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1편 양 방수 천진암 창립 3주년 기념 기록영화 제작하다.●
1983년 6월24일.
주례: 김 남수 수원 교구장님~진행: 천진암 성역화 주임 변 기영 신부님~참여:천주교 평신도
천진암 성지를 찾아오는 평신도들의 행렬은 해가 갈수룩 점점 그 햇수 만큼 늘어 갈 것이다.
성현들의 묘소를 참배하시는 교우들은 날로 날로 점점 많아질 것이 현실이다.
이벽 성조님은 과연 어떤 분이시기에 이 토록 많은 참배객들이 줄을 지어 참배하는지 김 수환 추기경님 추도사 내용.
이벽 성조님은 1754년에 경기도 광주 땅에서 아버지 이부만과 어머니 청주 한씨 사이에서, 6남매중 둘째 아들로 태어나셨습니다. 물론 그 당시에는 우리나라에 교회가 없을 때였습니다. 그러나 이벽선생은 25세의 청년이 되자 경기도 광주와 여주 일대에서 당시의 우수한 젊은 유학자들이셨던 권철신, 정약종, 정약용, 이승훈 등과 함께 儒,佛,仙 三敎와 그 당시, 이미 우리학자들에게 알려졌던 天學을 연구, 토론하면서 천주교 교리를 탐구하고 신앙의 터전을 마련하는데 지대한 공을 남기신 분이십니다. 특히 이벽선생은 그 당시에 이미 「천주공경가」를 지으시고 「聖敎要旨」를 저술하시고, 가톨릭 교리를 학문의 경지에서 신앙의 차원으로 이끌어 주셨으며, 기도와 선행을 통해서 천주교에 관한 교리를 실천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해주기 시작했습니다.
선생께서 29세 되던 1783년에는 친분이 두터웠던 이승훈에게 천주교 진리를 전해주고, 冬至使와 함께 중국의 北京가는 기회를 이용해서, 영세를 받고 돌아오도록 주선해 주심으로써, 한국교회에 창립 주춧돌을 놓는데 중추역할을 하신 분이십니다. 이듬해 1784년, 우리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이승훈이 북경에서 영세를 받고 귀국하면서, 제일 먼저 이벽선생을 찾아 뵙고, 영세한 경위와 북경의 교회동향을 보고하고, 한국에 있어서의 복음선교의 길을 함께 논의했습니다. 그 후 이벽선생님은 자신도 열심히 예비해서 이미 영세를 받고 온 이승훈으로부터 영세를 받았습니다. 이때 세례명을 요한세자, 세례자 요한으로 붙였습니다. 한국교회사를 쓴 달레의 말에 의하면 이벽선생이 세자요한이라는 본명을 붙인 것은 이분이 한국에 복음을 들어오게 하는데 선구자적인 역할을 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영세 후, 이벽선생은 전교에 전념하여서 정약종, 권철신 가문의 학자들을 입교시키는 한편, 당시에 명성높은 학자였던 이가환이, 선생으로 하여금 천주교를 버리게 하려 했을 때, 오히려 그를 설복하여 입교시켰고, 또 1785년 한국 최초의 박해인 을사박해 사건도 실은 이벽선생의 교회예절과 강론이 도화선이었던 것입니다. 첫 박해가 일어났던 김범우 도마의 집은, 한국 땅에 있어서의 복음선교의 터전이었고, 그 집은 바로 오늘, 이 명동성당이 서 있는 종현언덕입니다.
필자가 1992년 7월 4일~ 미국을 떠나온 이후에 변 몬시뇰님께서 보내오신 천진암 자료를 담는다
왜 ? 이토록 많은 신자들이 줄을 설까요?
천진암 성지로 모여 드는 열심한 신자들
천진암 성지로 모여 드는 열심한 신자들
좌측으로 부터 권 철신 후손 권 혁면 박사님, 다음 유 홍렬 박사님, 다음 故 이 원호 교수님들의 얼굴이 보인다.
