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은 수화반경도 크고, 원자반지름도 크지않나요?이온에 물이 몇개 붙어있는지 어떻게 아나요?..ㅠ수화반지름, 이온반지름을 주기율표처럼 한눈에 한번 보고싶습니다.((제가 서치할때는 못찾앗어요))
첫댓글 Wikipedia에서 찾은 자료 하나를 보면, 원자 반지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Ca = 180 pm, Mg = 150 pm, K = 220 pm, Na = 180 pm, H = 25 pm 출처가 불분명합니다만 아래 자료를 보면, 이온반경은 K가 더 크지만 수화이온반경은 Na가 훨씬 더 큽니다. K+ 이온 반경 = 133 pm, 수화이온반경 = 532 pmNa+ 이온 반경 = 98 pm, 수화이온반경 = 790 pm
Google에서 ionic radius(이온반경), hydrated ion radius(수화이온반경)로 이미지 검색하면 자료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측정 또는 계산방법, 원자 또는 이온이 어떤 상태일 때 측정하는지 등에 따라서 다르고, 또 측정한 연구자에 따라서도 다를 수 있습니다. 토양의 분산문제에서는 보기 ②의 내용만 확실히 알고 있으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렇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첫댓글 Wikipedia에서 찾은 자료 하나를 보면, 원자 반지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Ca = 180 pm, Mg = 150 pm, K = 220 pm, Na = 180 pm, H = 25 pm
출처가 불분명합니다만 아래 자료를 보면, 이온반경은 K가 더 크지만 수화이온반경은 Na가 훨씬 더 큽니다.
K+ 이온 반경 = 133 pm, 수화이온반경 = 532 pm
Na+ 이온 반경 = 98 pm, 수화이온반경 = 790 pm
Google에서 ionic radius(이온반경), hydrated ion radius(수화이온반경)로 이미지 검색하면 자료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측정 또는 계산방법, 원자 또는 이온이 어떤 상태일 때 측정하는지 등에 따라서 다르고, 또 측정한 연구자에 따라서도 다를 수 있습니다.
토양의 분산문제에서는 보기 ②의 내용만 확실히 알고 있으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렇군요..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