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hilde Wesendonck von Carl F. Sohn](https://t1.daumcdn.net/cfile/blog/272F663C52B86FF62D)
오늘 - 내 시간으로 - 12월 23일은 이 Wesendonck Lieder의
주인공, Mathilde Wesendonck의 생일이다.
Wesendonck Lieder는 Mathilde Wesendonck의 시에
곡을 쓴 Wagner의 5곡 연가곡으로 Wagner 자신,
"전에 이처럼 아름다운 노래를 쓴 일이 없거니와
나의 모든 작품에서 이곡과 비교할 수 있는 것은
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라고 했다는데 시에 적힌 내용으로 인하여 훗날
많은 사람들은 Mathilde의 이루지못할 사랑을 적은
애절한 표현으로 이해하곤 한다.
Mathilde Wesendonck는 Wagner의 경제적 후원자인
Otto Wesendonck의 아내로 Wagner가 연모했던 여인임은
분명하나 Mathilde가 같은 반응을 보였는지는 확실치 않다.
Wagner는 1852년 Zurich에서 Beethoven 교향곡 9번 연주 중
Wesendonck family를 만나고 그들 저택의 작은 집을 숙소로
제공 받는다. (참고로, Wagner는 약 9년을 Zurich에서 머뭄)
1857-58년 즈음, Wagner는 그의 Tristan und Isolde의 작업으로
바쁜 중에 이 song cycle을 완성한다.
Wesendonck Lieder
Text: Mathilde Wesendonck
Music: Richard Wagner
Der Engel (천사)
In der Kindheit frühen Tagen
Hört ich oft von Engeln sagen,
Die des Himmels hehre Wonne
Tauschen mit der Erdensonne,
Dass, wo bang ein Herz in Sorgen
Schmachtet vor der Welt verborgen,
Dass, wo still es will verbluten,
Und vergehn in Tränenfluten,
Dass, wo brünstig sein Gebet
Einzig um Erlösung fleht,
Da der Engel niederschwebt,
Und es sanft gen Himmel hebt.
Ja, es stieg auch mir ein Engel nieder,
Und auf leuchtendem Gefieder
Führt er, ferne jedem Schmerz,
Meinen Geist nun himmelwärts!
나는 어릴때 천사의 이야기를 들은적이있다.
하늘나라의 거룩한 기쁨을 버리고
땅으로 내려온 천사의 이야기를....
불안과 열망으로 가득한 마음을
피눈물을 흘리며 간절히 간구하면
천사는 날 하늘나라로 인도한 것이다.
I. Der Engel - Jane Eaglen
이루지 못한 사랑, 천상에서 이루겠다는 애절한 소원을 담았다.
Stehe still (조용히 멈춰라)
Sausendes, brausendes Rad der Zeit,
Messer du der Ewigkeit;
Leuchtende Sphären im weiten All,
Die ihr umringt den Weltenball;
Urewige Schöpfung, halte doch ein,
Genug des Werdens, lass mich sein!
Halte an dich, zeugende Kraft,
Urgedanke, der ewig schafft!
Hemmet den Atem, stillet den Drang,
Schweiget nur eine Sekunde lang!
Schwellende Pulse, fesselt den Schlag;
Ende, des Wollens ew'ger Tag!
Dass in selig süssem Vergessen
Ich mög alle Wonnen ermessen!
Wenn Aug' in Auge wonnig trinken,
Seele ganz in Seele versinken;
Wesen in Wesen sich wiederfindet,
Und alles Hoffens Ende sich kündet,
Die Lippe verstummt in staunendem Schweigen,
Keinen Wunsch mehr will das Innre zeugen:
Erkennt der Mensch des Ew'gen Spur,
Und löst dein Rätsel, heil'ge Natur!
인생의 괴로움을 처음 느꼈을때
허무감 속에서 모든 희망의 끝을 맞게되고
이젠 나의 마음도 모든 희망을 버리게 되었다.
II. Stehe still - Janet Baker
끊임없는 우주의 흐름 속에서 괴로움을 알게 된 자신의 마음을 이야기 한다.