1989년 성체현양 대회 전경을 공중에서 내려다 본 전경
나라와 함께하는 교회 ! 애국심 있는 신앙인들 ! 신앙심 있는 애국 시민들 ! 제단뒤에서 본 행사장 전경 ~ 통일 염원의 기도로 계곡을 체우고, 하늘까지 움직이는 순례 군중들의 장엄한 모습들 ~
한국 천주교 창립 제210주년(1779-1989)을 기념하는 성체 현양대회가 수원 교구 주최로 1989년 6월 25일(일) 10시 30분에 한국 천주교 발상지 천지암 성지내에 있는 100년 계획 천진암 대성당 건립터, 1만평 광장에서 경건히 거행 되었다.
전국 각처에서 대형 버스 970대, 소형뻐스 360대, 소형 승용차 1,720대,등으로 편성한 신자 53,000여명이 자발적으로 모인 가운데, 주한 교황대사 이반디아스 대 주교님과 수원 교구장겸 천진암 성역화 위원회 총재 김 남수 주교님 및 100여명의 신부님들의 공동 주례로 1시간의 피정에 이어 미사가 거룩히 봉헌되었다. 이번 천진암 행사는 25년의 수원교구 역사상 최대의 신자 대회였다. 또 적국 차원에서 보더라도 조선교구 설정 제 150주년(1981년) 기념행사와 교황성하께서 집전한 103위 시성 기념미사(1984년)를 제외하고는 한국 천주교회사에 있어서 가장 많은 신자가 모인 대회이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개최된 각 교구별 혹은 단체별 신자 대회에 53,000여명의 신자들이 운집한 적은 일찍이 없었다. 특히 중부 고속도로 천진암 진입로에서부터 천진암 성지까지의 2차선 도로 16km가 대형 뻐스로 이어져서, 통행과 주차에 큰 불편을 겪을 정도였다.
성체 현양대회가 수원 교구 주최로 1989년 6월 25일(일) 10시 30분에 한국 천주교 발상지 천지암 성지내에 거행하였다.
1992년 6월 24일 오전 11시 천진암 대성당터에서 거행된 한국 천주교회 창립 제 213주년 기념을 계기로 대 성당 터를 돌면서 김 남수 주교님께서 축성하고 있는 광경.
1994년 5월 25일~김 영삼 전 대통령도 방문 하셨고, 전후로 역대 대통령 모두 다 천진암을 다녀 가셨다.
어머님 성가대에 의하여 천진암가와 이벽 성조가 ~ 천주공경가 가 천진암 계곡에 장엄하게 울려 퍼진다.
장하다 순교자여~주님의 용사여~높으신 영광에 불타는 넋이여,칼 아래 쓰러져~장엄하게 울려 퍼지는 입장 성가가 울려 퍼지고,
1995년 8월 25일~신장 성당 어린이 성가 대원들도 참석
갯털같은 꼬리로 훼방하는 자들이여 ~ 민심이 천심인데, 감히 그 누가 천심을 거역할 소냐 ~
너도 나도 앞 다투어 헌금 대열에 줄을 서고 있다.
~천진암 계곡에 모여온 차량들의 행렬과 경향각지에서 모여오신 열심한 교우들의 모습~1996년~
1995년 8월 25일 경축 행사장을 공중에서 내려다 본 전경
1991년 12월 4일(수) 오전 11시, 천진암 성지 주임 변 기영 신부님이 한국 천주교회 창립 선조 시성추진 및 천진암 대성당 건립 추진차 로마를 방문하여,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성하를 뵈옵고, 천진암 대성당 터, 제 7차 공사를 무상으로 봉헌한 미신자, 최 무웅 사장을 소개하고 있는 장면
1991년 4월 27일, 미신자인, 최 무웅 사장님의 헌금으로 완공 한 천진암 성지 주차장 완공식 절단 테푸 광경
1995년 8월 25일
신자들의 행렬이 우중에도 아랑곳 하지 않는다.~비가 오나, 눈이 오나, 바람이 부나,~ 무혈의 순교 정신은 장애를 가리지 않는다.
1996년 시공개요 설명이 변 기영 몬시뇰님의 우렁찬 목소리로 천진암 계곡에 울려 퍼지고~열심한 신자들의 가슴으로 전달 된다.
