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시아 순다랜드에서 올라온 사람들이 한자를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
인도에서 아래로 내려온 사람들이 동남아시아에서 정착하다가 다시 위로 올라온
사람들이다.
이 사람들의 조상은 중동 페르시아에서 1차로 한자를 만든 적이 있다.
여기서도 원시한자가 발견되었다.
우리말에 남방계 발음이 많이 남아 있다.
한자가 생기기 훨씬 이전부터 쓰던 말이 축약 변형되어 한자음이 된다.
필리핀 따갈로그어
pigi 핑굴의 간단화된 형태
명사 엉덩이
구르 군 궁 궁디 궁댕이 궁덩이
방댕이 엉덩방아
puwetan
명사 엉덩이
puwitan
명사 엉덩이
핑굴------>피구 받침 탈락
북경어
屁股 [pì‧gu]
1.명사 구어 궁둥이. 엉덩이. 둔부.
2.명사 (뒤)꽁무니.
인도네시아어
pinggul
1.둔부, 엉덩이
2.대퇴부 (=pangkal paha)
pungkur
1.등, 뒤, 후부, 둔부, 엉덩이
2.나머지, 잔여분
panggul
둔부, 엉덩이, 궁둥이 (=pangkal paha, pantat (bokong))
북경어
臀 [tún]
명사 생리 엉덩이. 볼기의 윗부분. (→屁股)
臀部 [túnbù]
명사 둔부. 엉덩이. 볼기
tur-->dur-->dun
똥을 영어로 덩 dung이라 한다.
엉덩이의 덩은 똥?
똥구멍이 항문이다.
port puerta의 어근 por/puer 푸르 부르 무르 문 門
tur-->tu-->du-->ju
jubur
항문(肛門), (한 쪽)엉덩이 (→dubur)
dubur
1.궁둥이, 엉덩이 (=anus)
2.항문, 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