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신교에서 성경 퀴즈 시간에
가끔 나오는 질문이 있다:
동방박사들은 모두 몇 명입니까?
물론 이 질문의 답은
"언급되어 있지 않다" 이다.
하지만 유년 주일학교 시절 부터
그렇게 훈련된 탓일까?
우린 곧잘 "물론 세 사람이지"라 답한다.
물론 외경이나 박사들이 가져온 선물들이
그 근거가 될 수 있다 한다지만 분명
신약 성경에는 명시되 있지 않다.
아래 인용한 Goethe나 Heine도 같은
편견을 가지고 있었던 것일까?
Der König aus dem Morgenland
Text: Ernst L. Schellenberg
Music: Max Reger, Op. 76, No. 60
Ich bin der König vom Morgenland,
ich bin der König vom Morgenland,
hab' am Hute ein buntes Band,
hab' in der Hand einen goldenen Stern.
Ich bin der König vom Morgenland.
Äpfel und Nüsse ess ich gern,
liebe Leute, seid so gut,
werft mir welche in meinen Hut;
komm ich dann hin zum Jesusknaben,
soll er auch einen Apfel haben,
auch einen Apfel haben.
Max Reger: Der Konig aus dem Morgenland - Peter Schreier
Die heiligen drei Könige aus Morgenland
Text: Heinrich Heine
Music: Richard Strauss, Op.56, No.6
Die heil'gen drei Kön'ge aus Morgenland,
Sie frugen in jedem Städtchen:
"Wo geht der Weg nach Bethlehem,
ihr lieben Buben und Mädchen?"
Die Jungen und Alten, sie wußten's nicht,
Die Könige zogen weiter;
Sie folgten einem goldenen Stern,
Der leuchtete lieblich und heiter.
Der Stern blieb stehn über Josephs Haus,
Da sind sie hineingegangen;
Das Öchslein brüllte, das Kindlein schrie,
Die heiligen drei Könige sangen.
Strauss: Die heiligen drei Konige aus Morgenland - Soile Isokoski
Die Könige
Text: Peter Cornelius
Music: Peter Cornelius, from Weihnachtslieder, Op. 8, No. 3
Drei Könige wandern aus Morgenland;
Ein Sternlein führt sie zum Jordanstrand.
In Juda fragen und forschen die drei,
Wo der neugeborene König sei?
Sie wollen Weihrauch, Myrrhen und Gold
Dem Kinde spenden zum Opfersold.
Und hell erglänzet des Sternes Schein:
Zum Stalle gehen die Kön'ge ein;
Das Knäblein schaun sie wonniglich,
Anbetend neigen die Könige sich;
Sie bringen Weihrauch, Myrrhen und Gold
Zum Opfer dar dem Knäblein hold.
O Menschenkind! halte treulich Schritt!
Die Kön'ge wandern, o wandre mit!
Der Stern der Liebe, der Gnade Stern
Erhelle dein Ziel, so du suchst den Herrn,
Und fehlen Weihrauch, Myrrhen und Gold,
Schenke dein Herz dem Knäblein hold!
Peter Cornelius: Die Könige - Seefried Irmgard
Epiphanias
Text: Johann Wolfgang von Goethe
Music: Hugo Wolf, from Goethe-Lieder, No. 19
Die heiligen drei König mit ihrem Stern,
Sie essen, sie trinken, und bezahlen nicht gern;
Sie essen gern, sie trinken gern,
Sie essen, trinken und bezahlen nicht gern.
Die heiligen drei König sind kommen allhier,
Es sind ihrer drei und sind nicht ihrer vier:
Und wenn zu dreien der vierte wär,
So wär ein heilger Drei König mehr.
Ich erster bin der weiß und auch der schön,
Bei Tage solltet ihr erst mich sehn!
Doch ach, mit allen Spezerein
Werd ich sein Tag kein Mädchen mir erfrein.
Ich aber bin der braun und bin der lang,
Bekannt bei Weibern wohl und bei Gesang.
Ich bringe Gold statt Spezerein,
Da werd ich überall willkommen sein.
Ich endlich bin der schwarz und bin der klein,
Und mag auch wohl einmal recht lustig sein.
Ich esse gern, ich trinke gern,
Ich esse, trinke und bedanke mich gern.
Die heiligen drei König sind wohlgesinnt,
Sie suchen die Mutter und das Kind;
Der Joseph fromm sitzt auch dabei,
Der Ochs und Esel liegen auf der Streu.
