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미국 도살장에선 도대체 무슨 일이… | ||||
최영진기자/2008 06/10 뉴스메이커 778호 | ||||
‘도살장’책으로 들여다 본 충격의 현장 보고서
의식 있는 소나 돼지 도축하는 도살장 소의 도축 과정은 크게 7단계로 나뉜다. 차에 실려 도살장에 온 소는 노킹 박스나 억제기로 들어간다. 그 다음 ‘노커’라고 불리는 직원이 강철못 발사 장치를 소 머리에 쏴서 기절시킨다. 그 후 다리에 사슬을 묶어 끌어올린 후 목을 자른다. 피를 완전히 뽑아낸다. 껍질을 벗기고 머리와 다리를 자른다. 그리고 창자를 빼내고 몸통을 절반으로 자른다. 돼지의 도축 과정도 이와 비슷하다. 미국에서 ‘자비로운 도살법’이라고 부르는 과정이다. 하지만 문제는 도살 과정이 너무나 빠르게 진행되는 것이다. 노커가 너무나 많은 소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제대로 소를 기절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심지어 가죽을 벗겨낼 때까지 살아 있는 소가 있을 정도. 하지만 소가 살아 있다고 해서 컨베이어 벨트가 멈추는 경우는 거의 없다. 시간이 돈이기 때문이다. 돼지의 도축 과정에서도 비슷한 일이 발생한다. 전기 충격 장치의 전압이 너무 높으면 고기 결이 찢어진다고 하여 전압을 낮추는 것. 돼지는 살아 있는 상태에서 목이 잘리고 피를 뽑히기도 한다. 몸부림을 치는 소나 돼지에 맞아서 다치는 직원이 많이 생길 수밖에 없는 것이 도살장의 현실이다. 도살장의 심각한 위생 상태
소 도살장도 마찬가지다. 한 검사관은 작업 라인이 너무 빠르게 돌아가기 때문에 도축한 소의 몸통을 꼼꼼히 살펴보기 어렵다고 털어놓는다. 또 오염된 고기를 불량품으로 판정하거나 오염된 부위를 다듬도록 작업을 중단시키면 상사에게 질책을 받는다고 한다. 그 때문에 30㎝ 크기의 배설물 얼룩이나 농양, 굼벵이, 털과 섭취물 등이 있어도 아무런 제재나 조치 없이 그냥 통과하는 것을 직원은 그냥 지켜보는 것이다. 무기력한 수의사와 검사관들 도살장에서 일어나는 비위생적이고 비인간적인 도축을 관리 감독을 할 수 있는 사람은 수의사와 검사관이다. 저자는 미국 도살장에서 일하는 수의사와 검사관은 전혀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는 미 농무부 소속 수의사인 레스터 프리드랜더 박사에게 그 실상을 들었다. 대규모 도살장에서 근무하는 검사관은 대개 동물을 기절시키는 구역에서 몇백m 떨어져 있고, 도살 구역 사이에 장비가 너무 많아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볼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검사관은 컨베이어 벨트를 멈추는 버튼을 누를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지만, 만약 그런 사태가 일어나면 검사관이 더 곤궁에 빠진다. 즉 ‘자비로운 도살’을 점검하는 절차는 전혀 없는 셈이다. 수의사 역시 문제를 일으키기 싫어하는 경향이 많아서 도살장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서 눈을 감는 경우가 많다. 프리드랜더 박사는 “수의사 중 일부는 미 농무부 일을 그만둔 후 업계 컨설턴트로 높은 보수를 받을 수 있다는 걸 알고 자신을 보호하거나 도살장을 봐주려고 한다”고 밝혔다. 도살장과 검사관 그리고 수의사가 함께 이런 문제를 적극적으로 제기하지 못하는 것은 미 농무부 때문이다. 미 농무부는 도살장의 상황에 대해서 아무런 조처를 취하려고 하지 않는다. 프리드랜더 박사는 “미 농무부 직원이 이야기하고 싶어 하지 않는 많은 일이 벌어지고 있다. 그 사람들은 그걸 보지만 거기에 대해 아무 말도 하고 싶어 하지 않는다”고 고백한다. 저자는 자신의 책 ‘도살장’에 대해 “미국산 쇠고기 수출을 관장하고 있는 미 농무부가 대중의 건강을 보호하기보다 농산물 시장을 확대하고, 정육업계의 탐욕스러운 이윤 추구와 증가에 더 헌신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현실을 기록한 것이다”라고 소개하고 있다. 저자는 미국 도살장의 상황이 여전히 위험하다고 한국 독자들에게 경고한다. |
<고찰>경성/17/서정원
대한민국은 지금 국민의 분노와 촛불의 열기로 뜨겁게 달아올랐다.
그 열기의 근원은 미국산 쇠고기의 수입이다.
국민들의 거친 반대로 예정 되었던 수입 시기가 보류되고 있지만 멀지 않아 미국산 소고기가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것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 진다.
