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동묘공원 이전 공론화 필요
「동관왕묘는 서울의 동쪽에 있는 관왕묘다. 관왕묘는 중국의 장수 관우(關羽. 162년-219년)의 조각상을 두고 제사를 지내는 사당이다. 임진왜란 때 우리나라를 도와준 명나라 요청으로 1601년(선조 34년)에 지었다. 명나라에서는 공자의 제사를 지내는 사당인 문묘(文廟)처럼 관우의 제사를 지내는 사당을 무묘(武廟)라 하여 크게 숭배하였는데, 우리나라에서도 조선시대 후기에 무묘를 많이 지었다.
동관왕묘의 중심건물은 두 개의 건물이 앞뒤로 붙어있는데, 이것은 중국의 절이나 사당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조다. 지붕의 높은 丁 자 모양과 一 자 모양이 합쳐진 工 자 모형이다. 실내 공간도 앞뒤로 나뉘어 있는데, 앞은 제례를 위한 전실이고 뒤는 관우와 부하 장군들의 조각상을 둔 본실이다. 전실과 본실을 감싼 벽돌 벽의 바깥에는 다시 기둥을 두어 처마를 받치고 있다.
관왕묘는 서울의 동서남북에 모두 지어졌는데 그 중 동관왕묘가 제일 규모가 크고 화려하다. 넓은 벽돌 벽과 독특한 지붕 모양, 실내의 구성과 장식 등에서 중국풍 건축의 모습을 보여주는 17세기 제사 시설로 중요한 역사적 가치를 지닌 곳이다.」
종로구 숭인동 238번지 1에 있는 동관왕묘 정문에는 이러한 안내문이 붙어 있다. 보물 제142호로 지정되어 있고, 현재는 동묘공원으로 불리고 있다. 중국인 관광객들이 한국에 오면 한번은 들리는 곳이라고도 하는데 그럴만한 것이 동묘는 중국인들이 존경하는 관우의 사당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건축 양식도 중국 명나라 풍(風)이어서 중국인들에게 친근한 양태다.
기록에 의하면, 임진왜란 때 원군으로 참전한 명나라 군대는 동묘 건립을 강요하면서 명의 제도를 따르도록 했다고 전해진다. 목수와 미장이는 조선 장인이 담당하지만 건물 형식과 전면 전체의 홍살 창호, 그리고 측면과 배면의 두꺼운 벽돌벽은 모두 중국식 구성이다.
물론 지붕의 곡선이나 장식과 단청은 조선식 기법이다. 그래서 동묘는 한국과 중국의 건축 기법이 혼합된 한.중 합작의 유일한 건물로 남고 있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중국색이 강한 편이다.
동묘 건립 당시에도 여론은 좋지 않았다고 한다. 그 당시 여전히 임진왜란 전쟁 중이어서 나라 재정은 힘든 상태였음에도 명군의 강요로 건립됐기에 민심이 흉흉했다는 것이다. 당시 사헌부에서조차 “관묘 건립은 명의 강요로 부득이한 일이지만 전후 경제에 극심한 폐해를 가져 왔다”고 비판했다고 알려지고 있다.
그런 동묘가 지금도 많은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최근 동묘공원 인근 주민들이 동묘 이전을 크게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종로구시민고충처리위원회에 고충 민원으로 접수되기도 했는데, 인근 주민들이 사유재산권 보호와 행복한 주거환경 차원에서 동묘가 다른 곳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동묘 주변에는 벼룩시장과 같은 중고상들이 들어섰고, 도로에는 노점상들이 즐비하게 좌판을 깔고 있어 명소 아닌 명소(?)가 되고 있다. 주말과 휴일에는 일일 수십만 명이 방문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을 정도로 인파가 몰리고 있는데, 그로인해 동묘 주변 주거환경은 어느 때부터인가 완전 피폐해진 상태다. 과거 1970년대 깨끗한 한옥들이 우아하게 자태를 드리우며 중산층들이 모여 살며 부러움을 받던 동네였지만 지금은 그 모습을 찾아볼 수가 없을뿐더러 오히려 그러한 주택들을 모두 헐어서 상점으로 변모시키고 있다.
아울러 도로 위에 좌판을 깔은 수백 개의 노점들은 도로 점령으로 차량 진입을 불가하게 만들면서 주변 주거환경을 크게 훼손시키고 있는 셈인데, 어둠이 내린 밤이면 거의 적막강산이다. 사람이 살지 않는 공간으로 변모되어 어둠침침한 상태에서 지나다니기도 부담스러운 동네가 됐다.
특히 동묘가 문화재인 까닭에 주변 재개발 사업도 요원한 상태다. 문화재 주변 건축규제가 적용되기 때문에 도심 한복판 재개발사업도 진행이 어려운 상태다. 이미 10여 년 전부터 재개발사업을 추진 중인 사업자도 있지만 동묘로 인한 고도 제한 문제 등은 큰 걸림돌로 지적되기도 한다. 그래서 주민들은 동묘 이전 문제를 들고 나온 것이다. 태생부터 논란이 있었듯이 건립 배경과 존립 이유 그리고 존재 가치 차원에서 여러 논란이 되고 있는 형세다.
사실 그 지역은 6.25 전쟁 당시 미군 비행장이 있을 정도로 평평한 대지다. 동묘역 사거리에서부터 신설동 로터리까지 네모반듯하게 퍼져있는 요충지다. 그런 지리적 여건상 도심 재개발 지역으로는 아주 적격인 셈이다.
하지만 동묘 문화재가 한가운데 버티고 있기 때문에 누가 쉽게 재개발 사업은커녕 재건축도 엄두를 못 내고 있는 상황이다. 그렇다고 이대로 방치하면 동묘 주변은 더욱 황량해질 전망이다. 낮에는 노점상을 비롯해서 상점들이 영업을 하겠지만 밤이면 어둠 컴컴한 슬럼가로 변모한 채 낡고 허스름한 구옥들이 도심 환경을 크게 저해하는 상황은 갈수록 더욱 심각해질 것이다.
더욱이 주민 사유재산권 침해와 주거환경 행복추구권 차원에서도 고민과 연구를 해야 할 상황인데, 바로 그 일환이 동묘 이전 논란인 셈이다. 지금부터라도 종로구와 서울시 등 관련 기관에서는 공론화 등 진지한 논의를 해 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