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는 언론에 보도된 7월 19일 기사 내용이다.
오는 2023년 열리는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유치 경쟁이 한국을 포함해 4파전으로 치러진다.
대한축구협회는 "AFC가 7월 18일 공문을 통해 2023 AFC 아시안컵 유치의향서 접수 결과를 발표했다"고 같은 날 전했다.
이어 "유치 의향을 표명한 국가는 한국을 포함해 인도네시아, 카타르, 호주 4개국이다"라고 밝혔다. 한국, 인도네시아, 카타르, 호주의 4파전이다.
이제 AFC는 오는 8월 말까지 유치 계획서인 Bid Book을 제출한 회원국을 대상으로 9월 중 실사를 한 뒤 10월 17일 AFC 집행위원회에서
개최국을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앞서 대한축구협회는 지난달 30일 AFC에 유치의향서를 제출한 바 있다. 한국이 2023년 아시안컵을 개최할 경우, 이는 1960년 이후 63년 만이다.
이번 아시안컵은 당초 중국에서 열릴 계획이었으나 중국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이유로 개최권을 반납했다.
AFC에 따르면 아시안컵 참가국이 16개 나라에서 24개 나라로 늘어나면서 유치 희망국은 다음과 같은 경기장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고 한다.
6개 이상 도시의 8개 이상 경기장에서 대회가 거행되며 모든 경기장은 25,000명 이상을 수용해야 하며
개막 경기와 준결승, 결승이 열리는 곳은 40,000명 이상을 수용해야 한다.
그런데 이는 절대적인 자격 기준이 아니다. 2019 UAE 대회에서는 8개 경기장 중 4개가 15,000석 미만이었다.
아무튼 한국, 카타르, 호주, 인도네시아 4개 유치 후보국 모두 AFC가 제시한 경기장 조건 규정을 충분히 충족한다.
축구장 시설만 놓고 살펴 본다면 카타르, 호주는 물론 인도네시아도 한국에게 밀리지 않는 상황이다.
카타르는 2022 월드컵 유치국이기에 최신 시설이 구축되어 있어 축구장 시설은 후보국 중 가장 앞선다.
2023 FIFA 여자 월드컵을 뉴질랜드와 함께 유치해 놓은 호주 역시 최신 경기장을 구비하고 있으며
기존의 럭비 구장과 크리켓 경기장을 동원할 경우 한국보다 우세한 상황이다.
인도네시아는 최근 수도 자카르타에 82,000석 규모의 개폐식 돔구장 형태의 축구전용경기장을 신축하였으며
21세기에 들어와 경기장을 많이 신축하여 3만석 이상의 경기장을 다량 보유하고 있다.
게다가 2023 FIFA U-20 월드컵을 개최하므로 경기장 시설이 좋은 편이다.
그런 까닭에 축구경기장이라는 시설만 놓고 보면 4개 유치후보국 중 한국이 절대로 유리한 위치를 점하지는 않는다.
어찌보면 4개 후보국 중 한국의 경기장이 가장 낙후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축구장 외에 여타 사회간접자본시설 예컨대 숙박, 교통, 의료 등을 함께 고려한다면 한국이 상당히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본다.
한편 대회 개최 시기와 관련하여 2023 아시안컵은 중국에서 6월 16일부터 7월 16일까지 한 달간 치를 예정이었는데
이런 일정을 그대로 승계할 수 있는 나라는 4개 유치후보국 중 한국이 유일하다. 기존의 대회 일정을 조정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카타르는 40도가 넘는 무더위, 인도네시아는 5월에 2023 FIFA U-20 월드컵 개최 (05.20~06.11)
그리고 호주는 7월에 2023 FIFA 여자월드컵 개최 (07.20~08.20) 때문에 6월에 아시안컵 대회를 유치할 수 없는 상황이다.
대회유치를 반납한 중국의 일정을 승계할 수 있는 나라는 한국 뿐이다. 대회 유치 시기를 6~7월에 맞출 경우 한국 외에는 대안이 없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대회유치에 있어서 한국이 가장 앞서는 부분은 명분이다.
