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예비순환듣고 있는 학생입니다~
포스트모더니즘 행정학이 태동하게 된 과정을 보면
신행정학이 나타나고 교수님께서 그려주신 그래프의 4분류에 따라 분류해보면
신행정학 중 기능주의로 부터 시작한? 건데.......
이때 나오는 기능주의와
사회학적 제도주의의 출발배경이 되는 구조 기능주의는 같은건가요???
그래프에서 기능주의 설명하시면서 단순히 이전의 관료제가 구조를 강조하였다면
기능주의는 조직을 구성하는 개인이 체제 내에서 기능하는 바에따라 결과가 달라질수 있어 구조 내에서 개인의 기능을 강조한게 체제론(기능주의)라고 하신걸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사회학적 제도주의 의 출발배경은 구조를 강조한 관료제이지 구조내에서 체제의 목표달성을 위한 개인의 기능을 강조한 체제론은 아니라는뜻인건가요????
제가 생각한 내용이 맞나요???(ㅠㄷㅠ) 막헷갈리네요 ㅠㅠㅠㅠ 교수님 꼭 좀 도와주세요~~ ㅠㅠㅠ
기능주의와 구조기능주의 체제론 .... 막섞이네요 ㅠㅠㅠㅠㅠ
첫댓글 구조주의는 조직의 공식적 구조를 강조한 것이고..구조기능주의는 관료제 역기능에서처럼 구조에 대한 개인의 대처에 따라 역기능이 나타나니 구조기능주의라고 하는거죠. 구조기능주의와 기능주의는 엄격히 구분하기 보다는 상호 유사한 맥락에서 같이 사용된다고 보면 될거에요. 체제론은 기능주의에 속하는 대표적 이론이지만 개인의 기능을 강조했다는 의미의 기능주의는 아니죠. 하위체제가 체제의 전체적 목표에 어떤 기능을 하느냐가 중요한 이슈죠.
신행정학 중 기능주의란 말은 그 자체가 잘못된 표현이고(기능주의는 합리성, 능률성과 연관된 개념이니까)...사회학적 제도주의의 출발배경과 관료제는 전혀 상관없어요.
먼저 해당되는 교재의 내용을 잘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