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의 여류화가 신사임당(1504-1551)의 풀벌레 그림 관찰 |
16세기 조선의 시대적 배경은 남성중심의 가부장적 제도로 사대부 여인들은 제약된 규범 가운데 용솟음 치는 예술의 욕구를 충족 시킨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의 시대였다, 그러나 신사임당은 스스로 그 벽을 넘어 타고난 재능을 유감없이 발휘한 시대적 영웅이다.
1.신사임당의 초충도
1) 초충도의 전례:
*풀 한 포기와 곤충, 작은 동물을 배합하는 구도는 중국 오대(五代)로 부터 나타나 원대(元代)의 화조화가 여경보(呂敬甫)의 작품의 영향이 고려시대 이후에 전해졌을 것으로 추정한다.
2)초충도에 대한 기록
16세기에는 신사임당의 산수화와 포도화에 대한 상찬의 글이 나왔지만, 초충도애 대해서는 언급이 전혀 없었다가 17세기 후기에 가서 초충도에 대한 언급을 하기 시작했다.
①16세기에 신사임당의 산수화와 포도화에 대한 기록만 있다.
*명종조 어숙권(魚叔權)(생몰연대 미상), 「패관잡기(稗官雜記)」 1525년 (중종20년)에 이문학관(吏文學官)이 됨.
【사임당의 스승으로 알려졌던 어숙권은 『사임당을 안견 다음의 산수 화로』 높이 평가했다.
*소세양(蘇世讓)(1485-1562) 양곡집(暘谷集)
『오묘한 생각과 뛰어난 솜씨는 다른 사람 따라잡기 어렵다.』 이라고 산수화의 뛰어난 솜씨를 기록하고 있다
*율곡(栗谷) 이이(李珥) 「율곡집(栗谷集)」「생비행장(生妣行狀)」
『산수화를 그리신 것이 지극히 묘하셨고, 또한 포도를 그리셨으니 모두 세상에서 견줄만한 이가 없었다.‘ 』
②17세기 후기에 초충도에 대한 언급이 시작됨
.*송시열(宋時烈)(1607-1689) 「송시열 문집」『‘초충도애 대해서 이는 돌아가신 이원수공(신사임당의 남편)의 처가 그린 것이다. 그 손까락 끝에서 나온 것이 오히려 혼연하여 하늘이 이루어 낸 듯...’』
*윤증(尹拯)(1629-1714) 조선후기 학자, 소론의 영수.
전통 서인계 인사들은 사임당의 그림에 관심을 표명했다.
*이종휘(1731-1797)는 ‘우리나라 그림은 솔거의 소나무와 이정의 묵죽, 신부인의 초충이 유명하다.’고 했다.
*이긍익(1736-1806)은 사임당 신씨는 율곡의 어머니로써써 포도와 풀벌레를 잘 그렸다,‘고 했다.
*18세기에는 이율곡 성리학의 추종자들이 신사임당의 전칭그림들에 쓴 발문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3) 전칭작(傳稱作):
*현재 신사임당의 초충화로 알려져 있는 모든 그림은 논란의 여지가 없는 진작(眞作)은 없으며 오직 전칭작품들만이 전해진다. 전칭(傳稱)이라면 ‘전하여 일컬음’ 즉 진위가 불분명한 작품을 말한다. 확실하게 누구의 작품이라고 단정을 하지 못한 작품을 전칭작품이라 하고 작가의 성명앞에 ‘전(傳) 신사임당 초충도첩’ 이라고 쓴다
*현재 초충도에는 신사임당의 낙관이나 서명이 없다.
*현재까지 '전(傳) 신사임당의 초충도'는 모두 18세기에 나왔다.
4) 초충도는 자수(刺繡)의 밑그림이 대부분이다.
*초충도는 숙본(자수를 놓기 위한 밑그림)으로 사용하도록 제작되었음이 확실하고 따라서 조선시대에는 이와 유사한 그림들이 많이 그려졌다
2.초충도의 조형적 특징
① 그림주재는 단순한 여러 종류의 풀과 벌레들이다
② 간결한 구도에 변화와 전체적인 조화를 이룬 구성으로 선명하고 섬세한 여성적 특유의 표현이다.