Im Treibhaus (온실에서)
Hochgewölbte Blätterkronen,
Baldachine von Smaragd,
Kinder ihr aus fernen Zonen,
Saget mir, warum ihr klagt?
Schweigend neiget ihr die Zweige,
Malet Zeichen in die Luft,
Und der Leiden stummer Zeuge
Steiget aufwärts, süsser Duft.
Weit in sehnendem Verlangen
Breitet ihr die Arme aus,
Und umschlinget wahnbefangen
Öder Leere nicht'gen Graus.
Wohl, ich weiss es, arme Pflanze;
Ein Geschicke teilen wir,
Ob umstrahlt von Licht und Glanze,
Unsre Heimat ist nicht hier!
Und wie froh die Sonne scheidet
Von des Tages leerem Schein,
Hüllet der, der wahrhaft leidet,
Sich in Schweigens Dunkel ein.
Stille wird's, ein säuselnd Weben
Füllet bang den dunklen Raum:
Schwere Tropfen seh ich schweben
An der Blätter grünem Saum.
온실 속의 식물이나 나는 같은 운명을 나누어 가지고 있다
빛은 우리를 비추고 있으나 나의 고향은 여기가 아니다.
III. Im Treibhaus - Janet Baker
온실에서 자라는 식물과 자신을 비교하여 맺어지지 않는 사랑의 체념을 노래한다.
Schmerzen (고통)
Sonne, weinest jeden Abend
Dir die schönen Augen rot,
Wenn im Meeresspiegel badend
Dich erreicht der frühe Tod;
Doch erstehst in alter Pracht,
Glorie der düstren Welt,
Du am Morgen neu erwacht,
Wie ein stolzer Siegesheld!
Ach, wie sollte ich da klagen,
Wie, mein Herz, so schwer dich sehn,
Muss die Sonne selbst verzagen,
Muss die Sonne untergehn?
Und gebieret Tod nur Leben,
Geben Schmerzen Wonne nur:
O wie dank ich, dass gegeben
Solche Schmerzen mir Natur!
태양, 저녁에는 언제나 빨갛게 물들어
바다 저편으로 가라 앉지만
아침이면 너는 또다시 찬란히 빛을 발한다.
태양처럼 죽음이 생명을 낳고
고통후에 기쁨이 온다면
나도 희망을 갖고 싶다...
IV. Schmerzen - Maura Moreira
자신의 사랑에 대한 괴로움의 깊이를 저물어가는 석양에 빗대어 노래한다.
Träume (꿈)
Sag, welch wunderbare Träume
Halten meinen Sinn umfangen,
Dass sie nicht wie leere Schäume
Sind in ödes Nichts vergangen?
Träume, die in jeder Stunde,
Jedem Tage schöner blühn,
Und mit ihrer Himmelskunde
Selig durchs Gemüte ziehn!
Träume, die wie hehre Strahlen
In die Seele sich versenken,
Dort ein ewig Bild zu malen:
Allvergessen, Eingedenken!
Träume, wie wenn Frühlingssonne
Aus dem Schnee die Blüten küsst,
Dass zu nie geahnter Wonne
Sie der neue Tag begrüsst,
Dass sie wachsen, dass sie blühen,
Träumend spenden ihren Duft,
Sanft an deiner Brust verglühen,
Und dann sinken in die Gruft.
내 환상은 어떤 멋진 꿈을 기대하고 있지 않는가?
날마다 빛나고 나의 마음을 행복하게 하는 꿈
봄의 따사로운 햇빛이 햐얀 눈속에서 꽃송이를 입맞춤하는 꿈
꽃은 피어 향기를 발하고 너의 가슴속에 타오르다 소멸하는...
V. Traume - Birgit Nilsson
꿈속에서 보는 사랑의 허무함을 노래하고 있다.
전곡 듣기
Richard Wagner: Wesendonck Lieder (악보)
사족: 재미있는 에피소드 하나
1858년 Wagner의 아내 Minna는 Wagner가 Mathilde에게 보내는
romantic한 편지를 발견, Wagner와 크게 싸운 후 Wagner는 혼자
Venice로, Minna는 Dresden의 가족에게로 떠나버린다. 아래는
Minna가 Mathilde에게 남긴 편지의 일부이다.
