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마을 그림순례(9)] 풍류와 손맛을 아십니껴 봉화 문수산 닭실 마을 | |||||||||||||||||||||||||||||||||||||||||||
옛 마을의 현주소는 시대의 그릇 속에서 살펴지는 풍경이다. 역사가 깊을수록, 선대(先代)의 삶이 무거울수록 명분에 따른 후손의 책무가 정비례한다. 그 빛 속에서 배우고 익히면서도 시대의 그늘에서 벗어나고픈 삶이 또한 현실이다. 그러나 역사를 의지한다면,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 새로운 것을 여는 일(溫故而知新)이 되어야 하리. 그래서일까. 봉화 땅의 상징적인 마을이자 주요 문화유산을 간직한 문수산 자락 닭실 마을을 다시 찾아 살펴보는 감회는 각별하다.
“우리 조상의 뿌리와 마을 유래, 그리고 수많은 문사들이 남긴 글을 정리한 책 임니더. 살펴보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더.” 사실인즉 닭실 마을은 충재(沖齋) 권벌(1478-1548) 선생의 삶과 유적으로 이루어진 마을이다. 입향조가 된 그의 삶을 추슬러 본다. 조선 중기의 문신인 그는 성균관 생원 권사빈(權士彬)과 파평윤씨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27세(연산군 10년) 때 대과에 급제했으나 정치적 이유로 탈락, 다시 3년 후(1507년)에 급제하여 사간원, 사헌부 등을 거쳐 예조참판에 이르렀다. 당시 중종 임금에게 경전을 강론하고 조광조의 개혁정치에 참여하다가 기묘사화(1519년)에 연루되어 파직당했다. 이때 귀향하여 어머니의 묘소가 있던 이곳 유곡(酉谷)에 자리 잡아 둥지를 틀고 학문과 풍류의 삶을 살았다.
닭실 마을 있게 한 주인공 충재 선생 그의 파란만장한 생애 속에서도 오늘의 닭실 마을을 있게 한 주인공 충재 선생. 일찍이 충재의 5대조가 안동에서 옮겨와 자리 잡았지만 충재로부터 발아, 번창했기에 그가 입향조 반열에 든다. 석천지를 저술한 권응도(權應度?6대손)의 석천지서에서 마을과 충재의 인연이 살펴진다. 닭실 마을 있게 한 주인공 충재 선생
현재 닭실 마을은 남녀를 합해 140명이지만, 본동(유곡1리)은 60명에 그친다고 함께 자리한 권영조(權寧祚?59) 이장이 말한다. 글 읽는 소리가 사라진 마을은 벼, 수박, 고추, 사과, 인삼 농사로 생업을 이어가며, 특산물로는 부녀회에서 만드는 닭실종가한과가 유명하다. 과거의 역사를 살피고 현실을 그리러 온 내게 마을의 사연은 시작부터가 만만치 않다. 어떻게 산으로 둘러싸인 마을의 지형을 제대로 파악하고 삶의 현장을 통찰할 것인가. 과거의 유산과 오늘의 삶을 조화롭게 느끼도록 담아낼 수 있을까.
산길을 내려오는데 살았으면 명송으로 불렸을 고사한 소나무(枯死松)가 참나무와 엉켜 하늘을 찌르고 있다. 활엽수가 침엽수를 밀어낸다는 천이가 선명하다. 예전 이곳에서 단옷날 아낙들이 그네뛰기와 봄날 화전놀이(참꽃부침개)가 야단스러웠다고 일행들은 추억한다. 산을 내려와 모퉁이를 돌아서니 바로 마을의 명소인 청암정(靑岩亭)에 이르렀다. ‘청암정의 근사재(近思齋)는 선생께서 거처하던 곳이며, 석천정은 선생이 거닐며 노닐던 곳이다. 정자 아래와 위쪽에는 선생의 위패를 향사하는 서원과 관구지소(冠?之所?분묘)가 있어서 모든 자손들이 선생을 우러러 공경하고 사모하는 곳이다. 그렇기 때문에 주위의 일대 형승 및 바위며 돌 하나와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까지 선생의 막대와 신발 자취와 감상하던 남은 향기가 어려 있지 않은 것이 없다.’(국역 석천지 10쪽) 여기서 근사재는 ‘충재(沖齋)’라는 현판이 보이는 건물이요, 석천정은 마을 앞산 협곡에 돌담을 쌓아 세운 풍류 속의 정사를 이른다. 그리고 관구지소는 조금 전 다녀온 산소를 말하며, 위패를 모신 곳은 이곳 청암정 위의 산 아래 제각이다.
