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land의 upgrade version입니다
인터넷에 발음이 ‘이슬랜드’와 ‘아일랜드’로
나옵니다
어느 것이 맞다고 할 수는 없겠지요
유명인터넷에 나오는 어원입니다
☕ island 어원:
[어원] 고대영어 ieg(섬) (⇒ * (바다안에) 있고, 있지)
출처가 불확실한 Proto-Italic *enselā에서. 고대 그리스어 νῆσος (nêsos, "섬") 및 (⇒ * (바다) 안에 있어라)
원시 켈트어 * enistī ( "섬")와 같은 유사한 형태와의 관계 (⇒ * (바다) 안에 있었지)
포코르니(Pokorny, 1959)는 이를 잠정적으로 살룸(salum, "바다")에 연결한다 (⇒ * (떨어져) 살렴)
리투아니아어 salà ( "섬")를 비교하십시오. (⇒ * (떨어져) 살라) |
바로 세계의 언어들을 찾아 봤습니다
발음이 너무 달라 고생을 좀 했습니다
하지만 아마도 옛날부터 죄수들을 가두는
교도소역할을 한 것처럼 보입니다
고립된 느낌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조심스럽지만 ‘外: 바깥 외’의 시작점 같기도 하구요
바깥을 나타내는 ‘가’도 보이구요
‘非: 아닐 비’도 비치기도 합니다
전반적으로 주류에서 제쳐진 상태가 느껴집니다
앞의 ‘이슬랜드’와 ‘아일랜드’도 우리말 반치음
ㅿ하고 비슷합니다
이 반치음 ㅿ은 ㅅ과 ㅇ으로 분화되었습니다
아래는 사적적 의미입니다
☕ 반치음 :
반치음은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전반에 걸쳐 소실된다. ‘ㅿ’의 소실은 ‘ㅣ’모음 앞에서
먼저 시작되어 예컨대 ‘ᄉᆞᅀᅵ>ᄉᆞ이’와 같은 어형이 나타난다.
16세기 후반이 되면 거의 의고적인 표기라 할 수 있는
‘ㅿ’만 남고 사라져서 반치음은 16세기 전반까지 존속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반치음의 소실 과정은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중부방언에서 ‘ㅿ’이 소실되어 ‘∅(영,零)’이 된 반면 ‘ㅅ’으로 남아 있는 방언도 있다. (예) ‘무:무수, 무시’, ‘여우:여시, 여수’ 등)
이것은 그러한 방언에서 ‘ㅿ’이 ‘ㅅ’에 합류된 결과로 추정되며,
반대로 그러한 방언에서 ‘ㅿ’이 탈락된 형식이 나타나는 것은
중부방언의 탈락형을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
그 전에 제가 '서울물'이 '서울수 ⇒ 아리수'로
변천과정을 거쳤을 것이라 말씀드렸습니다
'아리랑'도 '사리랑'일 것이라 했구요
결국 '사랑'일 것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3341. island (아일랜드, 도(島), 섬):
(떨어져) 있으란다,
⇒ (떨어져) 있다가 어원
* 고대영어: ieg [이그, 이찌⇒ 섬]
((떨어져) 있고, 있지)
* 아이슬란드: eyja [에이야⇒ 섬]
((떨어져) 있지)
* 라틴어: insula [인술라⇒ 섬]
((떨어져) 있어라)
* 체코: ostrov [오스트로프⇒ 섬]
((마침내) 왔었더라뿌)
* 크로아티아: otok [오토크⇒ 섬]
((마침내) 왔다꼬)
* 튀르키예: ada [아다⇒ 섬]
((마침내) 왔다)
* 노르웨이: øy [외이⇒ 섬]
(外: 바깥 외)
* 덴마크: ø [에이⇒ 섬]
(外: 바깥 외)
* 스웨덴: ö [에아⇒ 섬]
(外: 바깥 외)
* 스페인: isla [이스라⇒ 섬, 독립공간]
((떨어져) 있어라)
* 네덜란드: eiland [에일론드⇒ 섬]
((떨어져) 있으랜다)
* 이탈리아: isola [이조라⇒ 섬]
((떨어져) 있어라)
* 독일: insel [인절⇒ 섬]
((떨어져) 있을)
* 우즈베키스탄: orol [어럴⇒ 섬]
((섬에) 오라 할)
* 포르투갈: ilha [일랴⇒ 섬]
((섬에) 오라)
* 프랑스: ile [일레⇒ 섬]
((섬에) 올래)
* 폴란드: wyspa [비스파⇒ 섬]
((섬이) 비었어 봐)
* 헝가리: sziget [시게트⇒ 섬]
((귀찮아서) 쉬겠다)
* 핀란드: saari [싸리⇒ 섬]
((섬) 살이)
* 베트남: đảo [다오⇒ 섬]
(島: 섬 도)
* 중국: 島 [도오⇒ 섬]
(島: 섬 도)
* 일본: 島 [시마⇒ 섬]
((섬에) 숨어)
* 한국: 섬
* 페르시아: جزیره
[자지레헤⇒ 섬, 반도, 작은 섬]
(저지래 해 (떨어뜨려 놨어))
* 힌디: द्वीप
[드비프⇒ 섬]
((도망간 곳을) 디비뿌⇒ 뒤져버려)
*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pulau [뿔라우⇒ 섬]
((섬에다) 풀라우)
* 히브리(현대): אי [삐⇒ 섬]
(非: 아닐 비)
((섬에) 풀어)
* 아랍: جَزِيرَة [제지라⇒ 섬]
((혼자 살려고) 저질러)
* 네팔: टापू [따푸⇒ 섬]
((물위에 올라) 타뿌)
* 태국: เกาะ [까⇒ 섬]
((떨어진 곳에)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