카타르는 1988년과 2011년도에 대회를 유치한 경험이 있으며 2019 대회가 인접국 UAE에서 치루어진 까닭에 대륙 순환 개최 원칙상
2023 대회는 동아시아에서 열려야 할 차례이다.
경도(經度)상 동아시아로 볼 수 있는 호주는 얼마 전이라 할 수 있는 2015년도에 대회를 유치한 바 있다.
2023 FIFA 여자월드컵도 유치해 놓은 상황에서 2023 AFC 아시안컵마저 유치하겠다는 것은 모양새가 좋지 못하다.
같은 동아시아 국가인 인도네시아는 비록 단독 유치는 아니었지만 2007년도에 태국, 말레이지아, 베트남과 함께 아시안컵을 유치했고
자카르타에서 결승전을 치른 선례가 있다.
그리고 호주와 마찬가지로 2023년에 FIFA 대회를 주관한다. 5월 20일부터 6월 11일까지 FIFA U-20 월드컵이 인도네시아에서 치러진다.
특정 국가에 국제 대회를 몰아주지 않는 것이 관례인 국제축구계의 관행을 본다면 호주와 인도네시아는 유치 경쟁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다.
인도네시아 (2007) , 카타르 (2011) , 호주 (2015)는 모두 21세기에 들어 대회를 유치해 본 경험이 있는 반면
한국은 1960년 대회 유치 이후 무려 63년 동안 아시안컵을 치러본 적이 없다.
다가올 9월 전에 유치를 철회하는 나라가 분명히 있을 것이라고 보는데 카타르가 가장 유력한 나라라고 본다.
2019 대회가 중동에서 열렸기 때문에 2023 대회는 동아시아에서 열려야 하는 게 순리이다.
유치 명분에서 뒤지므로 카타르는 2023 대회의 유치 계획을 철회하고 2027 아시안컵 유치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카타르 다음으로 유치를 철회할만한 나라는 호주이다. 前前 대회를 유치한 나라로서 호주 역시 유치 명분이 미약하다.
카타르와 마찬가지로 원래 예정이었던 여름이 아닌 겨울에 대회를 치를 수 밖에 없는 상황이 호주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
단독 유치 경험이 없는 인도네시아는 유치전 마지막까지 완주할만하다고 본다.
그러나 유치신청국 중 인도네시아는 다른 세 국가에 비해 국제 대회 개최 경험이 적고 숙박·교통 관련 인프라가 취약하다는 점에서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다수의 견해이다.
가장 큰 단점은 2023년 5월에 FIFA U-20 월드컵을 개최하므로 원래 개최 예정이었던 6월에 아시안컵을 치를 수 없다.
그렇다면 한국의 2023 AFC 아시안컵 유치후보 도시는?
2002 월드컵 당시 한국은 10개의 경기장에서 대회를 치른 바 있다.
2023 아시안컵 대회 규모 (6개조 / 24국 / 51경기)가 2002 월드컵 반쪽 (4개조 / 16국 / 32경기) 보다는 경기 수가 1.5배 이상
많기 때문에 중국이 계획했던 바와 같이 12개 경기장에서 대회가 거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국과 2023 아시안컵 유치경쟁을 벌이던 한국은 2017년 11월 21일에 고양, 광주, 부산, 서귀포, 수원, 전주, 천안, 화성 8개 도시를
대회 후보 도시로 선정한 바 있다. 서울, 인천, 대전, 대구, 울산 5개 도시는 후보등록 자체를 하지 않았다.
다른 도시도 아닌 월드컵 경기장을 보유한 수도 서울과 주요 4개 광역시가 후보등록을 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前 게시물에서 밝힌 바와 같이 각 경기장에 입주해있는 상업 시설들은 대회 개최 30일 전부터 대회 폐막 후 2일까지
두 달 넘는 기간 동안 영업을 중단해야 한다. 그리고 여기에서 발생하는 영업 손실 보전금도 모두 해당 지방자치제가 지급해야 한다.
