등은 젊은 연령층에서 뇌졸중의 Risk Factor를 추적하기 위함임. [신경과분위, 1993/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