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CUS의 포인트) §8. POI를 waypoint로 변환하기(포인트와 트랙을 합치기)
지금까지는 웨이포인트와 트랙에 합쳐져 있던 것을 포인트만 떼어내서 편집하고 포인트방에 올리는 과정까지 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포인트와 트랙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반대로 하나로 합치는 법을 알아보도록 합니다.
여러분은 포인트가 트랙과 합쳐지면 "웨이포인트"라고 부르고 분리되면 "POI"라고 부른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인 입니다.
그래서 "포인트를 트랙에 합친다"라고 말하는 것보다는, "POI를 웨이포인트로 변환한다"라고 말을 해야 더 유식한 말이 됩니다. 이제는 이런 유식한 말을 써서 티를 내도 충분합니다. 배운 것을 지꾸 써먹서야 익숙해집니다. 잠깐 농담 했네요.
§8.1. 트랙과 포인트를 ZIP 파일로 압축하여 보관하기
분리된 포인트와 트랙 파일을 합치려는 이유 중에 하나는 보관을 위해서 한 개의 파일로 묶으려는 것인데, 익숙한 zip 파일로 만들어도 마치 하나의 .gpx 파일을 불러오는 것과 같습니다.
우리의 고정관념에는 압축은 풀어서 각 파일마다 따로따로 가져오기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LOCUS 에서는 zip 파일을 가져오기하면 압축을 풀어서 그 속에 있는 모든 파일을 한꺼번에 마치 하나의 파일을 가져오기 한것처럼 작동합니다.
그 zip 파일 속에 들어 있는 gpx 파일이 포인트든 트랙이든 다 알아서 읽어옵니다.
그리고 그 압축 파일의 갯수가 많아도 한꺼번에 읽어옵니다. 수 십 수백도 가능합니다.
예를 들면, 지리산 화대 종주 트랙 또는 포인트 파일을 몽땅 모아서 zip으로 압축 후 그걸 로커스에서 가져오기하면 단번에 읽어옵니다.
압축을 풀고 일일이 하나씩이 아니라 한번에 전부 읽어 오는 이 기능만으로도 활용할만 가치가 있습니다.
메뉴얼에 보면 Locus 가져오기 가능한 파일 포맷은 KML / KMZ / GPX / TCX / GeoJSON 5개로 되어 있습니다.
zip은 지원하는 데이타 파일 포맷이 아니고 단순히 압축 파일 형식입니다.
즉, zip 파일 속에는 위 5개 포맷 이외에는 넣지 말라는 말입니다.
RAR 압축은 지원하지 않음을 확인 했습니다.
○ 실습
위의 압축 파일 속에는 포인트만 있는 파일과 트랙만 있는 파일 2개가 들어 있습니다.
다운로드하여 기져오기 해보세요.
마치 트랙과 포인트가 들어 있는 하나의 파일을 가져올 때처럼 불러옵니다.
둘을 합쳐야할 경우 자기 혼자 LOCUS에서 사용할 것이라면 zip 압축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진짜로 gpx 파일 하나로 합치는 다른 방법 2가지를 차례로 소개합니다.
§8.2. KMZ를 거쳐 POI를 Waypoint로 변환하기(포인트와 트랙을 한 파일로 합치기)
로커스는 지도 화면에 보여지는 포인트나 트랙, 사진 등을 합쳐서 kmz 파일로 만들어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kmz 파일을 가져오기하여 내보내기 하면 gpx 파일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실습
1. 먼저 위의 강좌용 "gpx.zip" 을 가져오기 합니다.
포인트 39개는 "가져온 POINT"에, 트랙은 "가져온 TRACK" 폴더에 들어가게 합니다.
2.그 두개의 폴더에 있는 것만 활성화(눈모양 뜨게) 합니다.
나머지 폴더에 있는 포인트나 트랙은 모두 비활성화(눈모양 감게) 합니다.
[가장 가까운 포인트], [지오태그된 사진] 등을 비활성화 해야 포함이 안됩니다.
3. 공유버튼을 눌러 KMZ 파일로 내보내기 합니다.
⊙ 공유버튼을 누릅니다.
만일, 우측 패널에 [공유] 버튼이 나와 있지 않으면,
Locus Map Pro의 경우에는
[3선 메뉴 > 추가기능 > 공유 ]를 노릅니다.
Locus Map 4의 경우에는
[3선 메뉴 > 모든기능 > 공유> 공유] 를 누릅니다.