천진암 기록영화는 지난 1983년 6월 24일 기록으로 더 할 수가 없었던 이유는 영화시대는 지나가고, 비데오의 발달로 왠만한 기록물은 전부 VIDEO로 바꾸어 갔다. 그러나 VIDEO 테푸는 역사성이 없다. 보관하기가 매우 까다롭다 습기가 차도 회복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제는 디지털 시대에 접어 들었다. TV도 [아나로그] 시대는 종막을 내리고, [디지털]시대다. 그러나 VIDEO는 테푸가 습기가 차면 재생이 불가능 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제 더 생산을 하지 않는다. 종전의 비데오 테푸로 만든 기록물은 비데오 재생 기기가 없어 더 볼수가 없다. 그래서 DVD로 바꾸는 작업이 필요해서 DVD 전환기기가 한 동안 인기를 끌었다. 비데오 테푸로 촬영하던 시대도 마감되고 이제는 티지탈 메모리로 저장하여 재생하는 쪽으로 발달했다. 그래서 VIDEO 테푸 자체도 생산이 중단됐고, 사진 역시 사진현상소 자체가 없어졌다. 이제는 영화, 사진이론을 배울 필요가 없다. 한 세대가 지나기전에 또 다른 시대로 급진적으로 발달하여, 나갔다.
한참 잘 나가던 영화사 감독 장 현수 친구도, 필림영화가 사양기에 접어들자 미국 이민을 떠났다. 뉴욕에서 거주하다가 미국 동남부 프로리다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고 서로 전화로만 통화했다. 이제 컴퓨터가 개발되어 세상은 급속도로 발달하고 있다. 그러나 컴퓨터는 마치 구약시대 “바벨탑”을 연상케 한다. 컴퓨터는 전기가 없으면 캉통이다. 컴퓨터가 마비되면 이제는 세상이 혼돈에 빠질 것이다. 사람마다 자신의 이야기를 담는 [브로그], [카페], [홈페이지]등등을 이용해 자서전 같은 내용물을 담기도하고, 추억어린 사진첩도 만들기도 하지만, 반대로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
韓國 天主敎 發祥地 天眞菴聖地는 韓國天主敎會의 뿌리요 얼굴입니다. 우리 모두 정성을 다하여 자손만대에 지키고 아끼고 가꿉시다 !
한국 천주교 발상지 천진암성지는 한국천주교회의 뿌리요, 얼굴입니다.우리모두 정성을 다하여 자손만대에 지키고 아끼고 가꿉시다 !
韓國天主敎 發祥地 天眞菴 聖地와 韓民族100年 計劃 天眞菴 大聖堂은 우리나라의 자랑이요, 우리겨레의 精神이고,우리 國民의 精誠입니다
한국천주교 발상지 천진암 성지와 한민족100년 계획 천진암 대성당은 우리나라의 자랑이요, 우리겨레의 정신이고,우리 국민정성입니다.
연도별 성역화 진척사항(1975년∼1992년)
1975년∼1977년
• 1975년 변기영 신부 천진암 터 답사, 매입추진 시작
• 1976년 천진암 터 1회 답사
• 천진암 터 3회 답사
• 천진암 터 5회 답사
1978년
• 월보 "천진암" 발행
• 천진암 터 3000여평 매입
• 느티나무 250주 식목
• 10월 10일 최초로 "한국 천주교 발상지" 확보, 말씀의 전례를 천진암터에서 거행.
1979년
• 이벽 성조 묘 발견, 이장
• 성지 40,000여 평 확보.
• 느티나무, 잣나무, 은행나무 3,000여 주 식수.
• 남한산성에서 한국 천주교회 200주년 기념행사 거행.
1980년
• 200주년 기념비 건립
• 이벽 성조 묘 방분석 완공 및 제대돌 완공.
• 갈멜수도원 임시 건물 완공.
• 주교회의 200주년 기념준비에 초대 사무국장으로 성지 주임 변기영 신부 참여, 기념계획수립 및 추진.
• 이벽 성조 묘 이장 1주년 미사 봉헌.
1981년
• 천진암강학회와 명례방집회 참가자 권상학, 권상문, 순교자 墓답사확인(3월 16일).
• 조선 교구 설정 주역 정하상 묘 답사확인(3월 24일).
