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방송대 국문과 국어연구
 
 
 
 

친구 카페

 
 
카페 게시글
묻고 답하기 질문입니다..
속리산 추천 0 조회 300 12.04.23 19:37 댓글 12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2.04.23 20:15

    첫댓글
    으므로 : ‘ㄹ’을 제외한 자음으로 끝나는 용언의 어간이나 선어말 어미 ‘-었-’, ‘-겠-’의 뒤에 붙어, 앞 절이 뒤 절에 대한 원인이나 근거가 됨을 나타내는 말. 예) 최선을 다하겠으므로. 이겠으므로

    음으로 : 남이 모르는 가운데 여러가지 면에서 .

    음으로는 자음이고 ., 으므로는 연결어미와 관련이 있네요. 선어말 어미..

  • 12.04.24 12:39

    '협력하므로'와 '협력함으로'의 차이를
    물어본거 같아요. 이왕 답하신김에 다시한번 생각해 보세요. 다른분들도 참여하셔도 좋구요.~

  • 작성자 12.04.24 14:19

    이렇게 봐서는 잘 이해가 어려운것 같아요.. 이해 하려면 어떤 방법이 더 있을 까요..조금더 보충자료를 주셨으면 합니다.
    죄송합니다.. *^^*

  • 12.04.24 14:52

    질문을 좀더 구체적으로 한번 더 정리해 주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보셨던 예문이든 상황이든 포함해서요.

  • 12.04.24 15:07

    '으므로'는 원인의 연결어미이므로 선행절은 원인 후행절은 결과의 내용이 오고요, '음으로'는 명사형어미에 조사 '으로'가 결합된 것이므로 그 조사의 의미를 잡으시면 됩니다. 그런데 '으로'가 도구격이라 '어떤 행위를 한 것을 수단으로 하여'란 의미로 이해하면, '으므로'와 구별이 애매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일반적인 설명으로는 이해가 안 가실 수도 있으니, 보셨던 구체적인 예를 여쭤본 것입니다.

  • 작성자 12.04.24 15:08

    네~~맞춤법에 있어서 "그는 부지런하다. 그러므로 잘 산다. 와 열심히 공부한다. 그럼으로 은혜에 보답한다.
    이 원리에 있어서 "-므로"와 " "-ㅁ으로"에도 적용이 된다고 하는데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 12.04.24 15:23

    부지런하기 때문에 잘 산다. 원인과 결과이므로 이런 의미로 자연스럽구요.
    근데 '음으로'는
    열심히 공부하기 때문에 은혜에 보답한다.가 아닙니다.
    열심히 공부하는 것으로 은혜에 보답하는 거죠.
    은혜에 보답하는 수단으로서 '열심히 공부하는 것'이 선택된 것입니다.
    반대로 '부지런한 것으로 잘 산다?' 이러면 역시 말이 안 되구요.
    '으므로'는 '-기 때문에'로 '음으로'는 '-하는 것으로'로 바꿔보시면 좀 이해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 작성자 12.04.24 15:11

    그러면 절이다/저리다. 비로소/비로서.. 세우다/새우다. 금세/금새. 요새/요세 도 맞춤법에 있어서 도대체 어떻게 처리하고 읽어야 할 것인지 참으로 어렵습니다.. 죄송합니다.. 이내용에 대해서도 조금만 언급하여 주시면 감사. 감사..하겠습니다

  • 12.04.24 15:18

    '금세'는 '금시에'의 준말, '요새'는 '요사이'의 준말이므로, '금새'나 '요세'는 틀린 말이구요. '서다'에서 나온 말이 '세우다', '새다'에서 나온 말이 '새우다'지요. '절이다/저리다'의 차이는 사전 보시면 될 것 같구요. '비로서'와 '비로소'는 무슨 질문인지 잘 모르겠네요. 질문은 항상 구체적이고 자세할수록 원하는 답을 빨리 얻을 수 있습니다.

  • 작성자 12.04.24 15:31

    잘 알겠습니다.. 조금은 이해가 되는것 같은데요.. 강의를 듣다가 아니면 바로 생각이 나서 질문을 드렸습니다...
    이렇게도 조금알고 나니 속이 시원후련합니다.. 너무나 감사합니다.. *^^*
    그러면 발음이 비슷하거나 같은 단어의 구별은 어떻게 하는것이 제일 좋은방법이 있을까요..
    그렇지 않으면 어떻게 쉽게 구별을 해야 할까요..

  • 12.04.24 15:50

    표준어가 하나인 건 그 표준어를 제대로 알고 있어야 하고요, 발음이 같거나 비슷한 것은 문맥이나 문법적인 사항으로 고려해서 구별해야 합니다. 아무래도 평소에 독서량이랄지, 말과 글에 대한 관심이랄지, 어휘력 등과도 상관이 있겠지요. 항상 사전을 옆에 두고 찾아보는 습관도 중요합니다. 사례별로 다 다르니 그때그때 또 질문해 주세요.~

  • 작성자 12.04.24 16:10

    네~~!! 감사합니다.. 많은자료 얻어 갑니다.. 늘 감사 드립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