수많은 집안 유물들 보물로 지정돼 사람이 살아야 건물도 사는 법. 누대로 가꾸어 오고 선대의 학문과 풍류를 자랑하는 청암정은 나그네의 휴식을 유혹한다. 아니 정자 마루에 드러누워 한 동안 세상을 잊고 싶어진다. 척촉천(擲?泉)으로 부르는 연못에 떠있는 거북바위 등에서 바라보자 소나무, 향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가 허공에 떠있다. 몸을 일으켜 난간에 기대니 충재의 소담한 건물과 뜰 앞의 눈부신 주황빛 원추리들. 그리고 연못으로 이어지는 돌다리가 피안의 세계로 느껴진다. 퇴계의 문인인 김극일(金克一)이 후일 이곳에 와서 읊조린 시가 새삼스럽다. 길손이 화첩을 펴는 동안 종손은 그새 청암정 마루에서 잠이 들었다. 저 먼 조상의 음덕이 다 은혜롭지만은 않았을 현실 속에서 고단한 주인의 얼굴을 읽는다. 종손을 깨우자 그는 바로 이곳의 보물인 박물관으로 가 자물쇠를 풀었다. 한 집안의 유물이 국가의 보물로 이처럼 많이 지정된 곳이 또 있으랴.
충재가 예문관 검열 때의 한원일기(翰苑日記), 부승지와 도승지 때의 승선일기(承宣日記) 등 7책을 일괄한 충재일기(沖齋日記)가 보물 제261호다. 또 충재가 중종 임금으로부터 하사받아 늘 지닌 근사록(近思錄)은 고려 때(1370년) 간행한 것으로 보물 제262호다. 한편 임금에게 하사받은 15종 184책이 보물 제896호이며, 왕이 내린 교서와 재산 분배 기록인 분재기(分財記)와 호적단자, 왕세자를 책봉하는 행사기록 그림인 책례도감계병(冊禮都監?屛?숙종 14년)과 고문서 15종 274점이 보물 제901호다. 또한 충재와 퇴계, 미수 등의 서첩과 글씨 8종 14점 등은 일괄 보물 제902호로 지정되어 있다. 하지만 집안의 유물이자 국가 보물을 전시한 공간은 너무도 협소하고 전시체제를 갖추지 못한 느낌이다. 안타까움을 토로하자 종손은 금년부터 박물관 이전 공사로 청암정 산 아래쪽에 넓은 부지를 확보, 박물관을 확장할 것이라고 한다. 이어 솟을대문 종가에 이르자 길라잡이 종목씨 선친 권정우(權廷羽?84?유곡 종중 18세 종손) 선생이 창밖을 보시다가 길손과 마주쳤다. 거동이 불편한 몸임을 알면서도 대종손께 절을 올리고 화첩을 편 후 오늘의 인연을 수락해 주실 것을 간청했다. 한 해 마흔아홉 번 제사 모시는 유한규 여사 이어 종목씨의 어머니 대종부(大宗婦) 유한규(柳漢奎) 여사(85)를 안채에서 뵈오니 그 모습이 고요한 달빛 같다. 하회 마을 풍산유씨로 시집온 후 겪어냈을 사연이 어디 상상이나 될 법한가. 서른다섯 분의 조상 제사와 불천위(不遷位), 설, 한식, 추석을 포함 마흔아홉 번의 제사로 한 해를 보낸다는 사실 앞에 나그네의 붓끝이 자꾸 떨려만 온다. 모시 저고리에 옥색 치마를 입으신 단아한 맵시에 몹시 부끄러움을 타시는 모습 또한 평생의 몸가짐이 배인 탓이려니. 그런데 두 손을 치마 속에 꼭 파묻고 계셔서 물으니 험악한 손을 보여주기 민망하다고 하신다.