• 한국 천주교회 창립기념일 제정운동 전개, 첫 경축행사 거행, 천진암강학회 기념 한국신학 연구소 건립축성, 천진암갈멜여자수도원 기공, 한국 천주교회 창립선조 족보와 같은 기원사자료의 200년전 원본 공개 전시. 조선 교구를 봉헌한 무염시태 성모상 제막축성(6월 24일).
• 춘천에서 이벽 성조의 아들 이현모 공 묘 답사확인(7월 23일).
• 봉화군에서 한국 천주교회 선각자 홍유한 선생 묘 답사확인(9월3일).
• 한국 천주교 발상지 천진암 진입로 도로확장 및 포장공사 착공(9월 10일).
• 충주에서 천진암강학회 개최 주동인물 정약전 묘 지석 확인(10월 3일).
• 명례방 김범우 직계 6대손 김동환씨 상봉 및 김범우 관계 문헌 입수(10월 15일).
• 화성에서 명도회장 정약종 순교자 묘 이장(11월 1일).
• 양근 효자봉에서 천진암강학회 개최 주동인물 권철신과 권일신 2위 순교자 묘 이장(11월 21일)
• 인천 만수동에서 한국 천주교회 최초 영세자 이승훈 순교자 묘 이장(11월 29일).
• 대형차 1,000대 주차시설 위한 주차장 부지와 대규모 천진암 피정의 집 건립 후보지 등 15,000평 추가 매입확보(1981년도에 이룩된 이 모든 일에 대한 기록과 화보 등을 1982년 2월 말 천진암 특집월보에 발표).
1982년
• 성역 내 대지와 전답 및 약수터 포함 23,200평(48필지)추가 매입.
• 주차장 부지 4,300평, 천진암갈멜여자수도원 부지 8,670평, 한국신학연구원 부지 1,300평, 수평정지작업 완료.
• 천진암 성역 내 중앙도로 1Km 및 우산 2리까지 도합 2Km 2차선 확장 포장 완료, 도마리부터 관음리까지 2차선 확장완료, 및 포장 착수(7Km) 천진암갈멜여자수도원 계곡진입로 500m 도로 개설, 한국신학연구원 진입로 800m 도로 개설.
• 천진암 마을 성역에서 1Km 밖으로 이동, 구 가옥 14채 철거, 한식 조선개와집 11동 신축 이전.
• 성역내 한국 천주교 발상지 천진암 성역화 현장사무소 설치.
• 한국 천주교회 창립성현 제위묘역 돌 계단 44계단 완공(폭이 7m), 빙천 샘물터 자연석 조경, 천진암 기념 200주년 비석 둘레 자연암석 조경.
• 천진암 성역화 7개 계곡 중 수도원 계곡에 세워질, 갈멜수녀원 본관 설계도 2년만에 완료(본관은 한식 조선개와집 629평 단일 건물).
• 은행나무 15년 생(이원호 교수 기증) 250주 및 옥향 15년생 12주, 잣나무 묘목 6천주(염보 현 경기도지사 기증) 기념식수(1978년 가을부터 지금까지 느티나무, 은행나무, 잣나무 등 15,000주 기념식수).
• 1790년대의 최초 한글번역 천주교서적(성경광익, 신명초행, 성상경 등) 수필본 45권 발견 입수(권철신 방계 8대 후손 안동 권씨 권광수씨 집에서).
• 이학규(이승훈 선생 근친)의 친필 8권 입수(1802년부터 1858년경까지의 기록, 이승훈 선생 7대 후손 이현석씨 집에서).
• 만천 이승훈 선생 성조가 작사작곡 1만주 발행보급, 천진암안내서 5만부 발행 보급, 한국천주교회 창립성현 권철신, 권일신, 이승훈, 정약종 이장화보 역사자료 1만부 발행.
• 한국 천주교회 창립기념일 미사 거행(6월 24일).1983년
• 평신도 지도자 피정기관 시설부지 10,289평 추가 매입 확보(성역 내 건축 가능 부지 총 13만평).
• 천진암 갈멜수녀원 본관 골조 공자완료(삼양건설 이진기 사장 시공, 연건평 총 997평의 지하 2층, 지상 2층, 철근 콘크리트 골조 한식 개와지붕).
• 천진암 성지 진입로 비포장 구간 총 15Km 중 13Km 2차선 확장 포장 완료 및 교량 9개 완공, 나머지 비포장 2Km 확장 포장 착공(경기도 시공).