Wir bringen Myrrhen, wir bringen Gold,
Dem Weihrauch sind die Damen hold;
Und haben wir Wein von gutem Gewächs,
So trinken wir drei so gut als ihrer sechs.
Da wir nun hier schöne Herrn und Fraun,
Aber keine Ochsen und Esel schaun,
So sind wir nicht am rechten Ort
Und ziehen unseres Wegen weiter fort.
Hugo Wolf: Epiphanias
Hugo Wolf: Epiphanias - Felicity Lott
The Three Holy Kings with their star
The Three Holy Kings with their star,
they eat, they drink, and do not like to pay;
they like to eat, they like to drink,
they eat, they drink, and do not like to pay.
The Three Holy Kings are come,
there are three of them, not four:
and if to the three one added a fourth,
that would be one Three Holy King more.
"I am the first, white-haired and also handsome,
you should only see me by day!
but ah, with all these spices
I'll never win a maiden."
"I, however, am the brown-haired one and I am tall,
known well to Woman and Song.
I bring gold instead of spices,
and therefore I will be entirely welcome."
"And at last there's me, black and small,
and I'd like to have a good time as well.
I like to eat, I like to drink;
I gladly eat and drink and say thank you."
The Three Holy Kings are kindly.
They seek the Mother and the Child;
Pious Joseph is also sitting there,
and the ox and the donkey are lying upon the straw.
"We bring myrrh, we bring gold,
and the ladies will look kindly on this frankincense;
and when we have wine from good sources,
we drink, we three, as well as six can!
But here there are fine gentlemen and ladies,
and no oxen and donkeys to be seen;
so we are clearly not in the right place.
We shall continue on our way."
Melanie Köchert and Hugo Wolf
사족:
Hugo Wolf가 인용한 Goethe의 "drei König"의 내용은
세 가지의 선물을 가져와 아기 예수를 경배하는 전통적
동방박사의 얘기와는 좀 다를 뿐더러 Wolf의 곡에도
어딘가 조금은 comic한 요소가 들어있는듯 들린다.
전문가의 해설에 의하면 이 노래는 비밀 코드가 담긴
Wolf의 love song이란다 - 대상는 Melanie Köchert.
Melanie Köchert는 Wolf의 후원자인 부유한 보석상 Heinrich
Köchert의 아내이다. Wolf의 금전적 스폰서인 탓에 그는 많은
시간을 Köchert family와 보내지만 그녀의 호칭에서 한번도
자신들의 친밀한 관계를 들어내는 단어는 사용하지 않았단다.
이 노래에 담긴 비밀 코드는 "Epipany"인데 이는 1월 6일,
주현절 (Christmas 후 12일째 날)이 그녀의 생일인 연유이다.
Wolf는 이 노래를 1888년 12월 27일, 그가 Köchert family와 함께
휴일을 보내는 중 그녀에게 주는 생일 선물로 썼다는데 그렇다면
위의 본문 번역 중 아래의 의아한 부분들이 조금은 이해가 된다.
"We bring myrrh, we bring gold,
and the ladies will look kindly on this frankincense;
and when we have wine from good sources,
we drink, we three, as well as six can!
But here there are fine gentlemen and ladies,
and no oxen and donkeys to be seen;
so we are clearly not in the right place.
We shall continue on our way."
Melanie Köchert는 Wolf가 정신병원에 입원해 있는 동안 매주
몇번씩 병실을 방문했다는데 Wolf가 죽고 약 3년 후 자신의
아파트 5층에서 뛰어내려 자살한다.
|
첫댓글 아름다운 노래,
흥미있고 조금은 아릿한 이야기로군요.....
처음엔 읽고 들으며, 셋인가 아닌가가 그렇게 중요한 사안인가?~~~
생각했었지요.
또 알게되는 듣게되는 성탄절 노래, 음악들이로군요^^!
감사합니다.
별을 좇는 세 명의 동방 박사.
그들은 먹고 마시지만 돈 내는 건 싫어한다네.
그들은 먹고 마시기만 좋아 하지.
그들은 먹고 마시지만 돈 내는 건 싫어한다네.
세 명의 동방 박사 모두 여기에 왔네,
넷이 아니라 셋이서.
셋에 네 번째를 보태면
동방 박사가 한 사람 더 늘겠지.
“나는 첫 번째야. 머리가 하얗고 잘 생겼지,
나를 환한 대낮에 봐야 하는데!
