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최대 명품 소비국 중국, 명품 소비층 연령대 점점 낮아져 -
- 글로벌 명품 브랜드, 젊은 고객층 타겟 캐주얼 제품 잇달아 출시 -
- 중국 소비 패턴의 고급화 추세에 발맞추어 프리미엄 소비재 제품 개발에 힘써야 -
□ 세계 명품 시장을 이끄는 중국 시장
○ 2017년 중국의 명품 매출액은 전 세계 매출액인 3080억 달러(329조 2828억 원)의 32%를 차지했으며, 전 세계 사치품 소비자중 44%가 중국인 소비자인 것으로 나타남.
- 이탈리아의 살바토레 페라가모는 2016년 중국시장에서의 매출이 전년 대비 6% 성장했으며, 특히 4/4분기에는 13% 급증함.
- 미국 코치(Coach)는 2017년 북미 시장에서의 매출이 16% 감소한 반면 중국 시장에서는 두 자릿수 증가세를 보임.
- 루이뷔통과 에르메스는 지난해 기준 중국 매출이 전년 대비 각각 38%와 48% 증가함.
글로벌 사치품 소비자 중 중국인 소비자 비율 추이
(단위 : %)
자료원 : 배인 앤 컴퍼니, 유안타증권 글로벌투자정보센터
○ 올해 7월 1일부터 중국이 소비재에 대한 수입 관세를 인하하며 국내 소비재 시장을 활성화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중국 명품 시장은 점점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관세 인하에 따라 루이뷔통(LVMH)과 에르메스(HEREMES)가 가격 인하를 공식적으로 발표하였고 다른 브랜드도 잇달아 가격 인하를 계획하고 있음.
- 중국산업정보에 따르면 중국의 명품 판매 상승률이 2015년부터 계속 상승하여 2017년 8% 상승하였고 2021년에는 13%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
- 2017년 영국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은 향후 5년 뒤 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명품 소비시장이 될 것으로 예측함.
중국 사치품 판매 상승률
(단위 : %)
자료원 : 중국산업정보(中国产业信息)
□ 대중 속에 파고드는 명품 캐주얼 운동화
○ 유로 모니터에 따르면 중국 에슬레저* 시장이 2015년 253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 431억 달러로 커져 명품 시장 수요를 앞지를 전망임.
- 건강에 대한 중국인들의 인식 변화와 캐주얼 제품을 선호하는 젊은 소비계층, 일상복처럼 입는 운동복, 레저용품이 인기를 얻으며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고, 젊은 여성들을 중심으로 유행이 확대되고 있음.
* 에슬레저: 애슬레틱(운동경기)과 레저(여가)를 합친 스포츠웨어 업계의 용어로 일반인들도 스포츠를 일상적으로 받아들여 손쉽게 레저와 같은 즐거움을 맛보자는 경향을 가리킴(자료원: 패션전문자료사전)
○ 중국 내 에슬레저 시장이 확대되면서 최근 유럽 명품 브랜드에서 운동화를 비롯한 캐주얼 제품 디자인 및 생산이 활발해지고 있음.
- 명품 브랜드의 운동화가 정통 스포츠 브랜드 못지않은 인기를 누리며 주요 매출 품목으로 자리 잡음.
- 나이키, 아디다스와 같은 유명 스포츠 브랜드를 비롯한 구찌, 샤넬, 발렌시아가와 같은 명품 잡화 브랜드의 운동화가 중국에서 인기를 얻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