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오만의 떠오르는 핫아이템, 발전기 | |||||||||||||||||||||||||||||||||||||||||||||||||||||||||||||||||||||||||||||||||||||||||||||||||||||||||||||||||||||||||||||||||||||||||||||||||||||||||||||||||||||||||||||||||||||||||||||||||
---|---|---|---|---|---|---|---|---|---|---|---|---|---|---|---|---|---|---|---|---|---|---|---|---|---|---|---|---|---|---|---|---|---|---|---|---|---|---|---|---|---|---|---|---|---|---|---|---|---|---|---|---|---|---|---|---|---|---|---|---|---|---|---|---|---|---|---|---|---|---|---|---|---|---|---|---|---|---|---|---|---|---|---|---|---|---|---|---|---|---|---|---|---|---|---|---|---|---|---|---|---|---|---|---|---|---|---|---|---|---|---|---|---|---|---|---|---|---|---|---|---|---|---|---|---|---|---|---|---|---|---|---|---|---|---|---|---|---|---|---|---|---|---|---|---|---|---|---|---|---|---|---|---|---|---|---|---|---|---|---|---|---|---|---|---|---|---|---|---|---|---|---|---|---|---|---|---|---|---|---|---|---|---|---|---|---|---|---|---|---|---|---|---|---|
게시일 | 2015-12-02 | 국가 | 오만 | 작성자 | 한석우(무스카트무역관) | |||||||||||||||||||||||||||||||||||||||||||||||||||||||||||||||||||||||||||||||||||||||||||||||||||||||||||||||||||||||||||||||||||||||||||||||||||||||||||||||||||||||||||||||||||||||||||||
오만의 떠오르는 핫아이템, Generator(단위발전기) - 정부·산업시설·프로젝트 현장 등에서 폭넓게 사용 - - 미국·유럽·인도 제품이 시장 주도, 틈새시장 진출 가능 -
□ 시장규모 및 동향
○ 각종 인프라 프로젝트, 산업시설 전력 수요 증가로 단위 발전기 시장 확대 - 오만은 GCC 산유국으로 산업시설 및 가정 전력 공급 사정이 매우 양호한 편이나, 최근 급격한 산업화와 인구 증가, 각종 인프라 프로젝트 추진으로 개별 전력 생산이 가능한 발전기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또한, 매년 4월에서 8월까지 낮 기온이 섭씨 50도 이상 올라가는 혹서기에는 전력 수요 폭증 및 송배전 시설의 과부하 등으로 대체 전력 공급 수요가 높음.
○ 주요 발전기 수요처 - 소형 가정용 발전기(5㎸A 수준): 도시보다는 인구 밀도가 높지 않은 원격지 마을 - 중·대형 발전기(~6000㎸A까지): 병원, 비즈니스 사무빌딩, 관공서, 공항, 항만, 산업 인프라 프로젝트 공사 현장 등
□ 제품 동향
○ 모바일 타입(Continuous 및 Prime 타입): 광산개발지역, 석유 및 가스 개발 현장, 건설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며, 연결된 장치에 일정한 전압을 공급하는 Continuous 타입과 비일정 전압을 공급하는 Prime 타입이 있음. 주요 수요처는 EPC 기업으로, 구매 및 렌탈함.
○ 고정형 타입: 공항, 병원, 대형 슈퍼마켓 및 쇼핑몰, 주거단지, 은행, 일반 사무실 등에서 사용됨. 모바일 타입에 비해 다소 대형 제품이 사용되며 수요자가 직접 구매함.
Mobile 타입 및 고정형 타입 발전기
□ 가격 및 경쟁동향
○ 미국·영국·스페인·인도산이 시장 주도 - 미국산 Caterpillar, 영국산 Cummins 등이 고가시장을 형성하고 있음. 스페인 Atlas Copco 등이 중고가 시장을, 인도산 제품이 저가 시장을 형성하고 있음. - 중가 제품군 경쟁은 상대적으로 적은 상황
현지 브랜드 및 모델별 발전기 가격대
주: 위의 가격은 예시이며, 수요자와의 협상에 따라 가격 변동폭 존재 자료원: KOTRA 무스카트 무역관
□ 소비 패턴 및 유통구조
○ 직접 구매 또는 렌탈 방식으로 공급 - 건설현장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이동형 타입의 경우, 해당 EPC 회사가 현지 발전기 에이전트로부터 구매를 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월/연 단위로 렌탈해 사용함, 이 경우 연료별, 용량, 소음, 가격, A/S 등 조건이 상이함. - EPC 회사에서 구입/렌탈하는 발전기는 주로 현장에서 펌프, 조명, 드릴 또는 노동자 숙소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 때문에 22㎸A에서 1400㎸A까지 다양함. - 반면, 쇼핑몰·슈퍼마켓·창고·주거단지에서는 고정형 발전기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렌탈보다는 직접 구매하는 경우가 많음. 주로 500㎸A에서 1MVA 제품을 사용함. - 그 외 2000㎸A 이상의 대형 제품의 경우, 원유·가스 채굴현장, 담수 발전소, 정유소 등에서 사용됨. 대형 제품의 경우 디젤보다 가스를 연료로 사용함.
○ 공식 딜러 및 지정 딜러를 통해 수입, 현지 마케팅 및 A/S 책임 지정 - 이 발전기 제품의 경우, 고장 수리 및 현지 탄탄한 판매 네트워킹을 구축해야 하기 때문에 공식 딜러 또는 지정 딜러를 통해 수입되고 있음. - 일부 제품은 딜러 직접 판매 방식이 아닌 전문 렌탈 기업을 통해 유통됨. - 일반적으로 280~300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인 유지보수를 시행함. - 따라서, 현지 딜러는 자체 유지보수 인력을 갖추고 있어야 함.
□ 수입통계 및 제도
75㎸A 용량 이하 발전기 수입 동향(HS Code 85021100) (단위: 달러)
75~375㎸A 용량 이하 발전기 수입동향(HS Code 85021200) (단위: 달러)
375㎸A 이상 용량 발전기 수입 동향(HS.Code 85021300) (단위: 달러)
○ 필수 규격 승인은 요구되지 않으나, ISO 인증 보유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
○ 수입관세는 5% 기본관세 적용
□ 시사점
○ 중가 제품군 부재로 틈새시장 공략 가능 - 미국, 유럽산 제품은 고가 제품군, 인도산은 저가 제품군을 구성하고 있어 중가 제품군 경쟁은 치열하지 않은 상황임. - 특히 전력분야의 한국산 제품 인지도와 선호도가 높아 양질의 가격경쟁력이 있는 제품이 시장에 소개된다면 시장 진출이 용이할 것임.
○ 믿을 만한 에이전트 발굴, 현지 기술자 양성 지원 등 유지보수 및 A/S 보완책 마련 - 발전기 제품은 고가인데다가 주기적인 점검 및 수리가 가능해야 현지 판매가 가능함. - 따라서 원활한 부품 공급, 주기적인 기술자 파견 또는 체계적인 현지 기술자 교육 등을 통해 수요자에게 신뢰를 줄 수 있어야 함.
○ 현지 발전기 전문 에이전트 및 딜러 정보가 필요할 경우, KOTRA 오만 무스카트 무역관으로 연락 바람(swhan@kotra.or.kr).
자료원: NCSI(오만 통계청) 및 KOTRA 무스카트 무역관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