나는 위 기사를 보기 전까지만 하더라도 국민들이 미국산 소고기의 수입을 반대하는 것은 단지 ‘광우병’ 에 대한 우려 때문 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 기사를 읽고 단지 '광우병'에 대한 우려뿐 아니라 그들의 비위생적인 도축 환경 또한 반대의 또 하나의 이유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번 촛불 시위에는 미국인들도 다수 참가 한 모습을 언론을 통해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다.
그들은 하나같이 ' 미국인들도 먹지 않은 미국소를 왜 한국인에게 먹이려 하느냐' 라며 한국정부에 분노를 표출했다.
이런 국민들의 여론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그저 정부의 독단적인 진행으로 더욱 국민과 정부간의 단절은 더 심화되고 반 소고기 집회에서 이젠 반 이명박 집회로 번져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지금 그저 이 상황을 정보의 홍보부족, 이의 미약함으로 인한 정부와 국민간의 소통의 문제 정도로만 설명하면서 계속 국민이나 야당, 정부측이 아닌 전문가들의 높은 호소의 목소리는 무시해 나가고만 있다.
하지만 문제는 홍보와 국민과의 소통의 부족에 있는 것이 아니다.
기사 에서처럼 미국 도살업계 자체의 불완전성의 문제인 것이다.
지난 참여 정부하에서 농림부에서의 협정준비 문건에서도 발견 되었듯이 정부 측에서도 미국 내에 이런 위생문제나 검역시스템에 문제가 있었음을 알고도 우리의 검역 주권을 포기 하면서까지도 협약을 채결했기 때문이다.
확인되지 않는 보이지 않는 힘이 작용 했든지, 더 많은 경제적 이익이 있었든지, 협상능력의 부족의 탓이였든지... 그것은 현재의 국면을 헤쳐나가는데 크게 중요하지 않다.
앞으로의 정부의 대책 및 대응 방법이 중요한 것이다.
정부는 계속 노력을 하고 있음을 개략적으로만 표명하고 있을뿐 가시적으로 표출된 보다 강화된 검역방법이나 우리 국민의 위생건강을 위해 (미국측과 연계한) 공식적인 문서화의 노력은 보이지 못하고 있다.
아주 만약에라도 정부측에서 주장하는 미국산 쇠고기의 안정성이 모두 사실이고 전혀 문제가 될 것이 없다고 하더라도 이런 대응은 국민의 이해를 가져 올수가 결코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변화가 있어야만 국민의 우려를 진정시키고, 우리의 건강한 밥상을 만들어 낼 수 있을까? 현재 재협상을 외치거나 우리의 검역주권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외치는 목소리의 공통적인 내용을 뽑아 본다면 다음과 같았다.
30개월 이상의 소의 수입금지, 미국에서 광우병 발생시 즉시 수입정지 조치, 정기적이고 체계적인 광우병검사, SRM관련 위험요소 수입금지등이다.
난 이 뿐만이 아니라 더 나아가 기사에서 보듯 도축업장의 위생시스템의 강화도 요구해야 옳다고 본다.
물론 이 모든 것들은 미국 내 스스로의 자율적인 개선을 통해 이루어 지는 이상적인 상황이 있다면 가장 좋은 방법일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상황에서 보듯 그런 자율적인 개선은 없을 듯이 보인다. 이런 형편에 정부가 오히려 미국을 옹호하고 광고해주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계속 미국 내 검역 시스템이 세계최고의 수준이고 가장 과학적이고도 믿을만한 방법이라고만 우기는 실정인 것이다.
아주 혹시라도 미국이 가장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검역을 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우리 국민에게 가장 직접적인 먹거리인 식품에 있어서는) 더 강화된 검역 시스템 구축을 요구함으로써 더 위생적으로 안전한 식품을 먹을 수 있게 해줘야 되는 것 아닌가 싶다.
그 예로 겨우 0.3%정도의 표본조사를 하다 못해 3%정도로라도 늘려 통계학적으로 믿을 만한 표본조사를 요구하고, 우리 정부 스스로도 그 검역을 한 번 더 자체적으로 검시 강화해서 안전성을 강화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도축라인의 작업속도도 늦추어서 보다 정밀한 검사가 가능하게 할 수 있게 미국측에 보다 강한 요구를 해야 할 것이고, 미국 내 자조적인 노력이 없다면 우리 검사관이 상주하게 하는 등의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할 것이라고 본다.
인원의 부족, 미국의 압력, 국가적 경제손실... 이런 등의 정부 얘기는 그저 변명, 핑계일 뿐이다.
설사 국민이 무지하고 통합적인 관점이 부족하더라도, 우리나라의 주인은 국민이다.
국민의 80%, 아니 90%에 가까운 수의 국민이 원하고 있다면 그 요구를 수렴하고 받아들여 실천에 옮기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정부이다.
정부 스스로 우려하고 있는 일들은 아직 일어나지 않았고 꼭 일어나야만 하는 것이 아닌 그저 장기적 미래관점에서의 우려일 뿐이지만, 국민의 밥상 문제는 이제 바로 코앞에 당면한 문제이다.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으로 보다 안전한 밥상을 만들어 낼 수 있기를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