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보도일시 |
배포시 | ||
배포일시 |
2011. 8. 3(오후) 14:00 |
담당부서 |
기획재정부 연구개발예산과 기상청 기후정책과 |
담당과장 |
이형철 (2150-7370) 윤원태 (2181-0392) |
담 당 자 |
장성국 사무관(2150-7374) 김상백 연구관(2181-0394) |
□ 8월 3일 기획재정부는 기상청이 요청한『울릉도․독도 기후변화감시소신설』사업에 대해 ‘11년도에 16억9천만원의 예산배정을 승인 ㅇ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원인물질*을 감시할 새로운 감시소가 2012년까지 울릉도와 독도 일원에 신축될 예정임 * 온실가스, 에어로졸 등 약 20종 ** 독도의 경우 2011년內 ‘기후변화감시 무인관측시스템’ 구축 예정 □ 그 동안 우리나라에서 기후변화물질 관측 공백지역이었던 동해쪽에 감시소를 설립하여 기후변화감시 체계를 완성 ㅇ 현재 운영중인 서쪽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센터('97)와 남쪽 제주도 고산 기후변화감시소('08)와 더불어 더욱 정확하고 상세한 관측 가능 전망 * 세계기상기구(WMO)의 권고에 따라, 기후변화 원인물질의 분포와 장거리이동을 감시하기 위하여 세계 각국은 고산지대, 외딴 섬에 청정지역에 감시소를 운영 중 - 일본(미나미도리시마, 태평양 외딴 섭), 중국(왈리구안, 해발 3,810m), 미국(마우나로아, 해발 3,397m) □ 국가기후변화대응 전략 중 가장 기초가 되는 기후변화감시 업무를 통해 기후변화의 과학적 불확실성을 최소화시키고 기후변화 대응 정책의 실효성을 제고 ㅇ 최근, 기후변화협약,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등을 통하여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국제 공동 협력 및 규제가 강조되고 있음 * 지난 100년간(1921〜2008) 우리나라 6대 도시 평균기온은 1.7℃상승으로 같은 기간 세계평균 기온상승 0.74℃를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남 ㅇ 우리나라에 유출입되는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에 대한 체계적 감시와 정량적 분석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이번에『울릉도․독도 기후변화감시소』를 신설하게된 것은 큰 의미 * 우리나라 이산화탄소의 2009년 연평균 농도는 392.5ppm으로 전지구 이산화탄소 평균농도 386.8ppm 보다 높음(+5.7ppm) □ 향후 울릉도․독도에서 관측된 자료는 세계기상기구(WMO)가 운영하는 세계자료센터와 협력하여 공동활용하는 등 전세계 및 아시아 기후변화감시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임 * 세계기상기구의 지구대기감시(GAW : Global Atmospheric Watch) 프로그램은 기후변화 원인물질에 대한 관측·분석 및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 활동으로 세계적으로 400여개(일본 9소, 중국 11소 등)의 기후변화감시소가 운영되고 있음 ※ (붙임) 기상청의 울릉도·독도 기후변화감시소 설립 개요 |
기획재정부 대변인
기상청 대변인
붙임 |
기상청의 울릉도·독도 기후변화감시소 설립 개요 |
□ 목적
ㅇ 현재 운영 중인 안면도와 제주도 기후변화감시소는 우리나라의 서쪽과 남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지역에 분포하는 기후변화 원인물질의 전반적인 분포를 감시하는데 한계가 있었음
ㅇ 이번에 우리나라 동쪽에 울릉도·독도 기후변화감시소를 신설함으로써 기후변화 원인물질에 대한 종합적 관측이 가능해짐
□ 사업 내용과 추진일정
구분 |
2011 |
2012 |
울릉도 기후변화감시소 |
○ 건축 설계 ○ 중요장비 도입 (울릉도기상대 임시 설치) |
○ 토목공사 및 건축완료 ○ 장비 도입 완료 |
독도 무인관측소 |
○ 건축 완료 ○ 장비도입 완료 |
○ 본격 운영 |
□ 건축 계획
구분 |
위치 |
건축규모 | |
울릉도 |
연구동 |
울릉도기상대 부지 내 |
지상 2층, 795m2(240평) |
연구지원동 |
지상 2층, 330m2(100평) | ||
독도 |
무인관측소 |
독도(동도) |
등대 창고 리모델링 |
|
|
독도 온실가스 무인관측시스템 설치 장소 (국토해양부 등대 창고) |
울릉도 기후변화감시소 예정부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