이런 까닭에 2017년 당시에 서울, 인천, 대전, 대구, 울산의 5개 도시는 후보 등록 자체를 하지 않아 그곳 월드컵경기장이 후보 장소에서 배제된 것이다.
5년이 지난 지금, 중국이 2023 아시안컵 유치권을 반납한 현재, 한국의 유치 후보 도시 상황은 어떠한가?
오는 8월 말까지 유치 계획서를 제출하기로 되어 있으므로 KFA는 그 전에 유치 후보 도시를 선정해야 하는데
5년 전과 마찬가지로 서울, 인천, 대전, 대구, 울산 5개 도시는 이번에도 수익성을 이유로 후보등록 자체를 안 할 우려가 있다.
흥행 면에서 적자가 명약관화하기 때문이다.
흥행 실패는 한국에게만 적용되는 이야기가 아니다. 가장 큰 유치 후보 경쟁상대로 평가된 일본이 2023 아시안컵 유치에 뛰어들지 않은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카타르, 호주, 인도네시아 역시 적자를 염두에 두면서 유치전에 뛰어들었을 것이라고 본다.
흥행이나 수익성을 보면서 대회 개최를 타진한다면 유치 신청을 철회하는 것이 낫다.
KFA는 지난 7월 15일까지 전국 10개 시도로부터 유치 신청서를 접수했다고 한다.
다행스럽게도 이번에는 비록 조건부이긴 하지만 서울시와 대전시 그리고 인천시가 후보 등록을 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한 도시에서 복수의 경기장을 신청해 총 11개의 경기장이 후보로 꼽힌다고 한다.
축구협회는 7월 18일에 자체 평가를 진행했고 일주일간 AFC 가이드 라인에 맞춰 종합적으로 시설 상태를 재확인하였다고 한다.
현재 상황에서 10개 도시는 광주, 대구, 대전, 부산, 서울, 수원, 인천, 천안, 화성이며 나머지 하나는 고양 or 포항 이렇게 10개 도시가
후보 등록을 한 것으로 알려졌고 ☞ https://www.jnilbo.com/view/media/view?code=2022082215463484851
복수의 경기장을 신청한 도시는 인천 혹은 수원이 아닐까? 라고 추정된다.
인천의 경우는 문학 월드컵경기장, 인천아시안게임경기장, 숭의아레나 중 2곳이며 수원의 경우는 수원월드컵경기장과 수원종합운동장이 유력하다.
광주, 대구, 대전, 부산, 서울, 수원은 2002 월드컵 경기장을, 인천은 위 3개 중 1~2경기장, 천안은 백석종합운동장 그리고 포항은 스틸야드를 뜻한다고 본다.
참고로 제주특별자치도는 유치 신청 계획이 없는 것으로 밝혀져 서귀포 월드컵경기장은 후보군에서 배제되었으며 전주와 울산도 후보 도시에 등록하지 않았다.
2017년에 유치 후보도시로 등록되었던 8개 도시 중 이번에 유치의향서를 제출하지 않은 곳은 서귀포와 전주이다.
2022년 9월 2일 수정
여러 정황으로 볼 때 2023 AFC 아시안컵 유치 후보 경기장 11개는 아래와 같다.
Candidate cities and venues (Stadiums)
Seoul , Seoul World Cup Stadium (Sangam Stadium) , 66,704 seats , 2001.11.10
Daegu , Daegu Stadium (Daegu World Cup Stadium , Blue Arc) , 66,422 seats , 2001.06.28
Busan , Busan Asiad Main Stadium , 53,769 seats , 2001.09.16
Incheon , Munhak Stadium (Incheon World Cup Stadium) , 49,084 seats , 2002.02.25
Suwon , Suwon World Cup Stadium (Big Bird) , 43,959 seats , 2001.05.13
Goyang , Goyang Daewha Stadium , 41,311 seats , 2003.09.26
Daejeon , Daejeon World Cup Stadium (Purple Arena) , 40,903 seats , 2001.09.13
Gwangju , Gwangju World Cup Stadium , 40,245 seats , 2001.09.30
Hwaseong , Hwaseong Sports Stadium , 35,270 seats , 2011.10.01
Incheon , Incheon Asiad Main Stadium , 29,465 seats , 2014.05.07.
