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음 3.0'은 이렇다. 한어병음에서처럼 한 낱말을 소리나는 대로 자판에 옮기되
그동안 발음기호로 써왔던 영어 대신 한글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등소평'이라는 이름을 자판에 옮긴다 치면 '鄧小平'이라는 글자 하나하나를 차례로
찾아내 치는 대신 그것의 중국식 발음인 '덩샤오핑'을 한글로 친다.
그러면 '鄧小平'이라는 이름이 한자로 뜨게 된다.
소리글자인 한글이 뜻글자인 한자의 발음기호 역할을 해주기에,
또 그가 개발한 소프트웨어 속에 '鄧小平'이라는 낱말이 입력돼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세 키를 동시에 치니 순식간에 모니터 화면에 한자가 출력되면서 중국어가 스피커로 튀어나온다.
그동안 우리는 중국어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데 한글보다 훨씬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고 알아왔는데,
단번에 입력해 버린 것이다.
지난 7월 3일부터 3일 동안 중국 연길에서는 '07 다종언어 정보처리 국제학술대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는 한국 48명, 북한 16명, 중국 소수민족 대표 11명을 포함한 중국 50명, 미국 3명 등
총 110여 명의 학자들이 참석했다.
이 학술대회에서는 다국어 입력방식, 정보처리와 음성 인식, 자연어 처리와 기계번역, 정보통신기술
등 다양한 주제를 놓고 열띤 토론을 벌였는데 회의장 들머리엔 중국어 자판을 시연하는 자리가 있어
눈길을 끌었다.
바로 안마태 신부가 한글을 이용한 중국어 자판 '안음(安音) 3.0'을 선보이는 자리였다.
이 자리엔 미국 국적의 한국인 안마태 신부(성공회)가 중국인 직원들과 함께 안음 3.0을 설명하기에
바빴다.
개발자 안마태 신부의 설명이다.
"중국어 자판 '안음 3.0'에 대한 중국의 반응은 생각보다 뜨거웠습니다.
대표적인 반응이 '중국의 역사를 바꿔놓을 작품'이라는 표현이었지요.
근대화 과정에서 중국인의 뒷다리를 붙잡은 대표적인 장애물이 한자라는 문자였기에 당연한
반응이라 할 것입니다. 내가 개발한 방식으로 입력할 경우 영어에 비해 최소한 3배 이상 빠르니
어떻게 보면 당연한 반응이 아닐까요?"
지금 중국에서는 안음 3.0을 중국어 자판의 표준으로 삼자는 움직임도 있다고 한다.
중화사상으로 뭉친 강대국 중국의 자존심이 과연 그것을 허락할지 모르지만 한자가 실제 정보화에
걸림돌이 되어왔기에 그들의 고민은 이제 시작된 것이다.
중국어 자판 개발은 쉽지 않았다. 글자 구성의 기본 요소인 모음과 자음의 구분이 없고, 또 글자 수가
수만 개나 되는 한자를 컴퓨터나 휴대폰 자판에 앉힌다는 것은 지극히 어려운 작업이었다.
개발에 착수한 지 11년만인 2005년에 '안음(安音) 1.0'이라는 첫 작품을 내놓았다.
그 속에는 1만3천 개의 단어가 들어 있어 중국어 소사전이라 할만 했다.
1년 뒤인 2006년에 6만5천 개의 단어가 들어 있는 '안음 2.0'을 선보인 데 이어, 다시 지난 6월에는
그것을 업그레이드한 '안음 3.0'을 발표했다. 6만5천 개나 되는 단어가 들어 있어 웬만한 낱말은 다
처리할 수 있다. 아직도 문자혁명이 진행 중인 중국에서는 새로운 글자가 계속 만들어지고 있어
사전을 현행화 하는 작업은 앞으로도 계속해야 한다.
"한자를 입력할 때 영어알파벳을 빌려쓴다 해도 자판을 여러 번 눌러야 합니다.
중국어에는 동음이의어가 많다는 것이 결정적인 흠이지요. 속도를 중시하는 컴퓨터나 휴대폰에서
영어가 통역자로서 별 도움이 되지 못하는 이유가 바로 거기에 있습니다. 때문에 나는 낱자 대신
낱말을 입력하는 방식을 택했고, 영어보다 훨씬 능률적인 한글을 통역자로 선택했던 것입니다."
ohmay news
첫댓글 대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