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군자(四君子)
잔설이 채 가시지 않은 이른 봄 추위를 무릅쓰고 가장 먼저 꽃을 피우는 매화,
깊은 산중에서도 청초한 자태와 은은한 향기로 주위를 맑게 하는 난초,
늦가을 모든 꽃들이 시들어갈 때 꿋꿋이 모진 서리를 이겨내는 국화,
칼날 같은 눈바람이 몰아치는 겨울에도 그 푸르름을 잃지 않는 대나무.
이 네 가지 식물은 한결같이 그 생태가 군자의 그것을 닮아, 우리는 이들을 일컬어 매난국죽(梅蘭菊竹) 사군자라 부른다.
“이 사람 없이 어찌 하루라도 살 수 있겠는가(何可一日無此君耶).”
서성(書聖) 왕희지(王羲之, 307∼365)의 아들인 왕휘지(王徽之, 344∼388)가
하루라도 떨어져 살 수 없었던 것은 단금(斷金)의 벗도 아니요, 사랑하는 연인도 아닌 대나무였다.
그에게 대나무는 벗과 연인 모두를 아우르는 자신의 분신이자 자신을 경계하는 규범이었을 것이다.
초(楚)나라의 우국시인(憂國詩人) 굴원(屈原, B.C. 343∼278)에게는 난초가 그러하였고,
동진(東晋) 은일시인(隱逸詩人) 도연명(陶淵明, 365∼427)에게는 국화가 그러하였다.
이렇듯 고전적(古典的) 문인들에 의해 그 상징성이 배가된 사군자는 후세 문인들의 공감을 얻으며
문예(文藝)의 소재로 각광받게 된다.
문학 방면에서의 사군자에 대한 찬미는 곧 이를 시각적으로 형상화하는 작업으로 이어져
사군자를 소재로 한 그림이 출현하게 된다.
그중 가장 이른 것은 대나무로 그 기원은 당대(唐代)부터라고 하나,
본격적으로 그려진 것은 북송(北宋)대 문동(文同, 1019∼1079)과 소동파(蘇東坡, 1036∼1101) 이후였다.
매화 역시 비슷한 시기에 선승(禪僧) 중인(仲仁)이 그리기 시작했다.
그러나 현전 작품이 없어 그 자취를 확인할 길은 없다.
다만 그의 뒤를 이은 양무구(揚无咎, 1097∼1169)가 본격적으로 매화를 그리기 시작하여
묵매(墨梅)의 기틀을 확립해간다.
난초와 국화는 대나무와 매화보다는 한참 후에야 문인화의 소재로 등장하기 시작한다.
남송(南宋)의 조맹견(趙孟堅, 1199∼1267경)이 묵란을 잘 그렸다는 기록은 있으나,
난초가 군자의 상징으로 각광받게 된 것은 원초(元初) 정사초(鄭思肖, 1239∼1310)부터였다.
그는 이민족에게 국토를 잃은 망국대부(亡國大夫)의 심회를 땅에 뿌리를 박지 않고도 살아가는
노근란(露根蘭)을 통해 표출하고 있다. 국화는 사군자 중 가장 뒤늦게 발달하였다.
송대나 원대부터 그 전조를 찾아볼 수는 있으나, 단일 소재로 본격적으로 그려지기 시작한 것은 청대(淸代) 이후이다.
이렇듯 사군자가 문인들에게 창작되고 완상되기 시작한 것은 그가 지니는 군자적 상징성이 가장 큰 이유가 되겠지만,
그 기법적 특징과도 적지 않은 연관이 있다. 문인들이 일상에서 글씨를 쓰던 붓과 먹을 이용하여 약간의 형상성을 가미하면
곧바로 그림이 될 만큼 형사(形似)와 운필(運筆)에 유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북송의 문인사대부들에 의해서 대나무와 매화를 중심으로 사군자가 그려지던 즈음,
고려에서도 사군자가 그려지기 시작하였다. 북송이나 고려 모두 과거제도를 통해 문인사대부층의 저변이 확대되었고,
문치주의(文治主義)를 지향하는 시대 분위기 또한 양자가 동궤(同軌)를 이루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김부식(金富軾, 1075∼1151)에 의해서 묵죽(墨竹)이, 정지상(鄭知常, ?∼1135)에 의해서
묵매(墨梅)가 그려진 후 우리나라에서도 사군자는 크게 유행하게 된다.
대표적인 작가들로서는 고려의 정홍진(鄭鴻進), 정서(鄭敍), 안축(安軸, 1282∼1348) 등이 있었고,
조선 전기에는 강희안(姜希顔, 1417∼1464), 신잠(申潛, 1491∼1564), 유진동(柳辰仝, 1497~?) 등
문인사대부들은 물론, 세종(世宗)과 성종(成宗), 인종(仁宗) 등 군왕을 비롯하여 화원이었던 안견(安堅)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그려지고 있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고려나 조선 전기 사군자는 현전하는 작품이 거의 남아 있지 않아,
지금으로서는 그 기량이나 양식적 특징을 고찰할 길이 없다.
다만 조선 전기 화원들이 그린 몇몇 청화백자(靑華白磁)에 시문(施紋)된 대나무 그림에서
고려 말부터 그려지기 시작하였을 원대 이간(李, 1245~1343)의 묵죽 화풍의 유향(遺響)을 가늠해볼 수 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