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四綠木 (-) 巽 長女 |
九紫火 (-) 離 次女 |
二黑土 (-) 坤 母 |
三碧木 (+) 震 長男 |
五黃土 (+) 中央 |
七赤金 (-) 兌 三女 |
八白土 (+) 艮 三男 |
一白水 (+) 坎 차남 |
六白金 (+) 乾 父 |
(기본구궁도)
숫자만 적어보면
4 |
9 |
2 |
3 |
5 |
7 |
8 |
1 |
6 |
※ 기본 구궁도를 작성할 때에는 번호순서대로 기억 하셔야 합니다.
낙서의 기본구궁도에서 위 그림과같이 배열할때 가로, 세로, 대각선의 숫자의 합은 모두 15가
됩니다.
(예 4+9+2=15 / 4+5+6=15 / 3+5+7=15 / 8+5+2=15 / 2+7+6=15)
이 수(數)는 하도에서 중궁의 陽土(5), 陰土(10)의 합한 수와 같습니다.
15라는 숫자는 신비의 숫자라 하여 마방진(魔方陳) 또는 방진(方陳)이라 합니다.
서양에서는 마방진을 (Magic square)을 신비의 숫자라 하여 마귀를 쫓는 부적으로도 사용 했다고 합니다.
북두칠성의 자루가 가리키는 쪽은 천지의 기가 집중되어 있으며 천지의 기가 이동하는 법칙은 년,월,
일, 시별로 일정한 법칙에 따라 이동 합니다.
또 좌보성, 우필성의 두개의 별을 한데 묶어서 보필성(輔弼星) 한개의 별로 사용하면 8개의 별로
만들어 팔괘에 대입해서 사용 하기도 합니다.
우주의기가 이동하는 순서에 따라 변이구궁도(變異九宮圖)가 만들어 집니다.
변이구궁도를 만드는 요령은 중궁에 들어 갈 숫자가 결정되면 그 숫자를 중궁에 넣고 기본구궁도
돌아가는 순서대로 다음 숫자를 대입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중궁에 3이라면 중궁에 3을 넣고 다음순서인 乾宮에 4, 그 다음 兌宮에 5, 이렇게
끝까지 순서대로 대입하면 됩니다.)
※ 여기까지 잘 이해 하셨나요?
잘 이해 하지 못 하셨다면 처음으로 다시 돌아가 찬찬히 그리고 꼼꼼히 이해하면서 다시 읽어
오시기 바랍니다. (특히 변이구궁도에 대하여...)
자 이제 구궁도의 이용에 관하여 알아 봅니다.
년반(年盤) : 낙서구궁에 년도별로 변하는 우주의 기를 나타내는 것.
월반(月盤) : " 월별로 "
시반(時盤) : " 시간별로 "
먼저 본명성을 산출하는법을 알아봅니다.
예를 들어 1967년생이라면 1+9+6+7 = 23 이것을 다시 2+3=5
5를 절대수 11에서 뺍니다. 11-5= 6
즉 1967년생은 본명성이 6이 됩니다. (6은 六白金(+金) 乾宮이 되겠지요!
① 년반 (年盤)
년반은 60년 단위로 上元 60년, 中元 60년, 下元 60년 이렇게 모두 三元 180년을 주기로 합니다.
180은 60갑자의 60과 구궁의 9의 최소 공배수입니다.
년반은 역행 합니다.
먼저 상원에서는 坎宮에서 甲子年을 시작으로 기본구궁도의 순서대로 역행하여 60갑자를 각궁에
대입하여 산출 합니다.
중원에서는 巽宮에서 시작하고 하원에서는 兌宮에서 시작하여 역행으로 각 궁에 대입하여 작성
합니다.
이 도표는 작성을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도저히 이해 안되면 댓글로 질문 바랍니다.)
이렇게 산출된 각元에서 해당되는 궁의 숫자 (예, 兌궁이면 7적금)를 변이구궁도의 중궁에 넣고
작성하시면 년반 구궁도가 완성 됩니다.
