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癌)도 이제 '걸리면 죽는 병' 아니다
조기진단·의료기술 발달로 환자 절반 이상이 완치
갑상선암 환자 크게 늘어 위암에 이어 두번째 많아
21일 오후 4시 서울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위암전문클리닉 4층.
대표적인 위암 전문의로 부터 진료를 받으려는 환자 20여명이 대기 중이었다.
이렇게 위암 환자들이 몰리는 이유는
이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이 높기 때문이다.
1987년부터 2002년까지 치료한 8000여명의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은 65%였다.
비슷한 시기의 국내 전체 위암 생존율이 55% 수준임을 감안할 때
10%포인트나 높은 수치다.
조기(1기) 발견 시 생존율은 94%에 달하며
말기(4기)의 경우에도 11.5%의 생존율을 기록했다.
전문의들의 실력이 뛰어난 데다 내과와 외과, 방사선과 등 협동진료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기 때문이다.
◆"조기 진단과 의료기술 향상 덕분"
보건복지가족부 중앙암등록본부가 21일 발표한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암 발생은 지난 1999년부터 2007년까지 연간 3%씩 계속 증가했지만
암 조기검진 사업과 의료기술의 향상 등으로 5년 생존율도 2003~2007년엔
57.1%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암·자궁경부암·간암·대장암·유방암의 5년 생존율이
세계적 수준에 도달하면서 암 진단을 받은 환자의 절반 이상이 완치되고
있는 것이다.
2006년 복지부는 '암정복 2015년 계획'을 만들면서
암 5년 생존율을 2005년 45.9%에서 2015년 54.0%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그러나 21일 발표한 2007년까지 5년 생존율이 57.1%를 기록해
8년이나 목표를 앞당겼다.
복지부는 목표치를 수정하는 새로운 계획을 작성하고 있다.
조사 기간에
갑상선암 환자는 남성은 24.5%, 여성은 26%,
대장암은 남성은 7%, 여성은 5.3%나 빠르게 증가했고
남성의 전립선암(13.2%)과 여성의 유방암(6.6%) 증가 속도도 빨랐다.
특히 갑상선암 환자가 급증하면서 위암에 이어 두 번째 암으로 떠올랐다.
2006년 암 종류별 순위가 위암·대장암·폐암·갑상선암·간암·유방암이었으나,
2007년에는
위암 환자가 전체 암 발생자 가운데 16%를 차지해 가장 많은 가운데,
갑상선암·대장암·폐암·간암·유방암·전립선암 순이었다.
반면 간암은
1980년대 중반부터 시작한
간염백신접종사업과 B형 만성간염 바이러스 치료제 도입으로
남성은 2.2%, 여성은 1.6% 감소했으며
자궁경부암은 전 국민 자궁경부암 검진사업의 실시에 따라 4.9% 줄었다.
또 이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이 평균수명(남성 76세, 여성 83세)까지 생존할 경우
남성은 3명 중 1명(34.4%), 여성은 4명 중 1명(28.9%)이 암에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0기암'도 발견해 치료
국립암센터장은
"이제는 '암에 걸리면 죽는다'고 생각할 이유가 없다"며
"대장 내시경, 위 내시경 등 진단기술이 발전하면서 조기에 암을
발견하고 치료할 수 있다.
대부분이 수술하면 낫고 평생 관리하면서 살아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센터장은
"수술 기술도 좋아져 예전에는 위암이라고 하면
위의 일부분(점막+살)을 절제하는 수술을 받았지만,
최근 들어서는 내시경으로 미세한 암을 잡아내고 위 점막만 살짝
절제하는 수술로 치료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단장은
"암은 보통 1~4기로 나누는데
위암·자궁경부암 등은 조기진단 발달로 1기도 안 되는 '0기암'을
발견해 치료하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서울아산병원 대장항문외과 교수는
"대장암의 경우 국가주도 5대암 조기 검진사업에 들어가다 보니,
대장암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경우가 많아진 데다,
수술기법이나 항암제 개발 등이 시너지 효과를 낸 것"이라고 말했다.
☞ 5년 생존율
암 환자가 암 진단을 받은 후 5년 동안
같은 암이 재발하지 않고 생존하는 비율을 말한다.
5년 동안 별다른 이상이 없으면 일단 완치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국제적으로 암 완치율의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국 암 완치율 세계 최고 수준
국내 병원의 암 환자 완치율이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는 통계가 나왔다.
보건복지가족부 중앙암등록본부는 21일
암의 의학적 완치 기준인 '5년간 생존율'이 2003~2007년 기간에
57.1%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 중
한국인이 많이 걸리는 위암, 자궁경부암, 간암의 5년 생존율은
각각 61.2%, 80.5%, 21.7%로
미국(25.7%, 70.6%, 13.1%)이나 캐나다보다 높았고,
일본(62.1%, 71.5%, 23.1%)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서구형 암'으로 일컬어지는 대장암, 유방암의 생존율도
각각 68.7%, 89.5%로
미국(65.2%, 89.1%)이나 일본(65.2%, 85.5%)과 비슷하거나
높은 수준을 보였다.
반면 폐암의 경우 16.7%로
미국(15.6%)보다는 높았지만 일본(25.6%)보다는 떨어졌고,
전립선암도 82.4%로 높아지긴 했지만
미국의 99.7%보다는 한참 떨어졌다.
조선일보에서
우리 의료기술이 세계적이란 것이 말이 아닌
통계로 발표 됐네요...
학업 최상위권이 모이는 의료계의 현실에 이런 결과는 당연?
하겠지요.
그러나 나라를 먹여 살리는 분야는 이공계인데.....
좋은 하루 되세요~
Richard Storrs Willis
It Came Upon A Midnight Clear
Words: Edmund Hamilton Sears, 1849;
It came upon the midnight clear,
That glorious song of old,
From angels bending near the earth,
To touch their harps of gold:
"Peace on the earth, goodwill to men
From heavens all gracious King!"
The world in solemn stillness lay
To hear the angels sing.
그 맑고 환한 밤중에 뭇 천사 내려와
그 손에 비파 들고서 다 찬송하기를
평강의 왕이 오시니 다 평안하여라
그 소란하던 세상이 다 고요하도다
Still through the cloven skies they come,
With peaceful wings unfurled;
And still their heavenly music floats
O'er all the weary world:
Above its sad and lowly plains
They bend on hovering wing,
And ever o'er its Babel sounds
The blessed angels sing.
뭇 천사 날개 펴고서 이 땅에 내려와
그 때에 부른 노래가 또 다시 들리니
이 슬픔 많은 세상에 큰 위로 넘치고
온 세상 기뻐 뛰놀며 다 찬송하도다
O ye beneath life's crushing load,
Whose forms are bending low,
Who toil along the climbing way
With painful steps and slow;
Look now, for glad and golden hours
Come swiftly on the wing;
Oh rest beside the weary road
And hear the angels sing.
이 괴롬 많은 세상에 짐 지고 가는 자
그 험산 준령 넘느라 온 몸이 곤하나
이 죄악 세상 살 동안 새 소망 가지고
저 천사 기쁜 찬송을 들으며 쉬어라
For lo! the days are hastening on,
By prophets seen of old,
When with the ever-circling years
Shall come the time foretold,
When the new heaven and earth shall own
The Prince of Peace, their King,
And the whole world send back the song
Which now the angels sing.
옛 선지 예언 응하여 베들레헴 성중에
주 예수 탄생하시니 온 세상 구주라
저 천사 기쁜 노래를 또 다시 부르니
온 세상 사는 사람들 다 화답하도다
Have a nice Day´″```°³о♥♡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