③ 산뜻하면서 한국적인 품위를 지닌 색채감각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 구성을 보면 주제가 되는 큰 식물로 화면 중앙에 배치하고 단순함을 보완하는 역할로 보조 식물로는 패랭이 꽃, 도라지, 나팔곷 등으로 했다. 특히 넝쿨식물로 변화와 생동감을 주었으며,
작은 동물과 벌레는 약육강식에 따라 강한 것을 주격으로 배치하고 약한 곤충은 좌우의 적당한 여백을 살리고 전체적인 구성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3. 신사임당 초충도병에서
| |||
⑦양귀비와 도마뱀 양귀비, 패랭이꽃, 달개비, 도마뱀, 갑충, 나비 | ⑧오이와 개구리 조이삭, 강아지풀, 메뚜기, 벌,
| ①가지와 방아깨비 쇠뜨기, 뱀 딸기, 나비, 나방, 벌
| ②수박과 들쥐 수박,패랭이꽃, 들쥐, 나비, 나방
|
| |||
③원추리와 개구리 원추리,강아지풀,개구리, 매미, 나방, 나비,벌 | ④산차조기<붉은 꽃)와 사마귀 보라빛메꽃, 잠자리, 사마귀, 벌 | ⑤ 맨드라미와 쇠똥구리, 맨드라미, 산국화. 강아지풀, 쇠 똥구리, 나비 | ⑥어숭이와 개구리 도라지, 개구리. 나비, 벌, 잠자리, 땅강아지, 강아지풀 |
1) 병풍그림에 표현된 풀벌레의 종류는 ?
①풀종류: 17 종류,
가지, 쇠뜨기, 수박, 패랭이꽃, 뱀딸기, 원추리, 강아지풀, 산차조기, 메꽃, 맨드라미, 산국화, 어숭이, 도라지, 양귀비, 달개비, 오이, 조이삭,
②동물: 14 종류
방아깨비, 나비, 나방, 벌, 들쥐, 개구리, 매미, 사마귀, 잠자리, 쇠똥구리, 메뚜기, 도마뱀, 갑충, , 땅강아지
2) 초충의 상징성
①원추리는 *훤초(萱草) 망우초(忘憂草)라 근심을 잊고 답답함을 푼다. *의남초(宜男草)로 사내아이를 많이 놓는 부인의 꽃
②개구리는 때를 기다릴줄 아는 그런 자식에 대한 염원과 학문적인 성취를 기원하는 의미
③매미는 익선관이 매미의 날개를 상징하듯 매미의 덕을 칭송한다
④벌은 근면성을 상징한다.
⑤수박은 열매가 많이 열기 때문에 자손번창과 자유와 복을 기원한다.
⑤들쥐는 재산을 모으는 의미로 부지런 하라
⑥패랭이꽃은 장수를 축하한다는 의미. 축수화(祝壽畵)
⑦가지는 한문으로 가자(嘉子)를 발음대로 가자(加子)로 읽어 자식을 더 낳아라는 뜻이다.*흰 가지는 귀한자식을 뜻한다.
⑧방아깨비는 알을 많이 낳는것으로 자손번성
⑨쇠뜨기는 번식력이 강함. 자손번창과 강건하게 살아라
⑩나비는 80세 노인을 의미하므로 장수한다는 의미.
⑪어숭이는 부용화로 섬세한 아름다움과 행운은 반드시 온다라는 꽃말과 부귀영화를 누리라.
⑫도라지는 아들과 남성을 상징함
⑬잠자리는 불사(不死), 신생(新生)을 상징한다
⑭나방은 열심히 공부하여 뜻을 펼치라
⑮산국화(구절초)는 순수한 어머니의 사랑이다
⑯달개비는 닭의 장풀로 쫓모양이 닭벼슬을 닮았다. 순간의 즐거움과 외로운 추억이 담긴 꽃이다.