하지만 아, 내 모든 향료로도
그 어떤 처녀의 마음도 얻을 수 없어.”
“그 다음은 나야. 머리가 갈색이고 키도 크지,
여자도 잘 알뿐더러 노래도 또 잘 하지.
나는 향료 대신 황금을 갖고 왔어,
그러니 난 어딜 가나 환영 받을 거야.”
“마지막은 나야. 까무잡잡하고 키도 작지만,
나도 흥겹게 놀기를 좋아하는 걸.
먹고 마시기를 좋아하지.
나는 신나게 먹고 마시고는 고마워하지.”
세 명의 동방 박사는 인정이 많다네.
그들은 성모와 성자를 찾고 있지.
독실한 요셉도 거기 앉아 있고,
소와 당나귀는 짚 위에 누워 있다네.
“우리는 몰약(沒藥)과 황금을 갖고 왔지,
그리고 여인네들은 이 유향(乳香)에 눈독을 들이겠지.
좋은 과실로 만든 포도주가 있으면
우리 셋은 여섯이서 마시듯 할 거라네!
하지만 여기에는 멋진 신사와 숙녀들이 있군,
그리고 소와 당나귀는 간 곳 없네.
우리는 분명 엉뚱한 데 온 게야.
그러니 우리는 가던 길을 계속 가야겠네.”
재미있었습니다.
가벼운 웃음이 나오는...^^
더구나 Felicity Lott의
경쾌하고 코믹한 연주는 재미를 더하고...^^
휴고 볼프의 삶을 보면
성격적으로 괴팍할 것 같은데
이런 경쾌한 곡도 썼네요, 더구나 연인한테...
말씀하신대로 생각하며 읽어가니
그 숨은 뜻을
마지막에 가서야 슬쩍 내 비치는...
단 몇 줄의 은유(隱喩)로
마음을 전한 게 아닐까 싶네요.
오늘은 휴고 볼프.
휴고 볼프(1860.3.13 ~ 1903.2.22)는 슈베르트의 흐름을 계승한
오스트리아 최대의 가곡 작곡가의 한 사람으로서
파란 많은 일생을 보냈네요.
15세에 빈 음악원에 다녔으나 2년 만에
학과 성적이 나쁜데다 선생과 다투어
퇴교처분을 당한 뒤
생활고와 싸우면서 독학 했습니다.
바하, 베토벤, 바그너를 존경했고,
특히 바그너의 작품에 깊이 심취하며
낭만파의 가곡에 극적인 생명을 둔
날카로운 감각의 세계를 개척해 갔으나,
1890년 30세에 심한 신경 쇠약 때문에 잠시 창작을 중지한 적도 있고,
1897년 37세 때 정신병원에 입원했다가 얼마 뒤 퇴원했으나,
이듬해 가을에 갑자기 발광을 일으켜 호수에 투신하여
빈의 정신병원의 엄중한 감시 아래 거의 폐인으로 지내다
4년 후인 42세의 젊은 나이에 생을 마감하네요.
그의 가곡은 약 500여곡이나 있는데,
바그너의 영향을 받고 있기는 하나
매우 독창적이며, 심각하면서도
예민한 감성을 지녔지요.
500여곡의 그의 가곡 중에
《뫼리케 가곡집》,《아이헨도르프 가곡집》
《괴테 가곡집》등등.. 낯익을 가곡집들에 반가움도 있네요.^^
바로 이 괴테가곡집에 있는 곡이군요.
저도 몇 곡 있는데 그의 음악은
대체적으로 진지하고 깊게 느껴집니다.
An eine ?olsharfe-M?rike Lieder(Hugo Wolf-Fischer Dieskau)
Kennst Du Das Land-Lieder from Goethe’s “Wilhelm Meister(Hugo WolfElisabeth Schwarzkopf)
Und willst du deinen Liebsten sterben sehen [Hugo Wolf-Bo Skovhus)
Eichendofrr Lieder No.3 Verschwiegene Liebe(Hugo Wolf-Ian Bostridge)
제가 좋아하는 곡들입니다.^^
많이 길어졌네요. 번역 때문에 더...
아쉽지만 여기서...^^
어쩌면 또 올지도 모르지요. 부족한 것만 같아...
근데 금, 토요일은 제가 집을 잠시 비웁니다.
아쉽네요, 또 어떤 과제가 이어질까 하는...
즐거웠고...감사드립니다, Adrian 님.^^
그렇군요!
한마디로
WOW! 입니다.ㅎㅎ
모두들 복된날 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