• 천진암 성지에 서울 자동전화 개설, 1984년 1월 31일부터 전국 대도시와 자동 전화 개설(전화번호: 0347)2-5951, 5952, 5953, 5954, 5955, 5956, 5957, 5958).
• 천진암강학회 개최 주선자 손암 정약전 공의 16년간 귀양지 우이도와 흑산도 유적지 조사 및 한국교회기원사 자료 기술한 프랑스인 다블뤼 안주교 생장향 아미엥 지역조사(변기영 신부).
• 만천 이승훈 성현의 북경파견 200주년 기념일 경축행사 거행 및 기념일 제정 선포(11월 18일, 김남수 주교 주례).
• 103위 시성추진과 한국교회 창립선조들의 시복 추진 준비를 위하여 성역화 위원회 총재 김남수 주교, 성지주임 변기영 신부 2차에 걸쳐 로마방문(50일간 체류)
• 한국 천주교회 창립기념일 제3회 경축행사 거행(주한 로마교황대사 프란치스꼬 몬떼리시 대주교와 김남수 주교 공동주례).
• 1984년도 해외 신자 방문에 대비하여 묘역로 등 성역 내 조경 정리.
1984년
• 서울↔천진암 왕복 2차선 도로 확장, 포장공사 완료(서울 중심부에서 천진암까지 승용차로 1시간).
• 성역 내 상수도 완공 및 주차장 2개소에 음료시설.
• 한식개와 수세식 공동 화장실 완공
• 성지 입구에 순례안내소 임시 건물 완공.
• 묘역 순례길 계곡로 500m 개설.
• 한국 천주교회 창립사연구원(적연와 건물 2층 100평) 개관 및 정상업무 시작.
• 성역도로 5개소에 자연석 돌축대 2m 높이 500m 완공.
• 천진암 갈멜수녀원 1층 완공(총 연건평 997평 중 450평 완공) 및 봉쇄수도 생활시작.
• 한국 천주교회 창립선조 5위 광암 이벽, 직암 권일신, 만천 이승훈, 녹암 권철신, 선암 정약종 묘비 건립.
• 조선교구 설립자 성 정하상 묘비 건립.
• 103위 시성 로마 경축대회 준비와 거행 및 한국 천주교회 창립선조 순교자 광암 이벽, 순교자 직암 권일신, 순교자 만천 이승훈 외 95명의 시성추진을 위하여 성역화위원회 총재 김남수 주교와 성지 주임 변기영 신부 각각 2차에 걸쳐 로마 교황청 방문 및 실무자 회의(65일간 체류).
• 아시아 주교단(25명), 프랑스 주교단(9명), 프랑스 사제단(70명) 및 미국, 일본, 대만, 캐나다, 독일, 홍콩 등 외국인 신자단체 950여명 천진암 순례 및 외국인 신자를 위한 200주년 기념잔치 2일간 계속함.
• 외신 기자단 28명 천진암 순례.
• 한국 천주교회 창립기념일 경축행사 거행(6월24일)
• 전국 각 교구와 본당에서 약 15만 명 천진암 순례.
1985년
• 1985. 2. 5. 천진암 준본당 신설(초대주임에 변기영 신부).
• 전국 500여 본당에서 2,000여 차례에 걸쳐 200,000여명의 신자들이 천진암 순례.
• 한국 천주교회 창립사연구원 본관과 별관 신축 완공, 역사 자료 이전(광암 순교 및 을사박해 200주년 기념건물).
• 천진암 대성당 건축 부지 주변 3,500여평 추가 매입확보.
• 한국 천주교회 창립 기념미사 거행(6월 24일).
• 「천진암」 24호에 200주년 특집을 프랑스어로 동시편집 10,000부 발행.
• 성역 내 전화시설 지하 케이블로 매설 공사 완료.
• 이동욱(이승훈 선생 아버지), 이가환, 목만중 등 200년전 남인 학자들의 친필 서간 75점 입수.
• 천진암 노래집 카셋트 테이프 제작 보급.
• 대신학생 4명 수사 4명으로 구성된 역사자료조사단 2회에 걸쳐 파견(권상학 유배지인 임자도, 신지도, 지도, 완도 등).
