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우영이집-(전기공무원)
 
 
 
카페 게시글
Q&A 게시판 변압기 무부하 시험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신승오 추천 0 조회 163 23.04.27 18:29 댓글 4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3.04.29 09:02

    첫댓글 1.이 때 '정격전압'이 '2차측(저압측) 정격전압'이 맞습니까?
    ==> 네.. 전원을 인가하는 쪽의 정격전압을 인가하면 됩니다.

    2.그 이유는 '2차측(저압측)을 개방하고 1차측(고압측)에 1차측 정격 전압을 인가한다면 위험하기 때문'이 맞습니까?
    ==> 네.. 위험하고 그렇게 실험을 하기도 힘들고요..

  • 23.04.29 09:10

    3.무부하 시험시 여자전류(무부하 전류)가 흐르는 부분[철손을 발생시키는 저항과 자화 전류가 흐르는 리액턴스(코일)가 병렬로 연결 되어 있는 부분]은 전압을 인가 하는 쪽에서 나타나는(?)회로가 맞습니까?
    ==> 네.. 1차측에서 인가하면, 1차측 회로가 되고,, 2차측에서 인가하면, 2차측 회로가 됩니다.
    대신 그때의 값들은 서로 다른 값이겠지요.
    각각의 전압전류의 비에 의해서 여자회로가 결정되니..
    1차측에서 구한 여자회로와 2차측에서 구한 여자회로는 값은 다르지만,
    서로 환산을하면, 같은 결론이 나오게 되어있습니다.


    설명을 위해서 1차측을 2차측으로 환산한 변압기 등가회로를 그려봤는데 여자회로(?)의 서셉턴스와 컨덕턴스를 제대로 표기했는지 그리고 여자 어드미턴스를 구하는 식을 제대로 적었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권수비가 a일 경우)
    ==> 특별히 환산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2차측에서 전압 전류를 측정하는 것이니.. 여자회로가 2차측에서의 전압 전류로 계산한 값이니까요..
    만일 1차측에서 인가한 회로를 2차로 환산을 해야할때만 환산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님의 회로가 1차측에서 구한 값을 2차로 환산한 값이라면 바르게 하신 것 같습

  • 23.04.29 09:11

    4. 교재는 보니까 무부하 시험을 할 때는 승압 변압기 기준으로 해서 '2차측(고압측)을 개방하고 1차측(저압측)에 1차측 정격 전압을 인가한다' 이런식으로 설명이 되어 있고 단락시험을 할 때는 강압변압기 기준으로 설명이 되어있는 거 같아서 그렇게 생각하면 쉬운거 같은데 저는 강압 변압기를 기준으로 무부하 시험도 하고 단락시험도 하려고 해서 그런가 싶기도 합니다. 그냥 교재처럼 무부하시험은 '승압 변압기' 단락시험은 '강압변압기' 이런식으로 생각해서 문제 풀까요?
    아래 사진은 교재 내용입니다.

    ==> 네.. 그냥 편안하게 생각하고 문제를 푸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여자회로는 항상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를 기준으로 정의를 하는 것이 좋으니까요..

    암튼 끝까지 열심히 잘해봅시다.

  • 작성자 23.04.29 09:13

    감사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