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막 조명 (Cyc Light)
하늘막을 비춰주는 조명으로 예전에는 하늘막의 아래, 위에서 보더 라이트로 비췄으나, 요즈음은 스카이 사이크(Sky Cyc) 라고 하는 조명기를 사용한다
탑조명 (Top Light)
피사체의 머리 바로 위에서 비추는 빛으로 피사체를 짧게 보이게 만들며, 피사체의 모든 평행선들을 부각시킨다.
일반 조명 일정한 시스템에 의해 모든 연기구역을 골고루 비춰주는 조명을 말한다.
베이스 조명 (Base Light)
TV와 영화에서 인물과 배경을 포함하여 장면 전체에 균등한 조명을 주기 위한 넓게 퍼뜨리는 조명이다.
배경조명 (Ambient Light)
특정 장소에 집중된 조명을 제외한 나머지 조명이다. 예슬 들면, 슬라이드를 영사기로 비출 때, 방안의 조명이 배경 조명이 된다.
무대조명 (Stage Lighting)
무대미술은 다른 시각적 예술과는 달리 무대의 구성을 완성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조명에 의존해야 한다. 무대조명에 의해서 완성된 무대장치는 동적인 감각을 이룰 수가 있다.
구역 조명(Area Lighting)
각각의 연기 구역을 별도로 조정하는 조명 방식이다
플라노 컨벡스 스폿 조명기 (Plano Convex Spot)
구형 반사경과 볼록 렌즈를 사용하는 조명기로서, 광원의 중앙은 매우 밝고 테두리는 매우 뚜렷하거나 부드럽게 할 수 있다.
프리즈넬 스폿 조명기 (Fresnel Spot)
프리즈넬 렌즈와 구형 반사경을 사용하는 스폿 조명기로 원의 중앙으로는 매우 밝고, 테두리는 매우 부드러운 빛을 낼 수 있는 조명기이다.
팔로우 스폿 조명기(Follow Spot )
통상핀(Pin spot)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작은 각의매우 강한 빛으로 25m이상의 장거리에서 조명할 수 있는 조명기이다. 사용되는 전구로는 HID, CID, HMI, XENON등의 있으며 매우 높은 색온도를 낸다.
파일럿 라이트 (Pilot Light)
무대감독이나 다른 스텝들이 공연 중에 큐시트(Cue Sheet)를 보기 위한 조명기이다.
타원반사경 플러드 조명기(ERF) 스쿱(Scoop)이라고도 불리는데, 렌즈가 없는 조명기로 요즈음은 작업 등으로 주로 사용되나 전에는 하늘막과 같은 배경막을 비추는데 사용되었다
타원반사경 스폿 조명기(ERS) 리코라는 별명을 가진 이 조명기는 적은 발산으로 비교적 테두리가 뚜렷한 빛을 낼 수 있다. 내장된 셔터로 빛의 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
줌 조명기 (Zoom Ellipse)
초점자리를 조정하여 일정한 각도의 변화를 얻어낼 수 있는 조명기이다.
아크등 (Ard light) 빛의 근원으로 탄소아크를 사용하는 조명기이다.
씬 머신 (Scene Machine)
렌즈 프로젝터의 일종으로 일본의 루덴샤 회사에서 제조하여 미국의 Great American Market에서 판매하는 조명기이다. 600W, 1000W, 2000W 그리고 2500W 램프를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대물렌즈의 종류로는 OL(23cm, 센각 50도)에서 OL16(59cm, 센각 12도)까지 있다. 원격조정도 가능하며 크기가 10cm×13cm (4인치×5인치)인 슬라이드를 다섯 깨까지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에 필름 머신에는 필름 루프를 사용하고, 디스크 머신에는 슬라이드 이외에 디스크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다
스트립 라이트(Strip Light)
이 조명기는 R와 PAR 150W, 300W 램프를 주로 사용하는데, 300W 램프는 넓은 지역을 보다 밝게 비출 수 있으나 젤을 쉽게 태우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하늘막 등의 배경막을 비추는데 사용한다.
발코니 스폿 조명기(Balcony Spotlight)
일반적으로 객석 발코니 난간의 전면에 설치된 스폿 조명기이다.
리코(Leko) 타원형의 반사경 스폿 조명기의 발명이다
대파(大PAR) 탬프 자체에 표출선형 반사경이 있어 별도의 반사경을 사용하지 않는 조명기로서, 타원형의 빛을 얻을 수 있다.