• 중국 천주교회 시성추진자문차 주임 변기영 신부 대만 천주교회 1주간 방문.
• 교회 창립선조 시성추진 및 역사자료수집차 한국 천주교회 창립사 연구원장 변기영 신부 리스본, 마드리드, 로마, 파리 방문.
1986년
• 천진암 대성당건립 100년계획 확정.
• 성역 내 하상로(성 정하상묘역 가는 길) 일부 1Km 포장 완공.
• 대성당 터 주위 3,500평 추가 매입/ 한국천주교회창립사연구원 낙성.
• 천진암 성지 입구표석(37톤 자연석)을 세움.
• 천진암 대성당 터 기단 35,000평 중, 제1차 8,000평 벌목 완료 및 대지 정지 작업 착수.
• 한국 천주교회 창립선조 시성추진 중간 점검을 위하여 변기영 신부 로마 방문.
• 이승훈선생에게 영세준 그라몽 신부 고향, 생가 등 답사하고, 그라몽 신부형제의 7대후손 마담 그라몽에게 200주년 기념메달 전달 및 프랑스 외무성 고문서고에서 그라몽 신부 친필(1787년도 기록) 5통 발굴(변기영 신부).
• 천진암 대성당 건립위원회 발기 결성 및 부녀회 발기 결성.
• 천진암 대성당건립 설계 해외자문위원회 결성.
• 천진암성지 대성당설계 참고자료로 유럽의 1,000여개 대성당 설계도 및 건축 자료 입수.
1987년
• 100년계획 천진암대성당 터닦기 제1단계 공사완료(3단계 수평광장 9,300평 조성).
• 천진암성지 입구 주차장 진입로 일방통행 500m 신설 1차 공사 완료.
• 천진암성지내 하천 2개 지류 1.5Km 정리.
• 100년계획 천진암대성당 터닦기 제2단계 공사 착공(수평광장 상단 1만평, 하단 6천5백평 조성 완료).
• 조선교구 설립자(성 정하상, 성 유진길) 묘역 조성 1단계 토목공사 완료.
• 한국 천주교회 창립선조 직계가족묘역 조성 및 12명 묘소 이장 완료 : 정약전 부부(정약용의 형), 정지해부부(정약용의 조부모), 정재원 부부(정약용의 부모), 이부만 부부(이벽의 부모) 경주 이씨(이벽의 누이), 이석 부부(이벽의 동생).
• 성역내 부지 10,000여평 추가 매입 확보.
• 중부고속도로 천진암 입구 인터체인지에 경기 광주와 함께 「천진암」 인터체인지 명칭 사용.
1988년
• 한국 천주교회 창립기념관(천주교 박물관 겸용) 건립터 3,000평 수평광장 1단계 조성완료.
• 경당건립터(소성당) 500평 수평광장 조성 완료.
• 성역 내 순환도로 500미터 2단계 정지 완료.
• 대성당 터 입구 1,500평 추가 매입 확보.
• 대성당 설계도 초안자료 수집차 주임신부 일본, 이집트, 인도 등지의 종교시설 참관.
• 「이달의 천진암」 복간 3회 발행.
• 한국 천주교회 창립 제209주년(1779∼1988) 기념 경축행사 거행(1988. 6. 24. 전국 각지에서 자발적으로 8,500여명 참석).
• 성역입구 주차장 주위 진입로 일방통행 신규도로 700m 포장 완공.
1989년
• 천진암 대성당터 터닦기 제2단계 공사착공(수평광장 35,000평 예정).
• 진입로 일방통행 2차선 500m 포장완료
• 대성당터 인접토지 281평 봉헌 받음).
• 보좌신부, 대성당 설계교육을 위한 해외 연수 견학 3회(일본, 프랑스, 이태리, 독일, 대만, 태국 등).
• 한국 천주교회 창립 제210주년(1779∼1989)기념, 수원교구 성체현양대회 천진암 대성당터에서 거행. 53,000여명 참가(수원교구 역사상 최대 교회 행사).
• 천진암합창단 창단, 호암아트홀에서 연주회 개최.
• 조립식 임시성당 70평 건립.