⊙ 맨 아래 [ 모두 kmz로 ] 를 누릅니다.
⊙ 그러면 locus / export 폴더에 kmz 파일로 저장이 됩니다.
4. 그 kmz 파일을 [가져오기'] 합니다.
kmz 파일 속에는 이미 포인트와 트랙이 합쳐진 상태입니다.
kmx 파일을 gpx 파일로 변환하기 위해서 먼저 가져오기를 할 때
꼭 주의할 것은
[ ] 트랙에 포인트 합치기
에 반드시 체크 ON 해야합니다.
5. 가져오기한 트랙을 내보내기 하여 gpx 파일을 얻습니다.
이렇게 가져오기한 트랙에는 포인트가 합쳐진 상태이므로 파일명을 확정하고 내보내기하면 드디어 트랙에 포인트가 합쳐진 다시말하면 POI를 Waypoint로 변환한 gpx 파일이 탄생됩니다.
(질문) 트랙은 지리산 것에 포인트는 설악산 것 을 합칠 수 있을까요?
(정답) 이에 대한 정답은 이미
"§1. Waypoint 와 POI의 개념과 차이점 이해"
첫 문단에서 말씀드렸습니다.
§8.3. 직접 GPX 파일을 편집하여, POI를 Waypoint로 변환하기(포인트와 트랙을 한 파일로 합치기)
이번에는 텍스트 에디터로 gpx 파일을 직접 편집하는 방식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블록을 설정하여 복사 붙이기만 할 수 있으면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 GPX 파일의 내용 구성 블록
A) 포인트+트랙 파일의 블록
블록 1. 머리 부분
블록 2. 포인트 부분
블록 3. 트랙 부분
블록 4. 꼬리 부분
B) 포인트만 있는 파일의 블록
블록 1. 머리 부분
블록 2. 포인트 부분
블록 3. 트랙 부분
블록 4. 꼬리 부분
C) 트랙만 있는 파일의 블록
블록 1. 머리 부분
블록 2. 포인트 부분
블록 3. 트랙 부분
블록 4. 꼬리 부분
⊙ 포인트와 트랙이 합쳐진 gpx 파일은 A)처럼, 블록이 4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포인트만 있는 경우는 B)처럼, 트랙 부분만 삭제되어 없는 상태입니다.
⊙ 트랙만 있는 경우에는 C)처럼, 포인트 부분만 없습니다.
위 A, B, C 의 블록을 보고 가만히 생각을 해보세요.
B와 C를 합쳐서 A를 만들 수 있겠지요.
C의 입장에서 보면 없어진 "포인트 부분" 만 B에서 가져와 채워 넣으면 4개의 블록이 완성되겠습니다.
다시 말하면, 포인트와 트랙이 합쳐진 새로운 파일을 생성할 수 있게 됩니다.
○ 핵심 정리 ○
< 파일편집 방법으로 트랙에 포인트 합치기 >
ㅇ포인트 파일의 몸통 추출하기
• 머리 부분은 1행~13행까지 삭제하고
• 꼬리 부분은 마지막 줄 태그를 삭제하고
• 남은 몸통 부분을 복사하여
ㅇ트랙 파일에 포인트 몸통을 붙여넣기
• 트랙의 13행과 14행 사이에 끼워넣고
• 파일을 저장합니다.
이후부터는 따라하기 좋게 자세한 설명입니다
워드프로세서로 문서를 만들 때 복사해서 붙이듯이 하면 됩니다. 아주 쉬운 작업입니다.
많이 사용하는 텍스트 에디터는 PC용으로 notepad++ 가 있습니다.
필자가 사용중인 폰용 에디터는 QuickEdit 입니다. 이것으로 설명합니다.
○ QuickEdit 설정과 간단한 사용법
사용법은 다른 에디터와 대동소이 합니다.
위의 화면에서 상단의 아이콘을 무두 눌러보세요. 설명이 필요 없을 만큼 직관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설정 한 가지만 설명합니다.
첫 화면에서 상단의 맨 오른쪽 3점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회면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워드 랩(다음 행으로 자동 넘기기)" 에 체크 ON 합니다.