"I must tell you with a bleeding heart that you have succeeded in
separating my husband from me after nearly twenty-two years of marriage."
"May this noble deed contribute to your peace of mind, to your happiness."
Mathilde는 그녀의 자서전에서 Wagner의 Zurich 체류에 대해 썼지만
이 편지의 에피소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
첫댓글 천사
어렸을 적 지난날에 자주 천사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을 들었다
하늘의 거룩한 기쁨은 대지의 빛과 함께 내려앉고
그 곳의 걱정스런 불안한 마음은 숨겨진 세상을 갈망하며
그 곳에서 조용히 피 흘리며 죽어 눈물의 바다로 사라져가리
그 곳에서 정염에 쌓인 기도가 오직 구제를 간구할 때
바로 그때 천사는 아래로 내려와 부드럽게 하늘로 오르네
그래, 한 천사가 아래로 내려와서는, 그리곤 반짝이는 깃털위로 인도했지
아득한 모든 고통과 나의 영혼을 하늘로 !
내 자리는 아닌 것만 같아
다른 게시물처럼 사양해야 할까 했었는데..^^
어딘가에 치우친 심중이 그려져서요.^^
그래도 제가 좋아하는 가곡이기에
반가워서 왔습니다, Adrian 님.^^
오랜만에 뵈어서도 그렇거니와
제가 모두 좋아하며 전곡을 갖고 있으니까요.^^
Nina Stemme의 전곡 연주,
Jessye Norman의 1번 곡인 'Der Engel',
'Tr?ume'은 Jonas Kaufmann의 연주를 비롯해
Marilyn Horne,
Contralto인 Ursula Ferri의 연주도 있지요.
분위기가 모두 다른...
저는 소위 일컫는
그의 추종자 '바그네리안'과는 거리기 있자만
그래도 이 가곡은 바그너의 그 깊고 진지한
'무한선율'과는 조금 다른
서정이 넘치는 깊고 아름다운 가곡으로
올해가 바그너 탄생 200주년을 맞으면서
우리나라에서 자주 연주되는 가곡이기도 하지요.
참 기쁘네요, 이렇게 만나서...^^
이루어 질 수 없었던
그 치열했던 사랑,
그렇게 태어난 예술 가곡이 바로
그 사랑의 결정체겠지요.
바그너의 후원자인 부유한 직물상인 오토 베젠동크에게
트리스탄과 이졸데 극본을 헌정하니
그의 부인인 마틸데가 이에 감명을 받아
5편의 시를 지어 바그너에게 주면서
바그너는 마틸데에게 치명적인 사랑을 하게 되고..
즉, 트리스탄과 이졸데의 대본을 읽은 마틸데가 5편의 시를 쓰고
그 시에 바그너가 곡을 쓰게 된...
마틸데의 마음이 확인이 안 되었다고 하지만,
두 사람이 끊임없이 주고받은 열정적인 편지도 많고
그래서 두 사람의 소문 때문에 취리히의 그 별장을 떠나야 했다고요.
아내와의 22년간의
결혼생활마저 종지부를 찍게 되었고..
더구나 마틸데가 바그너의 모든 부채를
갚아주었다는 이야기도 있네요.
찾아 본 대로 옮겼을 뿐입니다.^^
시의 의미를 다 알 수 없지만,
1859년에 완성된 '트리스탄과 이졸데'의
트리스탄의 운명적인 사랑,
영원한 사랑,
죽음으로 승화하는 사랑을 노래하는 내용과 일맥상통하고
독일 낭만주의의 핵심사상과
쇼펜하우어 철학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합니다.
참 넓고도 경이로운 예술 세계,
다 어떻게 제가 소화해야 하는지..
한 걸음씩 다가가는 더딘 걸음으로도 이렇게 기쁜데..^^
감사합니다, Adrian 님.
즐거운 성탄절과 함께
새해에는
더 많은 보람과 복이 같이하시길요^^
감성 듬뿍 담긴~~
무척이나 아름다운 곡과
그리고 자세한 해설까지....
두 분 께 감사드립니다.
메리 크리스마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