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만 남아 있다는 테시폰식 주택입니다
제주는 과거 자원도 없고 바람은 거센 아주 척박한곳이었는데요
60년대 이곳에온 아일랜드 신부님이 제주민들을 위해서 이런 주택을 보급 시켰다고합니다
먼저 반원형의 간단한 거푸집을 만들고 위에 가마니를 놓은후 다시위에 철근없이 시멘트만 발라서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터널형의 반원형 구조가 완성되면 그안에 블록으로 칸을 나눠서 방을 만들었다고함
철근을 안썼지만 터널형이라 아주 견고하고 제주의 거센 바람도 잘 막아주었다고하네요
비상시 이런 구조물도 만들면 좋겠습니다
맥그린치 신부 제주 이시돌목장 테시폰식 주택, 국가등록문화재 예고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 예고된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소재 성이시돌목장 내 테시폰식 주택. 제주도 세계유산본부 제공
1960년대 초 패트릭 제임슨 맥그린치(한국 이름 임피제) 신부에 의해 국내 최초로 제주에 도입된 건축물인 ‘제주 이시돌목장 테시폰식 주택’이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 예고됐다.
6일 제주도 세계유산본부에 따르면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에 있는 이시돌목장 테시폰식 주택은 아일랜드 성 골롬반외방선교회 소속의 맥그린치 신부가 1960년대 초, 제주도 중산간 목장을 개척하는 과정에서 건축 자재가 부족했던 열악한 건축 여건을 극복하기 위해 도입한 간이 쉘 구조체 공법의 건축물로, 현재 제주도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특히 이번 등록 예고된 성이시돌목장 내 테시폰식 주택 2개소(한림읍 금악리 77-4번지, 135번지 소재)는 제주도내 24개소 테시폰식 건축물 가운데 가장 오래되어 역사적 측면에서 그 가치가 높게 평가됐다.
테시폰은 건축학적으로 물결모양의 아치(arch)가 연속된 형태의 쉘 구조 건축공법으로, 아치 형틀 비계 위에 가마니 등의 섬유 거푸집을 펼쳐 깐 다음 기둥과 철근 없이 시멘트 회반죽만을 덧발라 만든 건축물이다.
1960년대 초 테시폰식 주택 시공 당시 모습. 제주도 세계유산본부 제공
이러한 시공의 편의성과 비용 절감 등의 장점으로 설립된 이시돌농촌산업개발협회의 이시돌목장을 비롯한 제주 중산간 개척농가(금악, 선흘, 월평 등)의 분양과정에서 단시간 내 필요한 숙소, 창고, 돈사 등을 건설하기 위해 해당 건축공법이 실천적으로 도입됐다.
또한 1960년대 대한주택공사는 국가 재건과 주택난 해소를 위해 테시폰식 건축공법을 그대로 수용·모방해 보급하는 등 우리나라 주택사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세계유산본부 관계자는 “제주 이시돌목장 테시폰식 주택은 맥그린치 신부의 제주 목장 개척사에 있어 상징성을 지닌 테시폰식 건축물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역사성과 원형을 지님과 동시에 근대기 집단 주택사의 흔적을 보여주는 소중한 근대 건축유산으로서 그 가치가 높다고 평가되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 이시돌목장 테시폰식 주택은 앞으로 30일간의 예고기간을 통해 이해관계자와 각계의 의견을 수렴,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등록문화재 등록 여부가 가려진다.
제주=임성준 기자 jun2580@segye.com
[서울=뉴시스] '제주 이시돌목장 테시폰식 주택'(금악리 77-4번지) (사진=문화재청 제공) 2021.05.06. photo@newsis.com
'제주 이시돌 목장 테시폰식 주택'은 아일랜드 '성 골롬반외방선교회' 소속의 맥그린치(한국명 '임피제') 신부가 1960년대 초, 제주도 중산간 지역 목장을 개척하는 과정에서 건축 자재가 부족했던 열악한 건축 여건을 극복하고자 도입한 간이 쉘 구조체 공법의 건축물 2채다.
테시폰은 이라크 고대 도시 유적인 테시폰(Ctesiphon)의 아치 구조물의 형태를 참고해 창안해 낸 건축 유형이다.
제주 지역 테시폰은 아치 모양으로 목재 틀을 세우고 그 사이에 가마니를 펼쳐 깐 다음 시멘트 몰탈을 덧발라 골격을 만들고, 내부에 블록으로 벽을 쌓아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서울=뉴시스] '제주 이시돌목장 테시폰식 주택'(금악리 135번지) (사진=문화재청 제공0 2021.05.06. photo@newsis.com.
오늘날 제주도를 제외한 다른 지역 테시폰식 건축은 모두 소실됐다. 제주 지역에서만 테시폰 건축 24채가 현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