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두꼼치 : Careproctus furcellus Gilbert et Burke
► 외국명 : (영) Snailfish, (일) Ogurokonnyakuuo (オグロコンニャクウオ)
► 형 태 : 크기는 최대 전장 54㎝ 정도이다. 배지느러미 사이에는 1개의 작은 흡반이 있다. 항문은 새공의 뒤끝보다 조금 앞쪽에 위치한다. 주둥이, 윗입술과 아래턱에는 수염 모양의 촉수가 없다. 양 턱에는 날카로운 단첨두형의 이빨이 있다. 가슴지느러미 위쪽 연조 끝은 실처럼 길게 연장되지 않는다. 가슴지느러미에는 결각이 없지만 있는 경우에는 매우 흔적적이다. 주둥이 앞부분은 둥글며 앞족으로 돌출한다. 몸은 전체적으로 밝은 갈색을 띠며,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기저는 갈색을 띠지만 바깥쪽 가장자리와 꼬리지느러미는 검다.
크기는 전장 50㎝ 정도이다. 주둥이, 윗입술과 아래턱에는 수염 모양의 촉수가 없다. 주둥이 앞 부분은 둥글며, 앞쪽으로 튀어나와 있다. 양 턱에는 끝이 날카로운 이빨이 있다. 아가미구멍의 아랫부분은 가슴지느러미 기저(base:기관 또는 부속기관과 몸통과 연결되는 부위) 상단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에 가시는 없다. 가슴지느러미의 위쪽 연조(soft ray:마디가 있고 끝이 갈라져 있는 지느러미 줄기) 끝은 실처럼 길게 늘어나 있지 않다. 가슴지느러미에는 오목하게 팬 부분이 없지만, 있는 경우에는 흔적만 남아 있을 정도로 작다. 배지느러미 사이에는 1개의 작은 흡반이 있다. 항문은 아가미구멍의 뒤끝보다 조금 앞쪽에 위치한다. 몸은 전체적으로 밝은 갈색을 띠며,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기저는 갈색을 띠지만 바깥쪽 가장자리와 꼬리지느러미는 검다. 복막은 검은색이고 위는 옅은 색이다.
► 설 명 : 심해 저서성 어류로 수심 100~1,270m의 심층에 서식한다. 일본에서는 왕게科의 황금대게(영명 Golden King Crab, 학명 Lithodes aequispinus)의 아가미강내에서 알이 기생하여 부화한 것이 확인되었다는 보고가 수산 증식 학회지에 공표되었다.
► 분 포 : 한국(동해안), 일본(북해도 이북), 러시아(캄차카반도), 오호츠크해, 베링해 등 북태평양 해역에 널리 분포한다.
► 비 고 : 본종은 체색이 C. cyclocephalus와 매우 유사하지만 후자는 가슴지느러미 위쪽 연조의 끝이 실처럼 연장되어 있는 것이 본종과 다른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