스탠드(Stand) 스탠드는 측광 같은 광선을 얻어낼 때와 같이 기존의 조명 파잎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또는 부대 시설이 없는 공간에서 유동적으로 조명기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탠드는 주로 2종류를 많이 사용하는데 바퀴달린 스탠드(caster stand)와 고정형 받침대가 있는 붐 스텐드(Boom stand)가 있다.
사이드 암(Side Arm) 붐(Boom)과 같은 위치에 조명기를 달 때, 좀 더 넓은 부대 공간을 제공한다
Sufty WIRE 조명기를 C-크램프로 고정시켜 조명통에 매달은 다음 안전고리(Safty Chain)를 조명기와 조명통을 안전하게 조명기가 떨어질 위험성을 막아준다. 주로 여러 겹으로 되 가는 철사를 꼬아서 양끝 부분에 링을 붙였다. 또한 좀 더 긴고한 체인도 있다.
C-크램프(C-Clamp) 조명기를 조명봉(light barton)에 달고 고정시키는 액세서리.
6 컬러 체인지(6 Color Wheel) 전동기를 이용해 컬러를 바꾸어 주던가 아른거리는 효과를 내는 장치로서 주로 프로잭트는 장비와 Follow Pin Spotlihlight의 조명기 앞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스뉴프(Snoot or Top-Hat)
주로 타원형 반사경을 갖추고 있는 스포트 조명기 앞에 붙여 관객들로부터 빛의 근원을 가르는 등 빛을 통제하는데 사용한다.
빛 가리개(Rarndoor)
프레즈넬 스포트 라이트 또는 대파 라이트와 같은 조명기의 앞부분에 장착하여 빛의 방향을 통제하는 데 사용되는 액세서리로 4면 반도어(4 leaf Barndoor)와 8면 반도어(8 leaf Barndoor), 두 종류가 있다.
조리개(IRIS)
Profilc Spotlight등과 같이 확산 조도가 일정한 조명기의 공간부분에 삽입, 장착하여 빛을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액세서리로 여러 겹이 철판이 원형으로 겹쳐지게 하여 손잡이 부분을 좌우로 움직이면 겹쳐지면서 개폐된다.
고보틀(Gobo Holder)
Profile Spotlight 등과 같이 확산 조도가 일정한 조명장비에 고보 패턴을 끼울 수 있게 하는 액세서리로 영국에서는 고보 홀더(Gobo Holder)라고 부르고, 미국에서는 패턴 홀더(Pattem Holder)라고 부른다.
고보(Gobo) or 고보 패턴(Gobo Pattern)
무대 배경 및 무대 연출 효과를 위해 스텐인레스 합금으로 된 작은 원형판에 도형 및 그림, 기호 등을 뚫어서 고보틀에 끼워 무대 조병기에 앞부분에 부착하여 빛을 방사하게 되명 다양한 무늬의 무대 조명 연출을 할 수 있다.
컬러 프레임(Colour Frame)
젤라틴 컬러 필터를 이용해 조명기 앞부분에 끼울 수 있게 하는 악세서리로 색 매체를 이용하여 조명 연출을 할 수 있다.
미러볼(Mirrorball)
둥근 공 모양의 구 표면에 많고 작은 반사유리가 접착된 형태로 구형 미러볼이 회전하면서 여러 각도로 빛을 반사하는데 조광의 이동 스포트의 다중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구이다.
스트로브 (Strobe)
사진을 찍을 때 사용하는 후래쉬와 같은 빛을 주기적으로 켰다 껐다 함으로써 연속동작이 불연속동작으로 보이도록 할 수 있는 조명기이다.