⑰맨드라미는 계관화(鷄冠花)로 벼슬을 하여 관아에 들어간다.
⑱메뚜기는 부와 지혜와 믿음의 도약을 상징한다.
⑲벌은 벌때와 같이 협동심을 키우라고 한다.
⑳산차조기는 *머리 숙인 그림으로 겸손을 뜻함 *자식의 교육의 중요성을 이른다
㉑양귀비의 꽃말은 허영, 위안, 잠이라고 한다.
㉒오이는 넝쿨식물의 만대(蔓帶)를 만대(萬代)라는 뜻으로 해석하여 열매가 많이 열기 때문에 자손 번창을 의미하고 대(代)가 계속 이어나간다. 자손만대(子孫萬代)
㉓사마귀는 자식을 위해 부모의 몸을 희생할 수 있다.
㉔나팔꽃은 자식을 활짝 펴게 수학한다
㉕땅강아지는 아직은 미숙하나 재능을 갖추어라
㉖접시꽃은 단순, 편안, 다산, 풍요를 의미한다. *열렬한 사랑을 상징
㉗메꽃은 분홍색 통꽃으로 나팔꽃과 비슷하며 부족한 밥그릇을 채 워주던 은혜의 꽃이다,
㉘ 갑충은 과거에 나가 갑(甲)에 합격하라는 뜻으로 장원급제의 뜻 이 담겨있다. 甲㊀, 乙㊁, 丙㊂, .....
㉙강아지풀의 꽃말은 동심, 노여움이다.
㉚조는 서숙으로 쌀, 보리, 조, 콩, 기장의 오곡 중에 하나로 ‘풍요한 가을’의 상징성을 볼 수 있다.
㉛뱀딸기는 꽃말이 허영심이며 평온함이다.
3) 용어 알아보기
본 말 (사전에 있음) | (사전에 없음) | (잘못된 말) |
*방아깨비 |
| 방아개비 |
*사마귀. *버마재비 | 범 땅개(없음) | 범아재비 |
*봉숭아, *봉선화 |
|
|
*쇠똥구리 | 쇠똥벌레 | 소똥구리 |
*어숭이→<*부용화 ?> | (없음) | 어숭이는 접시꽃의 서울사투리(?) |
*규화(葵花)= ①접시꽃 ? ②해바라기 ○ |
|
|
*접시꽃 ①규화 ②촉규 | 꽃색:빨강,하양,보라빛색 |
|
*추규(秋葵)→ | 없음(*닥풀) |
|
*양귀비 | *가선화(두메양귀비) |
|
*원추리 | * | 어숭이(꽃이 다름) |
*산차조기 → | 없음 <*차조기 ? 소엽(蘇葉))> |
|
* 사전에 나오지 않는 것이 있음
* <동아새국어사전. 1990> (사전 총2324페이지)
* ?표시는 확실성이 불분명
4)신사임당초충도병 주제(초)와(충)의 관계 비교표
(앞)국립, (뒤)오죽헌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오죽헌박물관 소장 | 국립중앙 뱍물관 |
주제 초(草) | 주제 충(虫) | 주제 충(虫) | 부제(초) (참고) |
①④ 가지 | 방아깨비 | 범의 땅개 | ①쇠뜨기 |
②③ 수박 | 들쥐 | 여치 | ②패랭이 |
③⑧ 원추리 | 개구리 | 벌 | ③양귀비 |
⑤⑤맨드라미 | 쇠똥구리 | 개구리 | ⑤산국화 |
⑦⑥ 양귀비 | 도마뱀 | 풀거미 | ⑦패랭이 |
⑧① 오 이 | 개구리 | 메뚜기 | ⑧조이삭 |
④산차조기 ⑦봉숭아 | 사마귀 | 잠자리 | ④메꽃 |
⑥어숭이 (부용화) ②추규(규화) | 개구리 | 여치 | ⑥도라지 |
*두 박물관 주제풀 같은 종류 : 6 가지
*두 박물관에 같은 풀에 같은 동물은 없음
*숫자는 병풍 폭의 차례임
〈 참고자료 생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