넓은 땅과 좁은 땅-1
이 골동품담뱃대는 6각형에다가 용을 새겨놓아서 ‘6龍’이 되니 어쩌면 궁중에서 사용했던 것은 아닐까? 주차장위에서담음.
용비어천가는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최초의 문헌이며 2장에 ‘불휘 기픈 남간 바라매 아니 뮐쌔, 곶 됴코 여름하나니….
(뿌리가 깊은 나무는 바람에 움직이지 아니하므로, 꽃이 좋고 열매가 크니.….)’라는 말은 조선의 영원한 발전 기원이 된다.
1장은 개국송(開國頌)이어서 ‘海東(해동)六龍(육룡)이 나라샤 일마다 天福(텬복)이시니.…….
(우리나라에 여섯 성인이 웅비하시어 하시는 일마다 모두 하늘이 주신 복이니.….)’ 이 노래는 이성계의 윗대 할아버지들을 왕으로 미화하여 지은 것인데 농사꾼 이었는지도, 누구인지도 모르는 미확인된 윗대 조상을 모두 ‘조(祖)’를 사용하여 목조, 익조, 도조, 환조, 태조(이성계), 태종까지의 위상을 모두 임금 화 하여 6대에 걸친 유구한 조선 왕업에 기초를 둔 성덕의 찬송을 6룡으로 변신하여 언문으로 노래한 것인데 봉황이나 용은 임금이나 궁중에서 사용하는 전유물이다.
미국처럼 남한면적의 96배가되는 광활한 넓은 땅은 통치를 하기가 힘드니 분리가 된 주법을 만들어서 스스로 그들의 실체에 맞게끔 분할을 시켜놓았다.
그러나 군대만은 거대한 나라인 중국의 춘추전국시대를 배제하려고 연방군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장이 대게가 외국에 연계가 되니 육해군의 직무를 수행할 수가 있는 해병대가 많다.
맹자의 성선설(性善說)에 사람의 본성은 선천적으로 착하나 나쁜 환경이나 물욕(物慾)으로 악하게 된다는 것이고 순자의 성악설(性惡說)은 인간은 선천적으로 한없는 욕망을 가지고 있어 그대로 두면 싸움만이 일어나 파멸하기 때문에 예(禮)로써 바로잡아야 한다니 이 두 학자의 이론은 설득력이 있는데 사람의 성질은 좋기도 하고 나쁘기도 하여 선과 악을 넘나든다는 나의 생각이다.
그것은 양에 따라 사람마다 다르게 되는데, 예를 들어 도둑일지라도 아이가 위기에 처한 것을 보면 도와주게 되는 까닭은 사람의 마음속에는 위의 양자를 다 지니고 있기 때문에 미덕과 죄는 종이 한 장차이가 아닐까?
어떤 경우는 사람들이 권투시합을 보게 되는데 서로가 마주보고 때려서 얼굴이 붓고 피가 흐르는 구경을 좋아한다는데 잔인함에 나는 마음이 상하여 체널을 금방 바꾸어 버린다.
우리들의 조상들이 사용하던 격언이나 고사성어(대게 4자)는 중국의 글이 포
되니 양이 더 많은 셈이다.
상형문자로서 유래된 영어는 새(a), 사자(L)등이고, 한문(중국은 中文 이라 부름)으로는 내(川),새(鳥), 산(山), 밭(田), 해[日]등이고, 선형문자로는 밝을 명(明, 일월), 수풀 삼(森, 숲을 의미), 좋을 호(好, 남자가 여자를 안음), 가둘 수(囚, 죄수는 갇힌다)등이 있다.
국(國)자를 입구 자 속에 혹혹[惑]자 대신에 구슬옥[玉]자를 넣어‘國?’ 이라고도 쓰는 것을 보면, 즉 사람의 입(口)의 소중함은 구슬(玉)과 나라에 비유할 정도로 만들어진 글자 같으니 어쩌면 옛날에 있었던 ‘국가’ 라는 개체의 중요함의 정의(定意)가 현재까지 전해 내려오는 것이리라예로 공무원이 돈을 훔치더라도 먹는것에 비유하여 뱃속에 넣는다고 '착복'이라하고 사람 살기가 낳아진 지금도 액체인 술을 '마신다'라고 하지않고 '술을 먹는다'라고 한다.
역사의 정의는 사람의 입으로 전해오는 난분분한 사실들인 설화, 전설, 구전, 신화 등을 체계화하여 글로 묶은 것이다.
입구(口)에 사람인(人)이 합쳐 역사 사(史)가 되며 화할 화(和)자를 보더라도 벼화(禾)변에 입구(口)자이니 입에는 쌀이 최고라는 뜻이 되는 셈이니 모든 것이 형통한다는 뜻이다.
이런 전차[前借]로 화친(和親), 화목(和睦), 화합(和合)등의 단어가 생긴 것이 아닐까?
일단 ‘화’자가 대입되는 단어 중 나쁜 단어는 없는데 단지 ‘불화(不和)가 예외로 있을 따름이다.
보물의 ‘보(寶)’자를 파자하면 갓머리(宀)는 집, 옥(玉의) 3선은 구슬이고 세로의 선은 실에 꿴다는 뜻이지만 왕과 구분하여 점을 찍었으며 항아리부(缶)는 식량을, 조개패(貝)는 옛날 화패가 조개(원시인의 밥그릇)였으니 오늘 까지 이 글자(寶)를 사용하는데 즉 집, 구슬, 쌀 항아리, 돈 등이 함축되어 있다.
재(財), 화(貨), 실(實)등도 조개가 들어가지만 반대로 빈(貧)은 집과 돈 사이에 칼도(刀)자가 끼어 가난으로 전락하는데 인류는 석기(石器)시대에서 철기시대(황금)로 바뀌었다가 다시 석기시대(보석)로 전락 한다.
한문의 남(男)이라는 글자는 열십(十)이라는 글자와 입구(口)와, 힘력(力)자가 합친 것이 열 식구를 먹여 살리는 힘이라는 글자로 복합된 것이라나?
첫댓글 잘보고 갑니다.
댓글 감솨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