레이져(Laser)
레이져 광선은 새로운 타입의 광선으로 LASER란 Light Amplitication by Stimulared Emission of Radiation(유도 방출에 의한 광증폭)의 머리글자를 딴 것이다. 레이저 장비의 조광원리는 방사의 유도방출에 따라 증폭된 빛으로서, 나오는 빛은 유도 방출 물질이 가지고 있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생기는 스펙트럼에 따라 다르며 순수한 단색광이다. 레이저 광선은 공중에서 정지하는 3차원의 입체 이미지를 얻어낼 수 있도록 컴퓨터 콘트롤 시스템에 의해 프로그래밍할 수 있고, 레이저의 파장패텅은 굉장히 역동적이고, 레이저의 연속적인 반사효과로 매우 세밀한 집중광의 빔을 얻어낼 수 있으므로 특별한 연출효과를 높일 수 있다. 만약 레이저로 최대의 효과를 얻으려고 한다면 낮은 전력의 레이저인 경우 다른 조명과 함께 조화를 이루어진 산태에서 어떤 스모그 효과를 필요로 한다. 레이저는 취급하기 어려운 장비이므로 안전관리에 신경을 써야하고 반드시 레이저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기술자에 의해 설치 및 조정해야만 한다. 주로 이벤트 행사에 있어서 레이저 쇼에 주로 사용한다.
블랙 라이트(Black Light) 블랙라이트는 일반 등기구의 우너리에 자외선(UV-A) 메탈 할라이드 램프 또는 수은 베이퍼 램프를 사용하고, 자외선 광선의 효과를 증폭시키기 위해서 특수한 UA반사기를 사용하는 등기구로 고출력을 지원하는 발라스트가 필요한 특수한 조명기구로 따라서 눈으로 볼수 있는 파장대가 320에서 380㎚으로 짧은 파장대를 가진 빔을 갖춘 조명기구이다. 일반적으로 UV효과는 무대 암전이 된 상태에서 뛰어난 기능을 발휘하며 주로 UV효과를 혼합한 무대공연이나 대체로 심야의 이벤트 행사를 하는데 사용되어진다. 이런 블랙라이트는 특별한 무대연출효과가 필요할 때 사용해야 하며 지나치게 사용할 경우 자외선의 J영향으로 신체에 안좋은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블랙라이트의효과는 통상적인 무대 분위기에서 특이한 효과를 내기 위한 음영효과, 주간과 야간의 배경, 우주공간, 초현실적인 분위기를 낼 때 매우 유용하다.
컬러 체인징 스크롤러(Colour Changing Scroller)
리모트 콘드롤에 의해 간단한 형태의 모든 조명기구의 앞면에 기본적으로 부착된 필터 흐레잉 러너에 컬러 체인져 유니트를 장착시킬 수 있는 모터 훨 또는 솔레노이드 조성 신호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리모트 컬리 변환장치를 말한다. 기본적으로 4가지의 색상필터를 선택할 수 있다. 근래 들어서는 스크롤러에 이해 칼라 변환이 이루어진다. 낮은 전압 또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명령되어진 것에 응답하는 센서에 의해 선택되어진 일련의 셀룰로이드 필터가 모터 작동의 젤 스트링에 의해 색상이 변환된다. 젤스트링은 전형적으로 15개의 필터로 구성되어지고, 색상 변환 속도 범위는 순간적으로 1초당 에서부터 4분정도까지 색상변화 속도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칼라 체인지 스포트 라이트(Colour Changing Spot light)
일반 조명기구류들의 색상 교환은 수동적으로 변환시켜주어야 하고 또한 칼라 테인져가 내장된 조명기구류도 단지 몇 종류의 색상만으로 조명연출을 하기 때문에 색상을 이용한 전문적인 조명연출을 하기가 어렵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한 것이 칼라 체인징 tm포트 라이트이다. 칼라 체인지 스포트 라이트는 종류도 여러 가지 있고, 각 조명제조 회사에 따라
무빙 라이트(Moving Light) 무빙 라이트는 오퍼레이터가 팬, 틸트, 셔터 조정 및 리모트 조정 장치를 갖춘 엘립소이달 리플렉터 스포트 라이트 렌즈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는 자동 작동 시스템을 갖춘 이펙트 장비이다. 무빙라이트는 팬, 틸트, 빔의 크기, 색상, 초점 그리고 조명기의 강도 등을 오퍼레이터가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컵퓨터화된 조명시스템으로, 컴퓨터는 동시에 각각의 장치를 조정할 때 사용되어 진다. 리모트 조정 칼라 체인져는 보통 12개의 색상까지 지원할 수 있ㄷ. 그리고 시스템 오퍼레이터는 필요로 하는 색상을 변환할 수 있다. 컴퓨터 조정 콘트폴러는 자동 조정 조정기능 및 색상변환 시스템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무빙 라이트 조정은 콘솔에 따로 무빙 라이트용 조정채널 및 신호체계가 있으므로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현재 대형 극장 및 이벤트 행사에 있어서 중요한 자동 작동 조명 시스템 기구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스캔(Scan) 자동화 조광 시스템을 갖춘 조명 이펙트 장비로 일반 등기구류는 색상과 고보를 일일이 교환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 스캔 라이트는 자체에 고보와 칼라를 내장하고 있어 연출가가 어느 정도까지 원하는 색상과 고보를 원거리에서 콘트롤할 수 있고, 상하좌우로 팬과 틸트 작동이 자동 리모트 콘솔(소형 조광조탁 장치)로 조정할 수 있어 무대 조명연출에 있어서 좀 더 나은 조명 연출 할 수 있다. 헤드부가 양방향 회전 할 수 있어 여러 각도하에서 조명 빔을 방사 할 수 있다. 음악 이벤트 행사나 특별한 무대 연출을 위해서 현재 많이 보급되고 있다.
