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체 구가 전기장이 일정한 곳에 내던져진 상황인데요..
구가 원래 중성이었다고 생각하면.. 전하가 양쪽에 같은 크기만큼 대칭적으로 유도될것이고.. 그러면 쌍극자처럼 행동할것이라 예측할수 있겠고..
구 내부에 적당한 두 점을 잡아 각각 q , -q 씩 두어서 도체 구 표면이 등전위가 되게만 만족시키면
풀수 있지 않을까요?
첫댓글 그리피스 예제문제 같은데요. ^^
원래 Laplace equation 으로 푸는..단골문제인데 image charge method 로도 풀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그럽니다 ㅋ
그렇군요. image charge로도 풀 수 있을듯.; 그렇지만. 책을 또 한참 뒤져봐야.-ㅁ-+ 전자기학 배운지 1년도 안됐는데. 어쩜 이래.-ㅁ-;
완전 노가다식으로 하자면... dipole 이랑 원래 E-field 합쳐서 테일러 전개 -_ -........
dipole이라고 해서 꼭 두 전하로 풀어 쓸 수 있을까요? 전하 세개가 있어도 르장드르 전개하면 dipole이 나오고, 전하가 네개여도 전개하면 dipole이 나오고... 등등 경계조건이 구형인데, 전하 두개로 구형 포텐셜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은 둘다 중심에 있을 때만 가능하겠죠 따라서 불가!
첫댓글 그리피스 예제문제 같은데요. ^^
원래 Laplace equation 으로 푸는..단골문제인데 image charge method 로도 풀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그럽니다 ㅋ
그렇군요. image charge로도 풀 수 있을듯.; 그렇지만. 책을 또 한참 뒤져봐야.-ㅁ-+ 전자기학 배운지 1년도 안됐는데. 어쩜 이래.-ㅁ-;
완전 노가다식으로 하자면... dipole 이랑 원래 E-field 합쳐서 테일러 전개 -_ -........
dipole이라고 해서 꼭 두 전하로 풀어 쓸 수 있을까요? 전하 세개가 있어도 르장드르 전개하면 dipole이 나오고, 전하가 네개여도 전개하면 dipole이 나오고... 등등 경계조건이 구형인데, 전하 두개로 구형 포텐셜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은 둘다 중심에 있을 때만 가능하겠죠 따라서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