년반작성법은 이렇게 三元의 배치도를 작성하여 산출해도 되지만 간단하게 산술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위에서 본명성 산출하는 방법과 동일 하게 산출 합니다.)
예를들어 2015년 올해 같으면 2+0+1+5=8 8을 절대수 11에서 빼면 11-8= 3
즉 올해는 중궁에 3을 넣고 변이구궁도를 작성하면 됩니다.
7 9 3 5 6 8 4
2
1
이렇게 되겠지요. 이렇게 산출해서 오황살 방향, 암검살, 본명성, 본명적살, 사기방, 살기방, 생기방,
화기방, 퇴기방, 태세방, 세덕방등을 보면 됩니다.
즉 오황살방향은 서쪽 태방이니 불길하고, 암검살은 1번 동쪽 震방향이며, 위에서 산출한 본명성이
6인 1967년생은 2015년 올해 본명성 방향은 6인 艮방향인 동북쪽은 흉이고, 반대방향인 9의 坤방향인 남서쪽은 본명적살방향으로 불길하고, 六白金은 陽金이니 금을 생하는것은 土이며,
土는 八白土, 五黃土, 二黑土 이렇게 세개가 있으나 五黃土는 그자체가 오황살이니 피하고,
8인 坎방향의 북쪽과 2인 巽방향의 남동쪽이 生氣방향으로 올해는 좋은 방향입니다.
길, 흉방위에 대하여는 이 글 끝부분에서 도표로 정리 해 드립니다.
이제 년반에 대하여 이해 되셨나요?
② 월반 (月盤)
월반은 60개월 단위로 상원 60개월, 중원 60개월, 하원 60개월 이렇게 180개월 주기로 따지기 때문에
상, 중, 하원 각각 5년씩 15년 주기로 변합니다.
월반도 역행 합니다.
그리고 절후로 계산 합니다.
구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입춘 우수 |
경칩 춘분 |
청명 곡우 |
입하 소만 |
망종 하지 |
소서 대서 |
입추 처서 |
백로 추분 |
한로 상강 |
입동 소설 |
대설 동지 |
소한 대한 | |
子午卯酉 년 |
8 |
7 |
6 |
5 |
4 |
3 |
2 |
1 |
9 |
8 |
7 |
6 |
辰戌丑未 년 |
5 |
4 |
3 |
2 |
1 |
9 |
8 |
7 |
6 |
5 |
4 |
3 |
寅申巳亥 년 |
2 |
1 |
9 |
8 |
7 |
6 |
5 |
4 |
3 |
2 |
1 |
9 |
위의 표에서 산출해 보도록 합시다.
만약 2015년 4월의 월반을 산출 하려면, 2015년은 乙未年이므로 辰戌丑未년의 4월이므로 2를 중궁
에 넣어서 산출하면 됩니다.
③ 일반 (日盤)
일반은 동지에서 하지까지를 양둔(陽遁)이라 하고, 하지 부터 동지까지를 음둔(陰遁)이라 합니다.
일반(日盤)에서 양둔은 순행, 음둔은 역행 합니다.
동지에서 소한, 대한, 입춘까지 60일은 양둔 상원
우수, 경칩, 춘분, 청명까지 60일은 양둔 중원
곡우, 입하, 소만, 망종까지 60일은 양둔 하원
하지, 소서, 대서, 입추까지 60일은 음둔 상원
처서, 백로, 추분, 한로까지 60일은 음둔 중원
상강, 입동, 소설, 대설까지 60일은 음둔 하원 입니다.
년반과 마찬가지로 삼원을 각궁에서 갑자를 시작하여 산출한 방법이 있지만 여기에서는 생략하고
표로 만들어진 일진중궁표를 보고 산출 하시면 됩니다.