이제 일행은 마을 전경을 살피기 위해 논 건너편 산으로 올랐다. 하지만 숲이 우거져 도저히 시야를 헤아릴 수 없다. 골짜기를 오가며 헤매다가 내려오는 길에 제주도에서 본 동자석과 친연성이 느껴지는 권두인(權斗寅?충재 선생 5세손) 묘소의 석인(石人)을 만난 것이 행운이랄까. 다음 길은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내성천을 거슬러 올라가니 좁은 길에 ‘청하동천(靑霞洞天)’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며칠째 내린 비로 계곡이 요동을 치는데, 한 구비 돌아가자 계곡 암반 위에 축대를 쌓아 지은 석천정사(石泉精舍)가 우뚝하다. 충재의 장남 청암(靑岩) 권동보(權東輔)가 1535년에 지었다니 가문의 풍류가 여실한 증거다. 난간마루의 창을 열면 개울 풍광이 한눈에 들어와 가히 삼매경에 빠질 만한 경관이다. 징검돌을 건너 건물 안으로 들어서자 ‘석천정(石泉亭)’ 글씨가 바위에 새겨져 있다. 오죽(烏竹) 아래 돌샘이 있고, 샘물이 마당의 돌수로를 따라 담장 밖으로 흐르니 비로소 석천정사 이름에 걸맞다. 점심 때가 되어 일행은 인근 마을의 묵밥집을 찾았는데, 뜨락의 패랭이와 산도라지 꽃이 길섶에 한창이다. 어김없이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오후, 마을회관 앞에서 구순이 넘으신 박성옥 할머니(92)를 뵙고 부녀회원들이 모인 한과공장을 찾아갔다. “과자 맛은 손맛 아입니껴?” 닭실한과 500년 전통을 잇고 있는 22명의 부녀회원들. 한과가 제사음식의 꽃이라고 말해주는 아낙네들. 찹쌀, 조청, 식용유 등을 공동으로 마련해 일하는데 6, 7, 8월에는 잠시 쉰다고 한다. 모든 과정이 손맛인데, 예를 들어 강정은 찹쌀을 쪄서 홍두깨로 밀고 온돌에 말린 다음 기름에 튀기는 과정을 거쳐야 한단다. 한과는 자연색으로 물들이는데 분홍빛은 지초를 쓴다고 했다. 한과의 인기는 전국적으로 대단해 추석 때면 물량이 달려 야단이라니 귀한 것은 언제나 대접받게 마련이다.
길손을 위해 어느새 고운 모시 한복으로 갈아입은 아낙들. 그 중 안동 법흥댁 이임형(李姙衡?74) 부녀회장, 원천 외내댁 이영자(李英子?67), 풍기댁 김성완(金成완?65)씨를 그렸다. 모두들 주변에서 깔깔거리며 닮은 모습을 주문하니 나는 구슬땀이 절로 흐른다.
구순의 인생을 살아온 존재를 드러내지 않으려는 저 겸양을 넘어선 마음 자락을 어찌 형용할 수 있으랴. 어쩌면 저 마음이 면면한 조선의 숨결인지도 모르겠다. 드러내지 않음으로 더욱 존숭받고 외경스러운 선비의 삶과 또한 무엇이 다를까. 새삼 닭실 마을의 희망은 500년 전통의 무게보다도 겸허한 선비정신이 새삼 그리워지는 현실이다. 한편 마을 순례를 끝낼 때까지 종손의 배려 외에 나의 다리가 되어주고 닭실 마을의 중요성을 살펴준 분이 정민호(鄭民昊?청량산박물관 학예연구사)씨다. 그는 만부득 청암정, 석천정사 외에 삼계서원(三溪書院)을 그려 넣어야 한다고 강변한다. 하여 그를 따라 찾아본 서원은 충재 선생의 학덕과 충절을 경모하기 위해 세운 건물로 현종 1년(1660년)에 사액(賜額)을 받은 곳이다. 그러나 당시의 학풍과 기상은 사라지고 빈집은 덩그마니 세월의 바람 속에서 또 다른 시절인연을 기다리고 있었다. 따라서 오늘의 닭실 마을이 내일에 전해질 추억의 무늬보단 선비정신으로, 저력으로 되살아나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나는 그 희망을 그림으로 증언하고 싶었다.
2005.10. 432호
|
첫댓글 닭실마을,,,, 봉화는 익숙한 이름의 고장이네요,,,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