Cheonan , Cheonan Stadium , 25,814 seats , 2001.08.31
한 도시에서 복수의 경기장을 신청한 곳은 인천광역시이며 문학경기장과 아시아드 경기장을 후보로 내세웠다.
인천축구전용구장 (숭의 아레나)이 후보로 나서지 못한 게 다소 아쉬우며
축구전용구장을 구비한 울산, 전주, 서귀포가 입찰에 불참한 것도 유감이다.
참조
● 내년 아시안컵 서울서 열리나? https://v.daum.net/v/20220719053016513
● 아시안컵 유치 뒷얘기, 후보 도시에 전주·강원·제주가 제외된 까닭 http://www.sporbiz.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2372
<QATAR>
카타르는 2022월드컵에 사용될 아래 8개의 경기장이 모두 유치후보 경기장으로 동원될 것이라고 본다.
이중 칼리파 국제경기장을 제외한 7개 경기장이 축구전용구장이다.
Lusail , Lusail Iconic Stadium , 80,000 seats , 2021.11.22
Al Khor , Al Bayt Stadium , 60,000 seats , 2021.11.30. (개폐식 구장)
Doha , Khalifa Int'l Stadium , 45,416 seats , 1976.03.03
Al-Rayyan , Education City Stadium , 45,350 seats , 2020.06.15
Al Wakrah , Al-Janoub Stadium , 40,777 seats , 2019.05.16
Al Rayyan , Ahmed bin Ali Stadium , 40,740 seats , 2003 (Re 2020.12.18)
Al Thumama Stadium , Al-Thumama Stadium , 40,000 seats, 2021.10.22
Doha , Stadium 974 (Ras Abu Aboud Stadium) , 40,000 seats , 2021.11.30
<INDONESIA>
인도네시아의 경우 확정된 유치후보 경기장이 알려지지 않았으나 아래 20개 후보군 중 10~12개 경기장으로 확정되지 않을까? 라고 추측해 본다.
비스듬한 글씨체는 탈락 가능성이 높은 경기장
Jakarta , Jakarta International Stadium , 82,000 seats , 2022.04.13. (개폐식 축구전용구장)
Jakarta , Stadion Utama Gelora Bung Karno , 77,193 seats , 1962.07.21 (2023 FIFA U-20 월드컵) ........ 후보 확정
Surabaya , Stadion Gelora Bung Tomo (Stadion GBT) , 45,134 seats , 2010.08.06 (2023 FIFA U-20 월드컵)
Pekanbaru , Stadion Utama Riau , 43,923 seats , 2012
Malang , Stadion Kanjuruhan , 42,449 seats , 2004.06.09
Papua , Stadion Lukas Enembe (Stadion Papua Bangkit) , 40,263 seats , 2020.10.23
Balikpapan , Stadion Batakan , 40,000 (10,000 seats + 30,000 standings) , 2017 (축구전용구장)
Bandung , Stadion Gelora Bandung Lautan Api , 38,000 seats , 2013.03
Samarinda , Stadion Utama Kaltim (Palaran Stadium) , 35,000 seats , 2008.06.18
Tenggarong , Stadion Aji Imbut , 35,000 , 2008.06.18
Sleman , Stadion Maguwoharjo , 31,700 , 2007 (축구전용구장)
Cibinong , Stadion Pakansari , 30,000 , 2015
Bekasi , Stadion Patriot Candrabhaga , 30,000 , 1982 (Re 2014)
Kutawaringin (Soreang) , Stadion Si Jalak Harupat , 27,000 seats , 2005.04.26 (2023 FIFA U-20 월드컵)
Bekasi , Stadion Wibawa Mukti , 25,395 seats , 2014
Banda Aceh , Stadion Harapan Bangsa (Lhong Raya Stadium) , 25,000 seats , 1997.01.01. (Re 2008)
Semarang , Stadion Jatidiri , 25,000 seats, 1991 (Re 2021)
Gianyar (Bali) , Stadion Kapten I Wayan Dipta , 23,081 , 2003.02.19 (2023 FIFA U-20 월드컵)
Palembang , Stadion Gelora Sriwijaya (Stadion Jakabaring) , 23,000 , 2004 (2023 FIFA U-20 월드컵)
Surakarta , Stadion Manahan , 20,000 seats , 1998 (Re 2020.02.15.) , (2023 FIFA U-20 월드컵) ........ 후보 확정
<AUSTRALIA>
호주 역시 확정된 유치후보 경기장이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나 아래 후보군 중 10~12개 정도의 경기장으로 압축되지 않을까? 라고 예상해 본다.
