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조~광해군 때의 문신이자 당대를 대표하는 문인의 한 사람인 허균(許筠, 1569~1618)은 정치와 사상의 측면에서 시대를 앞서간 혁명가라고도 하고, 겉과 속이 다른 소인배라고도 합니다. 문학의 측면에서는 자신의 정(情)을 개성적으로 표현하여 자기 시대의 문학을 만들어야 한다는 혁신주의자로 평가되는가 하면, 과거의 문학 전통(당송시대)을 되살려야 한다는 복고주의자의 자장 안에서 허균의 문학을 조명해야 한다는 입장도 있습니다. 이처럼 허균은 400년 뒤의 독자에게까지 수많은 논란거리를 던져 주는 문제적 인물입니다.
현재 허균의 글로 남아 있는 것은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와 시집 「을병조천록」(乙丙朝天錄)뿐이다. 「성소부부고」는 1981년부터 1985년 사이에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완역 형태로 나왔습니다. 하지만 일반 독자들에게 대표적으로 읽히는 책은 허균의 대표작인 「홍길동전」과 「성소부부고」에 수록된 「한정록」뿐입니다. 허균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글들은 일반 독자들이 찾아 읽기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이 책은 허균의 남아 있는 글 중에서 허균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글들을 쉬운 우리말로 풀었습니다.
조선 시대 탁월한 문인
허균(許筠, 1569~1618)은 선조~광해군 때의 문신이자 당대를 대표하는 문인의 한 사람이었습니다. 권필(權韠), 이안눌(李安訥)과 어깨를 나란히 한 최고의 시인이었고, 현실에 대한 예리한 분석과 통찰이 돋보이는 논설뿐 아니라 고도의 문학 기교가 발휘된 예술 산문에도 능했던 뛰어난 문장가였으며, 당대 제일의 비평가요 박학가였습니다.
관리로서 허균의 삶은 일생 내내 탄핵과 파직, 재기용의 연속이었습니다. 거듭된 파직의 원인은 허균의 돌출 행동에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허균은 누구도 범접하기 힘든 문학적 역량과 박학 덕택에 파직 이후 어김없이 재기용되었습니다. 특히 명나라 사신을 영접하는 자리에서 고금의 역사와 문학을 논하고 짧은 시간에 수준 높은 시를 짓는 일로는 허균만한 사람을 찾기 어려웠습니다. 거듭된 탄핵의 사유는 부임지에 기녀를 데리고 가 살았다거나, 상중에 주색을 즐겼다거나, 서얼 무리와 어울려 지내며 무도한 일을 벌였다거나, 불교를 숭상했다는 등 사대부 사회에서는 모두 아연실색할 사건들입니다. 허균은 이에 대해 일일이 변명하는 대신, 인간이 만든 예교(禮敎)로 자유를 구속할 수 없다며 자신은 하늘이 내려준 정(情)에 따라 살겠다고 일갈했습니다. 당대인들은 이런 허균을 두고 ‘천지 사이의 한 괴물’(天地間一怪物)이라 규정했습니다.
허균의 진면목 ― 보고 싶은 대로 평가되는 허균
허균은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초 조선뿐 아니라 동아시아의 격변기를 살다 간 인물입니다. 정치가로서의 허균은 허다한 추문 속에 살다 마침내 반역죄로 처형당한 ‘괴물’로 남고 말았습니다. 반면 문학가로서의 허균은 조선 한문학사의 뛰어난 존재였습니다. 당대 최고 수준의 시인이자 문장가로 꼽혔을 뿐 아니라 특히 문학적 감식안에 대해서만큼은 허균에 대해 반감을 품은 이들조차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던 조선 제일의 비평가였습니다.
그러나 허균 사후(死後)의 조선 사회에서 허균의 문학은 금단의 영역에 가까웠습니다. 허균은 경박한 반항아, 음험한 반역자의 표상으로 일컬어질 뿐 허균 문학에 대한 정당한 평가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허균의 문집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원고는 허균이 죽기 직전 사위인 이사성(李士星)에게 맡겨 비밀리에 보관되었고, 이후에도 공식적으로 간행할 수 없어 필사본으로만 전해졌습니다. 오늘날 완질로 전하는 필사본도 규장각 소장 2종을 포함하여 대여섯 종에 불과합니다. 고려대 소장본의 표제가 ‘간죽’(看竹)으로 되어 있듯, 「성소부부고」는 본래의 이름 대신 「간죽집」(看竹集)이라는 제목으로 일컬어지기도 했습니다. ‘간죽’(看竹)은 당나라 왕유(王維)의 시 「봄날 배적(裴迪)과 함께 신창리(新昌里)를 지나다가 여일인(呂逸人)을 방문했으나 만나지 못하다」(春日與裴迪過新昌里, 訪呂逸人, 不遇)라는 시 중의 “대나무를 봤으면 됐지 주인은 찾아 무엇 하나?”(看竹何須問主人)라는 구절에서 따온 말입니다. 그저 작품만 볼 일이지 작자에 대해서는 알려고 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조선 후기 문인들이 허균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취했던지 짐작하게 합니다.
