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헌윤봉길의사기념사업회, 매헌윤봉길의사 상하이의거90주년 기념식 및 나라사랑 체험한마당 개최해..
정의진 ・ 3시간 전
URL 복사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공유하기
‘매헌윤봉길의사 의거90주년 기념식’이 오는 4월 29일(금) 오전 10시, 매헌윤봉길의사기념관 광장에서 매헌윤봉길의사 의거 9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위원장 이종찬)가 주최하고, 매헌윤봉길의사기념사업회(회장 명노승)의 주관으로 개최된다.
이번 기념식은 1932년 4월 29일 일제 침략의 원흉인 시라카와대장을 비롯한 일본 침략자들을 응징 처단하여 꺼져가던 독립의 불씨를 되살리고 독립 의지를 전세계에 알린 매헌윤봉길의사의 의거 90주년을 맞이하여 거행하는 것으로 김부겸 국무총리을 비롯해 황기철 국가보훈처장과 박희태, 김형오 전 국회의장, 황교안 전 국무총리, 전주혜, 정운천 등 국회의원과 윤주경 의원을 비롯한 유족, 선열단체장 및 회원, 윤봉길함 승조원, 시민 등 1,000여 명이 참석하여, 매헌윤봉길의사 평전 헌정을 포함한 기념식을 거행한다.
또한 같은날, 10시부터 16시까지 서울경기권 현충시설과 협력하여 매헌기념관 주차장 일대에서 “상하이의거 90주년 기념 나라사랑 체험한마당”을 실시한다.
현충시설은 국가를 위해 희생하거나 공헌한 분들의 공로를 기념하기 위해 만든 시설로 서울경기권 10개관이 모여 실시하는 이번 체험한마당은 각 기관의 독립운동 인물과 사건을 체험교육행사로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상하이의거 90주년을 기념하고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윤봉길의사를 비롯한 독립운동사에 대한 관심과 나라사랑하는 마음을 고취시키고자 기획된 체험한마당은 코로나-19로 대면행사가 어려웠던만큼 사전예약 호응이 높았다.
대표 체험내용으로는 안중근기념관(안중근의사와 함께한 156일의 기록-팝업북만들기), 도산안창호기념관(스칸디아모스 키트만들기), 서대문형무소역사관(독립운동가 매직큐브만들기) 등 각 기념관 별로 특색있게 10여개 독립운동 체험이 준비되어 있다. 매헌기념관은 상하이의거 90주년을 기념하여 서예전시회, 탄신음악회, 특별전시회, 시낭송대회, 전국서예휘호대회, 국제학술회의 등 다채로운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밖에 ‘매헌서예교실 수강작품 전시회’ 등의 행사도 함께 이루어진다.
오는 6월 7일에는 매헌윤봉길의사 상하이의거90주년 기념음악회를 예술의 전당에서 진행하며, 음악회에는 장사익을 비롯한 다수의 출연진이 함께하며, 싱어송라이터 윤형주가 누구나 함께 부르기 쉬운 윤봉길의사의 로고송을 발표할 예정이다.
매헌윤봉길의사 주요 공적
매헌윤봉길의사는 충남 예산에서 태어나 어린 마음에도 일본의 노예를 키우는 학교 교육을 거부하고, 오치서숙에서 한학을 배우면서 300여 편의 주옥같은 작품을 엮어 5권의 한시집을 남긴 문학가였으며,
공동묘지 묘표를 모두 뽑아 부친의 산소를 찾는 문맹의 젊은이를 보고 ‘일본의 침략보다 더 무서운 것이 바로 무지이다’라는 것을 깨닫고 야학을 개설해 <농민독본>을 직접 써서 학생들에게 우리 말과 역사, 문화 등을 가르치며 독립 정신을 고취시킨 선각자요 애국계몽운동가였다.
1930년 3월 6일 23세에 ‘장부출가생불환(丈夫出家生不還:장부가 뜻을 세워 집을 나가니 살아 돌아오지 않는다)’이라는 글을 남기고 망명의 길을 떠나 청도를 거쳐 1931년 6월 23일(음 5월 8일)에 상하이로 간 윤의사는 기회를 엿보던 중 1932년 4월 29일, 상하이 홍커우공원에서 일제의 침략을 이끌던 원흉들을 폭탄으로 저격해 시라카와 대장 등 2명을 죽이고 10여 명을 부상시키며 한국인의 기상과 독립 의지를 세계만방에 알렸다.
윤봉길 의사는 25세의 짦은 삶을 살았지만 언행에서 더할 수 없는 선각자요 성자였다. 최후의 순간에도 한국인이라는 긍지와 위엄, 지조를 지키며, 죽음을 눈앞에 두고 있던 마지막 순간까지 ‘나라의 독립은 머지않아 꼭 실현되리라 믿어 마지않으며 대한 남아로서 할 일을 하고 미련없이 떠나간다’라고 유언했다.
윤의사는 거사 후 그 자리에서 붙잡혀, 그해 12월 19일 일본 가나자와 육군 형무소에서 순국하셨으며 암장되었다. 이후 1946년 3월 6일에 암장지를 찾아내어 유해를 발굴하여 조국으로 봉환한 뒤 7월 6일에 국민장으로 효창공원 삼의사 묘역에 재 안장되었다.
정부에서는 매헌윤봉길의사의 공적을 기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매헌윤봉길의사의거90주년기념식, #매헌윤봉길의사의거90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 #이종찬위원장, #매헌윤봉길의사기념사업회, #명노승회장, #매헌윤봉길의사기념관, #매헌윤봉길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