Melbourne , Melbourne Cricket grounds , 100,024 seats , 1853
Sydney , Stadium Australia (ANZ Stadium , Telstra Stadium) , 83,500 , 1999.03.06 , (2023 FIFA 여자월드컵 , 2015 아시안컵)
Perth , Optus Stadium , 65,000 seats , 2018.01.21
Adelaide , Adelaide Oval , 53,583 seats , 1871 (Re 2014)
Melbourne , Docklands Stadium (Etihad Stadium , Telstra Dome , Colonial stadium) , 53,343 seats , 2000.03.09
Brisbane , Lang Park (Brisbane Stadium , Suncorp Stadium) , 52,500 , 1914 (전용구장 , 2023 FIFA 여자월드컵 , 2015 아시안컵)
Brisbane , Queensland Sport and Athletic Centre , 48,500 seats , 1975
Sydney , Sydney Football Stadium , 42,500 seats , 2022.09.02 (전용구장 , 2023 FIFA 여자월드컵)
Newcastle , Newcastle Int’l Sports Centre (McDonald Jones Stadium) , 33,000 (23,000 seats + 10,000 standings) , 1970 (전용구장 , 2015 아시안컵)
Melbourne , Melbourne Rectangular Stadium (AAMI Park) , 30,050 seats , 2010.05.07 (전용구장 , 2023 FIFA 여자월드컵 , 2015 아시안컵)
Parramatta , Western Sydney Stadium (Bankwest Stadium) , 30,000 seats , 2019.04.16 (전용구장)
Gold Coast , Robina Stadium (Skilled Park) , 27,400 seats , 2008.02 (전용구장)
Canberra , Canberra Stadium , 25,011 seats , 1977.10.29. (전용구장 , 2015 아시안컵)
Townsville , North Queensland Stadium , 25,000 seats , 2020.02.22 (전용구장)
Townsville , Willows Sports Complex , 1300SMILES Stadium , Dairy Farmers Stadium , 24,483 , 1994 (전용구장)
Wollongong , Wollongong Showground , WIN Stadium , Sea-Side Stadium , 22,000 (13,000 seats + 9,000 standings), 1911 (전용구장)
Penrith , Credit Union Australia Stadium (CUA Stadium) , 22,500 (전용구장)
Adelaide , Hindmarsh Stadium (Coopers Stadium) , 22,000 (now 15,000 seats), 1960 (Re 2010) , (전용구장 , 2023 FIFA 여자월드컵)
Perth , Perth Oval (HBF Park , Perth Rectangular Stadium), 20,441 , 1910 (전용구장 , 2023 FIFA 여자월드컵)
Gosford , Grahame Park (Bluetongue Stadium , Central Coast Stadium) , 20,019 , 2000.02 (전용구장)
Campbelltown , Campbelltown Stadium , Orana Park , 20,000 , 2000 (전용구장)
첫댓글 9월 2일, 호주는 2026 AFC 여자아시안컵 유치에 전념하기 위해 2023 AFC 아시안컵 유치 계획을 철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