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십자인대파열 수술후 재활

전방십자인대는 뼈와 뼈 사이를 연결하여 무릎관절의 안정성에 크게 기여하는 인대로서 무릎 안정성의 약 80%를 담당하는 중요한! 무릎관절을 연결하는 인대입니다.

전방십자인대의 역할은 관절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무릎관절의 과도한 회전을 제한하며, 하퇴부가 전방으로 과도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담당해요.
십자인대파열은 3단계로 구분해서 나누어질 수 있죠.
각 단계에 대해 알아볼게요.

Grade Ⅰ : 십자인대파열 1단계에서는 인대는 심하게 손상된 것은 아니지만 미세하게 십자인대가 늘어난 상태를 말합니다. 십자인대는 제 기능을 하는데 문제가 없는 상태입니다.
GradeⅡ : 십자인대파열 2단계에서는 인대가 탄력성을 잃은 지점까지 늘어난 상태로 이때는 십자인대의 부분적 파열 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Grade Ⅲ : 십자인대의 완전파열을 뜻하는 단계로 이때는 십자인대가 완전히 파열되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단계 입니다.

무릎에서 삽자기 찢어지는 소리가 나거나 '퍽'하고 터지는 듯한 소리가 나기도 합니다.
무릎이 24시간 내에 부어오르지만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붓기가 빠집니다.

- 외상이나 심한 운동등으로 십자인대가 파열되거나 찢어진 상태일 때 관절내시경을 이용하여 정상 인대부착
부위에 새로운 인대를 연결시켜 주는 수술입니다.
- 이때 인대의 종류에 따라 자가건을 이용하는 방법과 동종건(타가건)을 이용하는 방법 2가지가 있습니다.


수술시간은 1시간~2시간 정도로 걸리며 수술 후 입원기간은 보통 짧으면 3일 길게는 2주까지 가능합니다.
실밥은 2주째 되는날 제거하게 됩니다.
수술시간은 1시간~2시간 정도로 걸리며 수술 후 입원기간은 보통 짧으면 3일 길게는 2주까지 가능합니다.
실밥은 2주째 되는날 제거하게 됩니다.

무릎 보조기를 이용하여 무릎관절운동각도를 조절하게 되며 보조기는 보통 6주정도 착용합니다.
2주간 체중부하를 하면 안되기 때문에 수술한 다리를 딛지 않고 목발보행을 해야 합니다.
보조기의 각도와 체중부하의 정도는 환자분의 상태, 손상 정도에 따라 다르므로 담당 주치의와의 의견에 따라 조절해야 합니다.
관절가동범위
수술 후 1주 : 0~90도까지 가능
2주~3주 : 115도까지 가능
3주~4주 : 125도까지 가능
5주째부터 : 125도 이상 정상가동범위
걷기
수술 후 2주까지 : 발끝딛기(목발)
3주~4주 : 전체체중부하
5주째부터 : 정상보행
스포츠 운동
8주째 : 가볍게 달리기
3개월 : 그라운드 컨디션 조절
6개월 : 가벼운 미니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