차세대 파켄스(Neo-Parcans)
파켄스를 응용한 차세대 파라이트로 최근에 프로필 스포트(Profile Spot)에 사용되는 새롭고 능률적인 575W램프가 사용된다. 내부구조는 알류미늄으로 코팅된 반사경이 뒷면에 있고, 앞면에는 회전하는 고리가 장착된 교체가능한 렌즈가 있다. 575W기구는 대체 가능한 빔을 선택할수 있다. 1KW램프를 사용하는 파켄스는 빔강도를 확장시켜준다.
파 라이트(PAP Light or PARCANS)
알루미늄으로 합금된 포물선형 반사경의 반사 원리를 이용한 파라이트는 자동차의 헤드라이트와 유사한 실드 빔램프를 사용한다. 램프하우스는 파켄으로 알려져 있고, 컬러 필터를 장착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 파 라이트의 규격은 다음과 같다. 대형으로 직경이 약 8인치 규격은 1000W램프, 즉 파 64을 장착할 수 있게 고안되었다. 파 64램프는 빔 형태가 다양하게 사용되어 질 수 있다. 파 64제품은 강한 처공형태의 빛을 얻어 낼 수 있다. 다운라이트와 배라이트에 적합하며, 칼라필터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면의 빛도 얻어 낼 수 있다. 파라이트는 널리 록 콘서트, 댄스홀 조명에 사용되어 진다. 비교적 낮은 가격대이고 휴대할 수 있고, 무게가 경량이라는 장점이 있다.
빔 프로젝터(Beam projector)
빔 프로젝터는 1차적인 포물선형 빔의 형태에 2차적인 구형 반사경 조광 반사눵리를 이용한 렌즈없는 등기구이다.빔의 형태는 정확하고 샤프한 빛을 평행한 광선으로 초점을 맞추게 되면 구형 반사경까지 평형하게 방향으로 역행시켜서 다시 반사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무대 조명에 있어서는 보통 변압기가 내장된 24V램프를 사용하는 500W 빔라이트와 1Kw 빔라이트를 사용한다. 빔프로젝터의 빔이 형태는 견고하고, 평행한 광선, 또는 강한 광선을 얻을 수 있다. 주로 무용, 록 콘서트에 있어서 중요한 입체적 조명 연출효과를 위해서 자주 사용되어 간다.
플러드 라이트(Flood Light)
소프트 라이트나 스쿠프 라이트와 함께 베이스 라이트를 얻기 위한 조명기구로, 램프와 반사경이 상자식의 유니트 안에 내장되어 있으며, 조명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요크를 부착할 수 있다. 그러나 빔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고 빔의 모양을 조절하기 위한 셔터장치가 없다. 구역조명에 알맞고 무대바닦과 빛이 밝혀진 대상들사이의 거리에 독리적으로 조광한다. 또란 무대측면에 설치된 플러드 라이트는 타임의 텅스텐 램르를 사용해왔고 구형의 반사경을 사용해왔다. 현재는 직관램프를 사용하여 램프의 효율성이 뛰어나다. 플럿 라이트는 기본적으로 200, 500, 1000W가 쓰이며, 다른 구격의 램프홀더를 위한 알맞은 크기의 마개를 이용할 수 있는 좀더 작은 용량의 플릿 라이트가 개발되게 되었다.