• 명동본당 「하상회」결성 및 정하상 성인 묘 정화 작업.
• 이태리, 모잠비크, 화란 등지의 추기경, 대주교 등 외국인 2,200여명 천진암 순례.
• 「이달의 천진암」한·불 양국어 1만부씩 2회 발행.
• 대성당조감도 1차 시안 완료
• 200톤 저수량의 상수도 시설 착공.
• 50평 규모 현대식 화장실 착공.
• 주임신부, 아프리카 코트디봐르의 아비장과 야무스크로 대성당 건축현장 시찰.
1990년
• 1월, 5월, 11월, 3차례 걸쳐 미공병단 중장비동원 대성당 터 대규모 정지작업 공사.
• 대성당 터 주위 가옥 2채 이전, 대지 650평 매입.
• 안내소 수세식 화장실 50평 완공
• 200톤 저수용량 상수도 시설 완공.
• 성역 도로 계곡로 500m 축조
• 전나무 10,000주 식목.
• 천진암갈멜수녀원 한식 개화지붕 완공.
• 6월 24일 폭우 중에 한국 천주교회 창립기념행사 거행.
• 명동본당, 가락동본당 \"하상회\"에서 정하상 성인 묘 정화작업 및 방분석, 묘비, 상석 완공.
• 수원교구에서 정하상 성인 묘 계곡에 청소년 수련도장 설치 확정.
• 400명 수용 임시성당 80평 완공(장궤틀 포함).
• 임시전시관 70평과 창고 80평 완공
• 기념품 보급소 40평 완공.
• 성지순례, 천진회, 대성당건립 등의 업무를 위한 종합사무소 50평 완공.
1991년
• 성역화위원회 경리사무 전산화
• 대성당 터 내에 있던 과수원 1,111평 매입.
• 성지 주차장 1,500평 포장 완료. ·느티나무 150주, 산수유 800주 식목.
• 성역 내 화장실 5개소 건립
• 성역 내 만천로 200m 배수로 축조 공사 완료.
• 성역 입구 하천 2개소(70m 와 30m) 교량 겸용 복개 공사 완료.
• 한국 천주교회 창립 제212주년(1779∼1991) 기념행사 거행.
• 불란서 청소년 200명 단체 야영 순례.
• 성역내 불교법화종 영통사(대웅전, 칠성각, 산신각, 요사채 등 대지와 지상물 일체 포함) 매입.
• 성역내 불교총화종 화령암, 성역에서 타처로 이전.
• 성역내 천진천에 소형 댐 2개소 완공.
• 성역내 중앙 지역의 전주 15개 북편 산하로 이설.
• 면 소재지(퇴촌)에서부터 천진암성지까지 12Km 전화 지하 케이블 완공.
• 대성당 터닦기 제7차공사 완료(현재 3만평 수평광장 완료).
1992년
• 천진암박물관 설립(천주교 수원교구장 공문으로 확정).
• 100년계획 천진암 대성당 터 축성.
• 한국 천주교회 창립 제213주년(1779∼1992) 기념생사 거행.
• 주차장 지역과 성역내 도로정비사업 착공.
• 전나무 3년생 35,000주, 느티나무 7년생 500주, 대성당 터 주위에 식수.
• 천진암박물관 임시건물 보수 및 개관준비
• 「이달의 천진암」 제 8호 발행.
• 정하상 성인순교가 보급
• 천진암 소성당 설계도 작성.
• 천진암박물관 설계도 작성
• 천진암대성당 설계평면도 초안 작성.
남원양씨 병부공파 거제문중 30세손 양 방수 자료제공
|
첫댓글 아름다운 세상
2011.08.26 10:18 신고
1980년 초창기 천진암을 방문했던 기억들이 새롭습니다. 여러차례 방문하면서 변화되어가는 모습을 보면서 하느님의 놀라운 이끄심을 느끼기도했었습니다. 이런 역사적인 자취를 기록으로 잘 정리하신 양선생님의 노고는 (훗)날 후손들이 길이 새겨 칭솔하실 것입니다. 아무리 훌륭한 역사나 내용이라도 기록이 없으면 후손들에게 전달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소명의식을 갖고 노력하시는 분들이 있기에 오늘날 한국 천주교회의 발전도 거듭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