근대로 접어들어 허균은 전혀 다른 시각에서 각광받기 시작했습니다. 정(情)을 긍정하고 자유를 외친 허균의 강렬한 시문이 눈에 들어왔고, 처형당한 반역자의 형상은 서얼 등용을 주장했던 생전의 주장과 「홍길동전」에 힘입어 어느덧 중세를 거부하고 평등에 입각한 새로운 세계질서를 꿈꾸었던, 날개 꺾인 혁명가의 이미지로 바뀌었습니다.
자유분방한 삶
허균은 평소 “참선하고 부처에게 절할 정도”로 불교에 대해서 호의적이어서 여러 명의 승려들과 교류하였으며, 신분적 한계로 인해 불운한 삶을 살고 있던 서자들과도 교류하였습니다. 또한 요즈음 같으면 지탄받을 일이지만, 기생과 정신적인 교감을 할 정도로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생활을 하였습니다. 한 번은 그가 아끼던 부안의 기생 계생이 죽자, “신묘한 글귀는 비단을 펼쳐 놓은 듯(妙句堪擒錦)/ 청아한 노래는 가는 바람 멈추어라(淸歌解駐雲)/ 복숭아를 딴 죄로 인간에 귀양 왔고(偸桃來下界)/ 선약을 훔쳤던가 이승을 떠나다니(竊藥去人群)…”라며 그녀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를 짓기도 하였습니다. 계생은 유명한 부안 기생 매창의 다른 이름입니다. 여기서 “남녀간의 정욕은 하늘이 준 것이며, 남녀유별의 윤리는 성인의 가르침이다. 성인은 하늘보다 한 등급 아래다. 성인을 따르느라 하늘을 어길 수는 없다”고 한 허균의 발언의 통해서 그의 생활 태도를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이 같은 허균의 생활 태도는 학문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글쓰는 재주가 매우 뛰어나 수천 마디의 말을 붓만 들면 써 내려갔다. 그러나 허위적인 책을 만들기 좋아하여 산수나 도참설과 도교나 불교의 신기한 행적으로부터 모든 것을 거짓으로 지어냈다”([광해군일기])고 평가되었습니다. 그의 행동과 학문은 분명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것이 아닐 수 없었습니다.
허균의 참모습은 어느 쪽에 가까운가. - 허균의 삶과 문학
개인의 문학과 삶은 불가분의 관계입니다. 허균 또한 예외가 아니니, 영화로운 어린 시절과 연이어 가족을 잃은 슬픔, 바쁜 벼슬길, 잦은 파직 등이 그의 시와 산문에 고스란히 나타나 있습니다. 급진적인 면이 있었고 품행에 문제도 많았지만, 한편으론 서정성 짙은 글을 많이 적기도 했습니다. 분명 홍길동적인 면도 있고, 백성을 중시하는 호민(豪民) 주장 또한 파격적이지만, 먼저 간 아내를 그리는 지아비의 슬픔, 관리로서의 힘든 삶을 토로한 글들을 읽다 보면, 허균의 전체 모습을 한마디로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남겨진 글을 통해 본 허균은 세속에 휘둘리지 않는 강한 자의식을 가진 인물이었습니다. 주변의 비판을 의식하고 괴로워하기도 하지만, 끝내 본인의 하고자 하는 바를 관철시키는 모습 속에서 홍길동이 한 자리를 차지하고 호민론(豪民論)이 또 다른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허균의 삶을 보면 그의 명성만큼 형제들의 명성 또한 높았습니다. 허균의 두 형 허성(許筬, 1548~1612)과 허봉(許篈, 1551~1588), 손위누이인 허난설헌(許蘭雪軒, 1563~1589) 역시 한 시대의 인물들이었습니다. 「선조실록」에서는 허균의 가문이 조선에서 가장 흥성한 가문이라는 칭송을 들었다고 기록하니다. 허균은 조선의 대표적인 명문가의 막내 귀공자로 태어났던 것입니다.
허균의 둘째형 허봉은 천재였다고 합니다. 선조(宣祖) 앞에서 극언을 마다하지 않다가 병조판서 이이(李珥)를 탄핵한 일로 함경도 갑산(甲山)으로 유배 갔고, 2년 뒤 유배지에서 풀려났음에도 도성 안으로 들어오는 것이 금지될 정도로 선조로서는 골치 아픈 존재였습니다. 십대의 허균은 유배지에서 풀려나 백운산(白雲山)에 머물러 있던 허봉에게 고문(古文)과 당시(唐詩)를 배웠습니다. 유년기부터 허봉과 그 주변 인물들 간의 문학 토론을 곁에서 지켜본 일 또한 허균에게는 중요한 문학 수업이었고, 허균이 문단의 저명한 인물들과 교유하게 된 것도 주로 허봉을 통해서였습니다.