○ 실습용 파일 다운로드
• 포인트만 들어 있는 파일
• 트랙만 들어 있는 파일
○ gpx 파일을 QuickEdit 에서 열기
파일관리자로
Download/daumcafe 폴더에 가서
위에서 다운로드한 포인트 파일인
Point_211021_전남장성_장성호수변길(동편-편도)_SGR-D_일화.gpx
파일을 길게 누르고,
더보기(•••) / 연결프로그램 / QuickEdit / 항상
을 차례로 눌러서 불러옵니다.
(이렇게 항상으로 해두면 다음 부터는 파일관리자에서 gpx 파일을 탭만 해도 자동 열기가 되니 편합니다. 다음에 로커스맵으로 연결시키려면 길게 눌러서 연결을 바꾸면 됩니다.)
이제부터 할 일은 포인트 파일의 "머리 부분"과 "꼬리 부분"을 삭제 하고, 남아 있는 "포인트의 몸통 부분"을 복사하여 트랙 파일의 해당 블록에 붙여 넣기를 할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어디가 그 블록의 경계인지를 잘 파악하는 일입니다.
이어지는 설명을 놓치지 마시고 주목하세요.
○ 포인트 퍄일의 머리 부분 삭제하기
경계는 13행 </metadata>까지
머리 부분 블록은 처음부터 13행 까 입니다.
13행 내용은
</metadata> 입니다. 행번호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 13행 윗부분을 블록 설정 요령
13행의 </metadata> 글자를 [더블 탭]합니다
그러면 아래 화면처럼 그 단어가 블록 설정이 됩니다.
그 단어를 중심으로 블록을 확장하면 됩니다.
먼저 오른쪽 손잡이를 잡고 오른쪽으로 끌어서 ">" 글자도 선택되게 합니다.
그 다음에는 왼쪽 손잡이를 잡고 위쪽으로 끌고 가서 1행의 첫글자까지 모두 블록으로 아래와 같이 감싸지게 합니다.
⊙ 머리 부분 삭제하기
위와 같이 머리 부분은 1행부터 13행까지 블록이 설정되면 상단에 아이콘이 나타나는데,
가위모양은 "오려두기"
가위모양의 왼쪽은 "전체 선택"
가위모양의 오른쪽은 "복사하기"
가위모양의 오른쪽 두번째는 "붙여넣기"
삭제는 없네요.
그래서, 가위 모양을 눌러서 오려두기 하면 블록으로 설정한 부분이 아래처럼 사라집니다.
첫줄의 빈줄은 두 번째 줄의 맨 앞에 커서를 놓고 백스페이스를 누르면 지워집니다.
○ 포인트 파일의 꼬리 부분 삭제하기
꼬리 부분은 의외로 간딘합니다.
파일의 맨 마지막 줄 한 줄만 삭제 하면 됩니다.
맨 마지막 줄을 찾아가려면 위의 화면에서 상단 우측 3점을 누르면, <화면8-7>처럼 메뉴가 나타납니다.
여기서 3번째 줄 "▷▷ 줄번으로 이동" 을 누르면 다음 화면이 나타납니다.
위 화면에서 녹색 사각형 안의 숫자는 1행부터 마지막 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빨간 사각형 안에 마지막 행번호 "641;을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커서가 마지막행으로 이동합니다.
아래 화면은 커서 마지막행 641행에 있던 것을 한 행 위에 옮겨놓은 상태입니다.
파일의 꼬리 부분은 위의 화면에서 보여주는 640행처럼 마지막 </gpx> 이라는 태그가 있은 줄을 말합니다.
즉, gpx 파일의 꼬리 부분은 </gpx> 가 있는 1개의 줄을 말합니다
이 줄 즉, 640번 줄을 삭제 하세요
빈 줄은 있으나 마나 하니 지워버리면 439행 </wpt> 가 이 포인트 파일의 마지막이 됩니다.
지금까지 길게 말햔 것 같지만,
"머리 부분은 1행부터 13행까지 지우고, 꼬리 부분은 마지막 줄을 지우세요."
이 말 한 마디 한 것이고, 나머지는 편집기 사용법이 차지하네요.
○ 포인트 몸통 부분 오려두기
머리 꼬리 다 잘라내고 몸통만 남았는데 전체 선택하고 오려두기 해봅니다.
위 화면에서 연필 모양을 누릅니다.
위 메뉴에서 [전체선택] 을 누릅니다.
그러면 상단에 아이콘이 나타나는데 그 중에서 가위 모양 버튼을 누르면 모두 "오려두기" 가 됩니다. 또는 가위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복사하기" 해도 됩니다.
