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가 태어나서 자라고 공부하던 고향이지만 내가 살던 동네의 유래가 무엇인지 모르고 살아가고 있는것 같아서 올려 보았습니다. <자료출처 : 초촌면사무소>
|
연화리 연화리는 야산과 들이 절경을 이루어 가경지로 알려져 있으며 백제 사비시대에는 연화지에 왕궁의 꽃놀이 경승지가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말기 연화지라는 큰 연못이 있다하여 연못골 또는 연화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혁 때 상연리, 하연리, 내연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연화리라 하여 초촌면에 편입되었다. 자연마을로는 하연, 안골, 양지편 등이 있으며 청동기시대 유적인 세형동검이 4점 출토되었다. 추양리 추양리는 사비시대 교통의 요지였으며 백제멸망 후 잔여세력들이 끈질기게 저항한 지역으로 임진왜란 이후 전주이씨의 집성촌을 이루기 시작했다. 마을 앞에 오래된 떡나무(楸木)가 있어 고추동, 고추골로 불리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혁 때 고추동, 응양리 일부를 병합하고 고추와 응양의 이름을 따서 추양리라 하였다. 자연마을로는 황못들, 안말, 넘말, 양상 등이 있다. 초평리 초평리는 초촌면의 최남단에 위치한 야산지대에 자리하여 사비시대에 이미 큰 마을이 조성되었으며 백제 멸망 직전에 신라군과의 접전이 잦았던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고려 때부터 충주지씨가 집성촌을 이루었고 고려 말 농부들이 단합하여 왜구를 쫓아낸 유일한 지역이기도 하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 때 초리, 하평리를 병합하여 둘의 이름을 따서 초평이라 하고 초촌면에 편입되었고 죽현, 말미, 마산, 새울, 봉곡이라 불리는 자연마을이 있다. 송국리 송국리는 백제 이전부터 관아가 있었던 곳으로, 매장문화재의 발굴을 통해 북쪽에서 남쪽으로 이동하던 인류가 의식주를 해결하던 장소였음이 밝혀진 지역이다. 조선시대 말 하국리, 하평리, 신송리 일부와 노성군 소사면 덕상동 일부를 병합하여 신송과 하국의 이름을 따 송국리라 하였다. 우리나라 청동기시대 취락지로 가장 유명한 송국리 선사취락지가 위치해 있다. 응평리 응평리는 초촌면의 서쪽에 위치해 응평천을 사이에 두고 넓은 들이 펼쳐진 지역에 자리하고 있으며, 백제때는 사비성을 지키는 외곽성의 전초기지가 있었던 곳이다. 백제 멸망 후 부흥군의 거점이 되기도 했으며 오랫동안 백제혼을 유지했던 곳으로 소문나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 때 상평리, 중평리, 탑동, 응동 일부를 병합하여 응동과 중평의 이름을 따서 응평리라 하였고 건평, 매골, 응동, 오평이라 불리는 자연마을이 있다. 세탑리 세탑리는 면내에서 비교적 산악지대가 많은 지역으로 초촌면 중앙을 흐르는 응평천의 발원지이기도 하다. 망월산을 중심으로 펼쳐진 산악지대와 야산, 들이 가경을 이룬다 하여 고려 때부터 조서시대에 걸쳐 시인들이 요람지였다고도 한다. 고려 때부터 청주한씨와 금녕김씨가 집성촌을 이루고 있으며 행정구역 개혁 때 탑동리와 신송리, 세동과 보각리 일부를 병합하여 세동과 탑동의 이름을 따 세탑리라 하여 초촌면에 편입되었다. 신암리 신암리는 초촌면의 서북쪽에 위치해 부여와 경계를 나누고 남으로는 석성면과 접하며 감투봉을 중심으로 산악지대가 많이 자리하고 그 중앙에 들이 펼쳐져 있다. 조선시대 초기에 바위가 많이 있으므로 신암이라 불렸으며 반남박씨, 신천강씨가 정착하여 집성촌을 이루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 때 중리와 보각리 일부, 그리고 석성군 증산면 건평리 일부를 병합하여 신암리라 하고 초촌면에 편입되었다. 송정리 송정리는 초촌면의 다른 지역에 비해 늦은 고려 초기에 인류가 정착하기 시작했고, 마을의 형성은 고려 말기로 추정된다. 조선시대에 칠원윤씨, 함평이씨, 함안조씨가 정착하여 집성촌을 이루었고 조선 말기에 이르러는 넓은 농경지로 비약적인 발전을 하게된 지역이다. 조선시대 말기에 뒷산 마루에 소나무 정자가 있었으므로 소정이, 장마루, 정마로 또는 송정이라 하였다. 진호리 진호리는 초촌면의 동북쪽에 위치해 북쪽으로 하관천이 흐르고 동쪽의 등성이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들로 일관된 지역이다. 조선시대 말기에 노성군 소사면의 지역으로서 긴 호수가 있었으므로 진물 또는 진호라 하였고, 행정구역 개혁 때 비안동, 신룡리와 회화리, 왕촌의 일부와 공주군 곡화천면 신흥리 일부를 병합하여 진호리라 하고 초촌면에 편입되었다. 들이 메마른 지역이라 하여 건평, 기러기가 많다하여 비안이라 불리는 자연마을 등이 있다. 소사리 소사리는 하관천과 석성천의 풍부한 수원을 공급 받고, 서북쪽으로 낮은 야산지대가 자리하고 남동쪽으로 넓은 들을 조성하는 지역에 위치해 있는데 석성천의 범람으로 지역이 자주 변동되었다고 한다. 조선시대 말기에 노성군의 지역으로 새, 즉 풀이 무성하였으므로 소새 또는 소사라 하였는데, 행정구역 개편 때 장찬리, 하관리, 상관리, 수랑동과 진호리, 송정리 일부를 병합하여 소사리라 하고 초촌면에 편입되었다. 산직리 산직리는 초촌면의 남쪽에 위치해 북쪽 감투봉을 주축으로 동남쪽으로 흐르는 낮은 산악지대가 야산으로 변모하면서 석성천 가까이서 들로 내려앉는 그 주변에 자리한다. 조선시대 말기에 산지기가 살았으므로 산식말 또는 산직촌이라 하였다. 자연마을로는 백제 때 재상이 낙향하여 덕을 쌓고 살았다 하여 덕상골, 등성이 넘어 있으므로 등너머, 세 갈래의 길이 있다하여 삼가리 등이 있으며, 청동기시대의 지석묘가 자리하고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