스쿠프 라이트(Spoop Light)
스쿠프 라이트(Spoop Light)로 알려진 조명기구로서 배경막 빛 무대막을 비출 때 사용 된다. 또한 STUDIO 조명에서 베이스 라이트를 얻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순도 높은 알루미늄 판을 양손으로 잡을 정도의 바가지 모양으로 성형한 다음, 내부를 연마하여 반사경으로 만든 것으로, 부드럽고 얇은 빛 , 넓은 구역에 빛을 제공하는 원뿔형의 엘립소이달 반사경의 초점성을 가진 렌즈 없는 등기구이다. 대형 칼라프레임 홀더가 장착할 수 있는 스쿠프 라이트(Spoop Light)는 크기가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확장에서는 봍농 직경이 14, 16, 18인치 스쿠프 라이트들이 많이 사용된다. 또한 전구모양이 G형 타입의 2Kw, 1Kw, 500w램프를 사용하는 스쿠프 라이트를 많이 쓴다. 스쿠프 라이트의 광원은 부드럽고 따뜻한 빛을 충분히 살리도록 설계되어 있고, 균일하고 부드러운 무의 빛을 얻어낼 수 있다. 주로 사진촬영, 영화, 스튜디오에서 베이스 라이트, 필 라이트로서 쓰이고, 무대에서는 배경막과 무대막을 비출 때 사용된다.
사이크로라마 라이트(Cycorlama Light)
이 크로라마 라이브는 배경막 또는 무대막의 넓은 구역에 부드럽고 깨끗한 빛을 얻기 위해서 사용되는 등기구로 스트립라이느보다 조광율이 뛰어난 조명기구이다. 이것은 보통 7피트 똩늩 8피트 거리로부터 상당히 깨끗한 빛을 얻기 위해서 편심원의 반사경(Essentric Reflecror)을 사용한다. 사이크로라마 라이트는 스트립라이트보다 좀 더 부드러운 빛을 방사할 수 있고, 디자인된 색상을 얻기 위해서 칼라 필터를 칼라 프레임 홀더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이크로라마 라이트의 반사경구조는 반사경이 하부쪽으로 기울어진 곡면을 갖는 것은 배경막 상단(Sky Cyc Light)에 설치하고, 반사경이 상부쪽으로 기울어진 곡면을 갖는 반사경이 부착된 등기구는 배경막 하단(Ground Cyc-Light)에 설치한다. 또한 중심에 기울어진 rhrausdf 갖는 반사경이 부착된 등기구는 플러드 라이트(Flood Light)로 쓰이기도 한다.
스트립 라이트(Strip Light)
여러 개의 램프가 길다란 칸막이식 관에 내장되어 있는 스트립 라이트는 다양한 규격과 형대를 갖추고 있다. 스트립 라이트는 대부분 3피트, 6피트, 10피트 길이의 규격을 갖춘 조명 기로 주로 무대 조명통 또는 난간에 매달기 쉽게 요크가 부착되어 있다. 각각의 불록안에 내장된 광원은 3상 또는 4상 회로형태로 연결되어 있어 조명 오퍼레이터는 스트립라이트의 광원 앞에 칼라필터를 끼워서 각각의 회로에 연결된 광원의 빛을 혼합시킬 수 있다. 조명 오퍼레이터는 전기적인 조광조절을 통해 스트립 라이트의 각각 회로를 배치시키는 것으로 디자인된 최종적인 색상을 혼합하기 위한 색들의 명암도를 조작할 수 있다. 이용할 수 있는 색혼합을 위해 3상의 분리형 회로로 연결된 스트립라이트는 대부분 빛의 삼원색을 조광에서 기본적ㅇ린 색상을 갖춘 색을 만들어 낸다. 4상회로의 스트립라이트를 사용한다면, 4상회로는 대부분 자주색 계통의 색상에 혼합 시킬 수 있다. 그러나 빨간색, 푸른색, 초록색을 갖춘 색상을 만들어 내지는 못한다.
핀 스포트 라이트(pin-spot Light)
국내에서는 주로 핀 스포트 조명기로 불리워지며, 프로 파일 스포트 조명기(엘립소이달 스포트 조명기)의 발전된 형태로 특성을 같춘 스포트 조명기이다. 고출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와 배우의 움직임을 따라가는 조명, 선택적 구역조명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어 진다. 팔로우 스포트 조명기의 제품은 광원 및 조명 출력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고출력이므로 색온도와 일정한 조도를 갖는 백열관, 크세논 램프, HMI램프, 또는 캡슐을 입히지 않은 아크 램프를 사용한다. 그리고 소형 팔로우 스포트 조명기의 조도 거리는 약 35피트까지 가능하고, 대형 팔로우 스포트 조명기는 약 300에서 400피트까지 가능하다. 광선의 성격은 빔의 테두리가 정확하고, 원형의 빛을 만든다. 주로 무용 및 연극, 음악공연에 중요한 스포트 조명기로 쓰인다.
