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팸 문자 불법 대출광고 주의
[ 정보 생산 | 금융감독원, 정보 제공 | T-Gate ]
|
■ 불법 대출광고 스팸문자로 인한 불법 사금융 피해 증가
A씨는 2012.1월 급전이 필요하여 대출을 알아보던 중 “OO금융, 마이너스 대출 가능”이라는 휴대폰 문자메시지를 받고, 수신된 전화번호로 연락하여 대출을 신청했다. 담당자는 500만원까지 대출이 가능한데 민원인의 신용등급이 낮아 신용등급 상향조정을 위해 25만원을 입금하면 대출 이후 반환해 주겠다고 하였고, A씨는 이 금액을 담당자가 알려준 계좌로 송금했다.
그러나 송금 이후 담당자는 다시 대출진행비용으로 40여만원을 추가로 요구했고, 이에 A씨는 대출신청을 취소하겠다고 하고 이미 송금한 금액을 반환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담당자는 반환을 약속하였으나 이후부터 담당자와 연락이 두절되었고, A씨는 결국 사기를 당했다고 생각하고 금감원 「서민금융종합지원센터」에 상담을 요청했다.
문자메시지 형태로 수신되는 불법 대출광고(스팸) 관련 불법사금융 피해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2011년 1인당 대출관련 스팸 수신량은 1주일에 약 1통으로 전체 스팸문자의 절반에 가까운 양이었으며, 2011년에 금융감독원 서민금융종합지원센터로 접수된 불법 사금융 피해 상담건수는 총 25,535건으로 2010년의 13,528건에 비해 12,007건이 증가했다.
■ 불법 대출광고 수신 시 적극적으로 신고해야
불법 대출광고(스팸) 수신을 줄이고 관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휴대전화 이용자의 적극적인 신고가 필요하다. 대출광고를 발신하는 불법 전화번호가 일정 횟수 이상 신고될 경우 해당 번호가 이용정지되기 때문이다.
불법 대출광고(스팸)에 사용된 전화번호 이용정지 절차
(불법업체) |
|
(금융이용자) |
|
(KISA) |
|
(통신사업자) |
 |
→ |
 |
→ |
 |
→ |
 |
스팸 발송 |
|
스팸 간편신고 |
|
전화번호 이용정지 요청 |
|
전화번호 이용정지 조치 |
|
불법 대출광고(스팸) 상담·신고 방법 |
|
|
|
① 한국인터넷진흥원 불법스팸대응센터 : 신고접수 및 이용정지 • 휴대전화 : 스팸 간편신고 프로그램 • 전 화 : 국번없이 118(ARS안내시 1번 → 2번 누름) • 인 터 넷 : spam.kisa.or.kr • F A X : 02-405-4789
② 금융감독원 서민금융종합지원센터 : 신고요령 안내 • 전 화 : 국번없이 1332(ARS안내시 3번 누름) |
■ 휴대전화별 스팸 간편신고 요령
휴대전화 내의 메뉴에서 메시지 보관함 → 스팸신고 및 관리 등을 이용하면 KISA 불법스팸대응센터로 신고가 됨
※ 이동통신사 및 단말기 제조사별로 스팸 간편신고 메뉴 화면이 다를 수 있음
[1] 스마트폰(SKT 갤럭시s) < 문자 메시지 보관함 |
|
|
□ 문자 메시지 보관함에서 메뉴를 통해 스팸 신고 가능
○ 메시지 보관함 → 메뉴 → 더보기 → 스팸신고 |
[2] 스마트폰(LGT 옵티머스) < 문자 메시지 보관함 > |
|
|
□ 문자 메시지 보관함에서 메뉴를 통해 스팸 신고 가능
○ 메시지 보관함 → 메뉴 → 더보기 → 스팸신고 |
[3] 스마트폰(KT 아이폰 등) 간편신고 프로그램이 탑재되지 않아 스팸차단 앱 설치후 신고가능 |
|
|
|
① 스팸차단 앱 설치 |
② 스팸메시지함 → 신고하기 |
[4] 기존 휴대폰(SKT, LGT 일부) |
|
□ 별도의 스팸신고 메뉴가 존재 하며, 대부분 '메시지 관리' 메뉴의 하위메뉴로 존재
○ 메시지 관리 → 스팸신고 및 관리 → 메시지 스팸신고 |
[5] 기존 휴대폰(KT, LGT 일부) |
|
□ 최근 통화기록 및 메시지 보관함 등에서 메뉴를 통해 신고 가능
○ 최근 기록 및 메시지 관리함 → 메뉴 → 스팸신고 |
■ 스팸 번호 통한 대출 거래 자제
불법 대출광고(스팸)에 표시된 전화번호는 대부분 미등록 사금융업체이므로 이를 통한 대출거래는 불법이다. 또한, 대출거래를 미끼로 보험료와 공증비용 등의 명목을 내세워 돈을 요구할 경우는 대출사기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거래를 자제해야 한다.
(2012. 3. 7)
출처: T-gate(www.tgat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