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 #8, #10, #12 라는 분기기는 쉽게 이야기 해서 종방향대 횡방향의 비율로 표시하는 것으로 숫자가 커질 수록 분기기의 크기(길이)도 커지게 됩니다. 고로 큰 숫자의 분기기는 고속도 분기에 적합한 것 입니다. 일명 슈퍼 드래프트라 불리우는 기지용, 혹은 구내선로 분기기의 경우엔 큰 속도로 통과할 필요가 없으므로 낮은 숫자의 분기를 이용합니다. 다시말해 분기기의 숫자가 커질 수록 분기기가 허용하는 통과속도가 증가하기에 열차 운행에 지대한 영향을 주므로 가장 적합한 분기기를 사용하고자 많은 종류의 분기기가 쓰이는 것입니다. 그리고 하나 더. 분기기의 종류는 #8, #12 이런식의 종횡비 뿐만 아니라 분기하는 방식, 선로상태
분기기의 번호가 여러개인이유는 철도차량이 곡선부를 원활하게 주행하려면 캔트 슬랙이 있어야 하는데 특히 캔트가 중요합니다. 캔트는 외측레일을 높여주는것으로 곡선부 주행시 곡선외부로 받는 원심력에 의하여 차량이 전도되지않게 하기 위함입니다. 분기기는 일종의 곡선부라 할수있는데 이때 분기기의 특성상 켄트를 주지못함으로 제한속도가 있는것입니다.
첫댓글 #8, #10, #12 라는 분기기는 쉽게 이야기 해서 종방향대 횡방향의 비율로 표시하는 것으로 숫자가 커질 수록 분기기의 크기(길이)도 커지게 됩니다. 고로 큰 숫자의 분기기는 고속도 분기에 적합한 것 입니다. 일명 슈퍼 드래프트라 불리우는 기지용, 혹은 구내선로 분기기의 경우엔 큰 속도로 통과할 필요가 없으므로 낮은 숫자의 분기를 이용합니다. 다시말해 분기기의 숫자가 커질 수록 분기기가 허용하는 통과속도가 증가하기에 열차 운행에 지대한 영향을 주므로 가장 적합한 분기기를 사용하고자 많은 종류의 분기기가 쓰이는 것입니다. 그리고 하나 더. 분기기의 종류는 #8, #12 이런식의 종횡비 뿐만 아니라 분기하는 방식, 선로상태
등등의 조건에 따라 또다른 분류방식으로 나누며 적합한 분기기를 제작합니다.
분기기의 번호가 여러개인이유는 철도차량이 곡선부를 원활하게 주행하려면 캔트 슬랙이 있어야 하는데 특히 캔트가 중요합니다. 캔트는 외측레일을 높여주는것으로 곡선부 주행시 곡선외부로 받는 원심력에 의하여 차량이 전도되지않게 하기 위함입니다. 분기기는 일종의 곡선부라 할수있는데 이때 분기기의 특성상 켄트를 주지못함으로 제한속도가 있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