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학상장(敎學相長) 효학반(斅學半)
늘 배우려고 하는 이 고사성어 유래가 선행도 하게 해주어 정말 유익하게 되었습니다
항상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하여 선행을 힘쓰되 도중에서 해이해져는 안 되며,
끊임없이 배운다는 것에 힘쓰되 도중에서 해이해져서는 안되며,
끊임없이 배운다는 것에 힘써 정진하기만 하면 덕이 닦여 자기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계속 진보해 간다.
또한 언제 자기가 진보했는지 확실히 알지는 못하나 꾸준히 노력하면 언젠가는
자기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덕도 높아지고 지혜도 밝아져 많은 사람을 교도할
수 있게 된다."
교학상장 敎學相長:남에게 학문을 가르치는 일은 자기에게도 학력을 더하는 이익이 된다
敎 : 가르칠 교 學 : 배울 학 相 : 서로 상 長 : 클 장
효학반 斅學半 가르치는 것은 배움의 절반이다
斅:가르칠 효. 學:배울 학. 半:절반 반 .
스승은 학생에게 가르침으로써 성장하고, 제자는 배움으로써 진보한다는 말이다.
오늘도 이렇게 효학반이나 교학상장으로 자신을 스스로 돌아보며 배움과 함께 선행도 함께
덕이 닦여 알지 못하는 사이에 진보해 나가는 서예교실이 되리라 다짐하는 시간이됩시다
중국 오경(五經)의 하나인 《예기(禮記)》의 〈학기(學記)〉편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좋은 안주가 있다고 하더라도 먹어 보아야만 그 맛을 알 수 있다.
또한 지극한 진리가 있다고 해도 배우지 않으면 그것이 왜 좋은지 알지 못한다. 따라서 배워 본 이후에 자기의 부족함을 알 수 있으며, 가르친 후에야 비로소 어려움을 알게 된다.
그러기에 가르치고 배우면서 더불어 성장한다고 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배움이 깊을수록 겸허(謙虛) 해 진다는 뜻으로 비유해도 좋을 것이다.
학문이 아무리 깊다고 해도 가르쳐 보면, 자신이 미처 알지 못하는 부분이 적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된다.
따라서 스승은 부족한 곳을 더 공부하여 제자에게 익히게 하며 제자는 스승의 가르침을
남김없이 받아 더욱 학식이 풍부한 인재로 성장한다.
공자는 《논어(論語)》〈자한(子罕)〉 편에서 '후생가외(後生可畏)'라는 말을 했다.
즉 후진자는 젊고 기력이 왕성하므로 쉬지 않고 배우니 그 진보의 깊이는 두려워할 만하다는 뜻이다.
그만큼 젊은 사람들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는 것을 깨닫게 한다. 《서경(書經)》
〈열명(說命)〉의 하편에 보면, 은(殷) 나라 고종(高宗) 때의 재상 부열(傅說)이
'교학상장'과 같은 뜻으로 '효학반(斅學半:가르치는 것은 배움의 반이다)'이라고 하였다.
2016년 4월 6일 양덕2동 서예교실제2강
첫댓글 좋은 가르침입니다.감사합니다.
즐감
배워도 공부해도 더 배우고 더 공부합니다
한글자 잘 배우고 갑니다
감상 잘 하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