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영어교육 비결 10가지

1) 왜 유아기에 영어를 가르치는 것이 좋을까요?
유아는 세계의 언어에 필요한 어떤 소리도 재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태어나면 한국어를 습득(acquisition)하고, 미국에서 태어나면 영어를 간단히 습득을 할 수 있다. 6세 정도까지 대뇌의 성장이 가장 활발하므로 중요한 시기(critical period)라고 한다. 우리의 뇌(brain)는 언어습득과 분석적인 일 (analytic tasks)을 하는 좌뇌와 음악과 미술과 같은 예술적인 일(art)을 하는 우뇌로 구성되어 있다. 언어습득이나 학습(learning)을 할 때에는 좌뇌만 사용하지 말고 좌우 뇌를 100%활용해야 한다. 유아시기에 영어를 잘 배우면 원어민(native speaker)수준의 발음을 할 수 있게 된다.
2) 부모의 관심에 정비례한다.
부모자신이 훌륭한 선생역할을 해야 한다. 아이의 흥미에 따라 질문을 해보거나 공부한 내용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대화를 유도해야한다. 공이나 장난감을 사용하여 함께 공부를 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공(ball)을 던지면서 throw, 받아 라고 하면서 catch, 발로 차면서 kick, 굴리면서 roll, 바닥에 치면서 bounce를 반복한다. 아이들은 재미가 있으면 수없이 반복해도 전혀 질리지 않는다.
3) 부모가 자녀에게 줄 수 있는 최대의 유산은 발표력이다.
발표를 들어주는 부모가 필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 선생이나 부모는 어린이 보다 말을 많이 하게 된다. 부모가 들어주는 동안 어린이의 발표력이 향상되고 결국은 영어에 자신을 갖게 된다.
4) 칭찬과 격려로서 자란다.
나무나 꽃은 햇볕과 물로서 자라지만, 어린이는 칭찬과 격려로서 자란다. 꾸중과 비난은 부정적인 감정을 불러일으키므로 조심해야한다. 또한, 과장된 칭찬은 거짓이므로 나쁜 영향을 미친다. 박수, 상, 미소 혹은 윙크가 어린이를 영어에 자신 있는 아이로 기르게 된다. 칭찬을 받게 되면 스스로 자신 있게 어디서나 발표를 하게 된다.
5) 무엇을 가르쳐야하나? 어휘와 말하기중심
문제지 중심의 교재는 의사소통 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 을 기를 수 없다. 수영에 관한 책보다 물속에 들어가서 수영을 몸으로 배우듯이 영어를 몸으로 배워야한다. 너무 교재에 의존해서 가르치지 말고, 실물(realia), 동작(gestures), 그림(pictures)을 사용하여 어휘를 익히고 놀이(game)를 통하여 표현력을 기른다. 문법과 쓰기는 5-10% 비중을 두고 90%를 말하기(80%)와 읽기(10%) 중심으로 게임이나 역할 놀이(role-plays)를 하면서 자연스럽게 어휘와 영어의 문형을 익힌다.
6) 어휘와 어휘덩어리(chunks)로 입력시킨다.
What is that? 나 Do you have a--를 한 개의 어휘덩어리로 '그것이 뭐니?' "너 가지고 있니?' 로 이해시켜야한다. 한 개씩 분리하여 문법적으로 우리말 설명을 하면서 가르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예를 많이 들어주면 저절로 이해를 하게 된다. Do you have a pen? Do you have a pencil? 등등.
7) 단어 10개를 배우면서 문형은 1개정도 배운다.
단어는 음절이 적은 것으로 문장도 어휘가 적은 것을 도입해야한다. 어휘는 서로 관련이 있는 것을 모아서(categorized) 가르쳐야 쉽게 이해하고 습득하게 된다. 단어를 10개정도 습득하면서 문장은 1-2개정도만 도입하는 것이 현명하다.
8) 동작(gestures), 실물(props) 그리고 그림(pictures)를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어휘나 문형을 공부할 때에는 동작, 그림 그리고 실물을 사용하여 공부하도록 한다. 학습한 내용을 마지막으로 노래로 완전히 암기하여 내재화 (internalize)시킨다. 영어를 가르치기위하여 작곡된 노래를 사용해야 효과가 있다. 내가 만든 DVD 에는 musical dialogue로 각과 끝에는 그 과에서 배운 내용을 모두 이런 노래로 구성되어 있다.
9) 표준발음을 반복해서 들려주거나 보여준다.
배우는 내용을 이해하면서 반복연습을 해야 기억에 남는다. 이해를 못한 입력(incomprehensible input)은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쉽게 재미있게 표준발음(standard speech)으로 제작된 자료를 사용해야한다. 어린이 혼자 보도록 하지 말고 부모가 함께 봐야 집중을 하므로 효과가 있다. 배운 내용을 실제로 연습을 통하여 발표를 해야 한다.
10) 모국어(mother tongue)를 우선해야 중요하다.
누가 영어를 보다 어린나이에 먼저 배우느냐 보다 누가 올바른 방법으로 영어를 배우느냐가 중요하다. 모국어보다 제2외국어를 더 중요시하여 영어에 너무 치중하여 우리말보다 영어를 더 잘하여 영어를 너무 지나치게 지껄이면 다른 아이들과 잘 사귈 수가 없어서 친구들로부터 왕따를 당할 수 있다. 우리말을 정확하게, 공손하게 아름답게 사용하는 법을 더 잘 배워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