PC스포트 조명기(Plano-Convex Spotlight)
PC 스포트 조명기는 햄프가 이동 받침대에 부착되어 있고, 햄프 뒷부분에 구형 반사기가 연결되어 있어 전구와 함께 앞뒤로 이동할 수 있다. 램프에서 발산된 빛도 반사경을 통해 앞부분에 장치된 볼록렌즈에 집중되었다가 다시 꺽여 빛이 확산되게 되어 있다. 램츠와 렌즈의 거리가 멀어지면 빛의 범위는 좁으나 강도는 높아진ㄷ. 이 갓의 윗부분은 2중으로 되어 있어 안쪽의 것은 렌즈에 흠수되지 못한 빛이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고, 내열성 특수 검은색 도료로 코팅되어 있다. 젤라틴을 삽입시켜 렌즈 앞에 장치할 수 있는 색틀을 끼우는 칼라프레임(Color Frame)이 있고, 좌우 양 옆에 나사로 고정된 손잡이가 있다. 또한 열기를 분산시키기 위해서 갓에 공기구멍이 뚫려져 있고, 앞면 램프관 문이 있어 램프를 갈거나 고장 수리를 위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프레즈넬 스포트 조명기(Fresnel Spotlight)
프레즈넬 스포트 조명기는 조명등기구 램프관에 있는 필라멘트의 모양이 조명 속에 상으로 맺히는 것을 방지하고, 색수차와 파열을 방지한다. 프레즈넬 스포트라이트로는 500W, 650W, 1000W, 2KW, 2.5KW가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쓰이고, 렌즈의 직경은 6“, 8”, 10“가 많이 쓰인다. 또한 보통 영국식 표준 렌즈 규경은 반경이 6”렌즈는 1000W 조명기, 8“렌즈는 2KW 조명기, 10”렌즈는 2KW 이상의 조명기에 쓰인다. 램프 / 미러 어셈블러와 프레즈넬 렌즈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스포트(8“)에서 플러드(65” : 빔의 확산각도)까지 만들어 내게 된다.
타원형 반사경 스포트 조명기(ERS : Ellipsoidal Reflector Spotlight)
엘립소이달 스포트 조명기는 무대조명에 가장 많이 쓰이는 조명기로서 광원에서 방사되는 빛이 타원형의 반구 반사경에 반사되었다가 두 개의 초점을 지나면서 집중되었던 빛이 굴절 현상을 일으켜 확산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이 조명기는 빛의 퍼짐이 크고 강하므로 무대 조명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원 초점이 반사경에 매우 근접해 있으므로 T-형(덩스텐 할로겐) 램프를 쓰는데 수평 각도가 45˚로 머리가 기울어져 있는 형태와 평행하게 수평각도로 장착된 램프관으로 된 형태가 요즘은 많이 쓰인다. 필라멘트의 위치는 반사경과 정확하게 평행선을 이루도록 해야 한다 상품에 따라서는 두꺼운 렌즈를 끼는 대신 얇은 렌즈 두 개를 사용하는 프로파일 스포트라이트도 있다. 제2초점 바로 앞쪽에 문이 있어 이것을 통해 빛의 형태를 조절하여 여러 모양의 툴(GOBO)을 만들어 이 부분(Gobo Hoder)에 장착함으로써 빛의 형태를 조작하기도 한다. 흔히 셔터(Shutter)가 좌우상하에 4개가 있어 빛의 형태를 바꾸지 않고도 크기, 모양을 조절할 수 도있다. 램프, 렌즈, 반사경이 고정돼 있어서 PC스포트 조명기나 프레즈넬 스포트 조명기 샅이 훌럿이라든가 스포트에서 나오는 빛의 퍼짐을 조절할 수 없으나 앞부분의 렌즈를 두어 2㎝정도 앞뒤로 움직여 약간의 빛의 퍼짐을 조절할 수 있다. 렌즈의 규격은 보통 41/2㎝, 6㎝, 8㎝ 크기가 보편적으로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