이제 이 파일을 닫기 합니다. 지금 닫아야 실 수가 예방됩니다.
상단 연필 모양 왼쪽 "함 모양"을 누릅니다.
맨 아래 "닫기"를 누르고 저장하기 "아니오"를 선택하세요.
"아니오" 를 선택하세요.
무심코 저장하기 하면 원본이 덮어 써집니다.
○ 트랙 파일에 포인트 부분 삽입하기
이제 트랙만 들어 있는 파일을 불러오기 합니다.
머리 부분의 끝 문장 13행의 말미에 커서를 놓고 엔터키를 눌러서 빈줄 하나를 만듭니다.
15행이 트랙 부분이 시작되는 곳입니다. 그 앞의14행에 포인트 부분을 넣을 것입니다.
14행에 커서를 놓고, 상단의 연필모양을 눌러서 [붙여넣기] 를 누르면 아까 복사 또는 오려두었던 포인트의 몸통 부분이 들어 갑니다.
드디어 트랙과 포인트가 합쳐졌네요.
이제 이 파일을 현재의 파일명과 다르게 저장해야겠지요.
상단의 [함 모양](연필 왼쪽)에서 [다른 이름으로 저장] 을 누릅니다.
저장할 경로를 지정하고 하단의 [녹색 +] 버튼을 누릅니다.
이 화면에서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하면 화면이 아래와 같이 바뀌는데 여기서 파일명을 고쳐야 덮어써지지 않겠지요.
맨 앞의 "Track" 을 "Edit" 로 바꾸고 [저장]을 누릅니다.
다 끝났으므로, 상단의 [함 모양]에서 [닫기] 를 누릅니다. 그러면 이미 저장했으므로 아까처럼 저장할꺼냐고 묻지 않고 문서 창이 닫힙니다.
이 어플을 종료하려면 상단 왼쪽 3선 메뉴 버튼에서 [종료]를 눌러 끝냅니다.
이제 남은 일은 만들어진 파일을 Locus에서 가져오기하여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내부 파일명을 다시 고쳐서 내보내기 해야 제대로 완성이 됩니다.
○ 내부 파일명으로 고쳐서 내보내기(마무리)
아까 에디터에서 다른 이름으로 내보내기한 다음 파일을 로커스에서
⊙ 다음 파일을 가져오기 합니다.
EDIT_211021_전남장성_장성호수변길동편-편도_SGR-D_일화.gpx
[ ]트랙에 포인트 합치기
에 체크 ON하고 가져와서 포인트가 들어 있는지 이상유무를 살펴봅니다.
⊙내부 파일명을 바꾸고 내보내기 합니다.
바뀌지 않았으므로 접두어
"Track_" 를
"Edit_wptTRK_" 로
바꾸고 [내보내기]합니다.
이렇게 하여 gpx 파일을 편집하는 방식으로 트랙에 포인트를 합쳐 보았습니다.
○ 개념정리
"포인트 파일의 1행~13행과 끝 태그 한 줄을 삭제하고 남은 부분을 복사하여, 트랙 파일의 13행 다음에 붙여넣기 하면 됩니다."
이런 간단한 개념을 따라해보도록 설명을 하다보니 길어 졌습니다.
§8.4. 포인트와 트랙을 한 파일로 합치기 할 때 KMZ 방식과 편집 방법의 차이첨
○ 용량의 차이점
위에서 실습했던 파일의 용량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ㅇ기록한 원본 파일 크기 : 494KB
ㅇ편집 방식 파일 크기 : 494KB
ㅇKMZ방식 파일 크기 :157KB
편집 방식은 원본과 용량 크기가 비슷하여 KB 단위에서 서로 같습니다.
그러나, KMZ 방식은 원본 크기의 32% 정도 밖에 되지 않습니다. 다시말하면 용량이 68% 즉, 2/3 가 사라지고 없어진 것입니다.
트랙 파일 속에는 위치정보 외에도 이동정보, 센서정보, 로커스가 생성하는 다양한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KMZ 방식은 그 정보들의 2/3 가 휘발되어 없어졌3으니 너무 의아합니다.
○ 처리 방식의 간편성
이것은 숙달 정도에 따라 다릅니다.
필자의 경우는 편집 방식이 단순합니다.
○ 방법의 선택
사용 목적에 따라 어떤 방식을 선택할지는 각지가 알아서 정할 일입니다.
필자는 무조건 언제나 편집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글쓴이 - 일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