결혼 7년후 1592년에는 임진왜란이 일어나 피난길에 올랐습니다. 함경도 단천(端川)에서 첫아들을 얻었으나, 산후조리도 못한 채 급히 피난길을 재촉하다 사흘 뒤 아내와 아들을 모두 잃었습니다. 과거급제도 못한 때이니 아내 안동 김씨는 아무런 영화도 못 누리고 스물둘의 젊은 나이에 죽었습니다. 하필 아들의 생일이 7월 7일이라 1년 뒤 칠석에는 직녀성을 바라보며 죽은 아내와 아들 생각에 눈물 흘렸고(「그리운 아내」), 20년 가까운 세월이 흐른 1609년 허균이 정3품 형조참의에 오르면서 조강지처 안동 김씨에게도 ‘숙부인’(淑夫人)의 직첩이 내려졌으며, 이때에야 비로소 허균은 아내의 행장(行狀)을 쓰며 젊은 날의 대화를 떠올렸습니다.
곤궁하던 시절에 나는 당신과 마주 앉아 작은 등불을 켜 밤을 밝히며 책을 읽었네. 그러다 내가 조금 게으름을 피울 것 같으면 당신은 그때마다 농담처럼 이렇게 말했네.
“게으름 부리시면 내 부인첩(夫人帖)이 그만큼 늦어집니다.”
그때야 어찌 알았겠는가, 18년 뒤에 이 부질없는 문서 한 장을 당신의 영전에 바치게 될 줄을! 그 영예를 누릴 사람은 조강지처 당신이 아니니, 당신이 이 일을 안다면 필시 한숨 쉬며 서글퍼할 테지. 아아, 슬프다!
―「아내」 중에서
1594년 문과에 급제한 허균에게 가장 많이 부여된 직무는 명나라 사진의 접대였습니다. 명나라 사신을 접대하는 자리에서는 고금의 역사와 문학에 대한 토론이 벌어지기도 하고 짧은 시간 동안 시를 지어 주고받기도 해야 하는데, 허균이야말로 그 적임자였습니다. 쉴 틈 없는 벼슬길, 특히 중국에 사신으로 가거나 의주로 사신 접대의 임무를 맡아 떠나는 등 외지에 머문 일이 많던 허균은 늘 자신을 ‘나그네’라 부르며 안식처를 희구했습니다.
젊은 시절 화려한 옷 입고 장유(壯遊)를 노래했거늘
거듭 오니 어느새 머리에 흰 눈 덮였네.
고향은 멀리 삼천리 너머
지난 열아홉 해를 회상하네.
내 몸은 영예에도 치욕에도 편안하니
기쁨도 근심도 마음에 두지 않네.
집에 돌아가도 나그네인 건 나의 운명
오직 하늘에 거취를 맡길 뿐.
―「언제나 나그네」 중에서
벼슬길에 마음을 붙이지 못하고, 그렇다고 해서 벼슬을 끊고 은거지에서 유유자적 살아가지도 못하는 자신의 처지를 허균은 “집에 돌아가도 나그네인 건 나의 운명”이라고 했습니다.
불교에 경도되었다는 이유로 삼척부사에서 파직당한 허균은 당시의 심정을 다음과 같이 읊었다.
밤에 불경 읽어
집착하는 마음은 없으나
아내도 있고
고기도 먹는다네.
출세의 푸른 꿈 이미 버렸거늘
탄핵이 빗발친들 무슨 근심 있겠나.
내 운명 편안히 여기나니
서방정토(西方淨土)로 가고픈 꿈은 여전하다오.
예교(禮敎)로 어찌 자유를 구속하리
부침을 오직 정(情)에 맡길 뿐.
그대들은 그대들의 법을 따르라
나는 내 삶을 살아가리니.
벗은 찾아와 위로하고
처자식은 마음이 안 좋구나.
그래도 얻은 게 있어 기쁘다오
이백과 두보처럼 이름을 나란히 했으니.
―「내 삶을 살아가리니」
허균의 거침없는 언행은 당대 사대부 사회의 먹잇감이 되기에 충분했습니다.
“행실도 없고 수치도 없는 사람이거늘 오직 문장 재주 하나로 세상에 용납되었는데, 식자들은 조정에 함께 서는 것을 부끄러워했다.”(1599년 5월 25일, 황해도 도사에 임명된 데 대한 사신(史臣)의 평)
1618년 조선 삼사의 허균에 대한 평가 : ‘천지 사이의 한 괴물’(天地間一怪物, 1618. 4. 29, 사헌부와 사간원이 광해군에게 공동으로 올린 글), ‘하늘이 낸 괴물’(1618. 8. 22, 홍문관 관원들이 광해군에게 공동으로 올린 글)
<나는 나의 법을 따르겠다> 정길수 편 / 돌베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