구분 |
갑자 |
을축 |
병인 |
정묘 |
무진 |
기사 |
경오 |
신미 |
임신 | ||
계유 |
갑술 |
을해 |
병자 |
정축 |
무인 |
기묘 |
경진 |
신사 | |||
임오 |
계미 |
갑신 |
을유 |
병술 |
정해 |
무자 |
기축 |
경인 | |||
신묘 |
임진 |
계사 |
갑오 |
을미 |
병신 |
정유 |
무술 |
기해 | |||
경자 |
신축 |
임인 |
계묘 |
갑진 |
을사 |
병오 |
정미 |
무신 | |||
기유 |
경술 |
신해 |
임자 |
계축 |
갑인 |
을묘 |
병진 |
정사 | |||
무오 |
기미 |
경신 |
신유 |
임술 |
계해 |
- |
- |
- | |||
日盤 |
양둔 (동지-> 하지) |
上元 |
1 |
2 |
3 |
4 |
5 |
6 |
7 |
8 |
9 |
中元 |
7 |
8 |
9 |
1 |
2 |
3 |
4 |
5 |
6 | ||
下元 |
4 |
5 |
6 |
7 |
8 |
9 |
1 |
2 |
3 | ||
음둔 (하지-> 동지) |
上元 |
9 |
8 |
7 |
6 |
5 |
4 |
3 |
2 |
1 | |
中元 |
3 |
2 |
1 |
9 |
8 |
7 |
6 |
5 |
4 | ||
下元 |
6 |
5 |
4 |
3 |
2 |
1 |
9 |
8 |
7 |
일반을 산출 해 봅니다.
예를 들어 오늘이 2015년 4월(庚辰月) 19일(乙丑日) 이라면,
일반은 양둔 중원의 을축일 이므로 8입니다.
따라서 8을 중궁에 넣고 변이구궁도를 작성한후 나의 본명성을 참고하여 길, 흉방을 따지면 됩니다.
④ 시반 (時盤)
時는 하루를 12지지로 즉 12시간으로 나누었습니다.
즉 上元 甲子時는 1일 甲子時를 시작으로 5일까지 癸亥時로 상원갑자시가 마무리 되고
중원은 6일 자시부터 10일 계해시로 중원갑자 60시간이 마무리 되고
하원은 11일부터 자시부터 갑자시를 시작하여 15일 계헤시까지 하원 60갑자시가 마무리 됩니다.
이렇게 15일 동안 상,중,하원의 180시간이 흐르니까 절후로 따지면 1기에180시간 삼원이 지나갑니다
1달 즉, 하나의 절후는 2개의 三元甲子時가 들어 있습니다.
1년은 24개의 삼원갑자시가 연속적으로 흘러 갑니다.
시반을 산출하는 표를 만들어 봅니다.
구 분 |
자 |
축 | 인 | 묘 | 진 | 사 | 오 | 미 | 신 | 유 | 술 | 해 | |
양둔 |
子午卯酉 일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 | 2 | 3 |
辰戌丑未 일 |
4 | 5 | 6 | 7 | 8 | 9 | 1 | 2 | 3 | 4 | 5 | 6 | |
寅申巳亥 일 |
7 | 8 | 9 | 1 | 2 | 3 | 4 | 5 | 6 | 7 | 8 | 9 | |
음둔 |
子午卯酉 일 |
9 | 8 | 7 | 6 | 5 | 4 | 3 | 2 | 1 | 9 | 8 | 7 |
辰戌丑未 일 |
6 | 5 | 4 | 3 | 2 | 1 | 9 | 8 | 7 | 6 | 5 | 4 | |
寅申巳亥 일 |
3 | 2 | 1 | 9 | 8 | 7 | 6 | 5 | 4 | 3 | 2 | 1 |
시반은 굳이 중궁산출법을 설명하지 않아도 아시겠죠?
이렇게 산출된 결과를 가지고 아래와같이 길흉방위를 적용합니다.
구궁도 방위별 길흉표
方 位 |
解 說 |
對 象 |
吉凶 | 備 考 |
五黃殺 方 |
五黃土 방위 |
萬人 | 凶 | 능동적 |
暗劍殺 方 |
五黃土 반대 방위 |
萬人 | 凶 | 타의적 |
本命星 方 |
本命星이 있는 방위 |
個人 | 凶 | 능동적 |
本命星 的殺方 |
本命星 반대 방위 |
個人 | 凶 | 타의적 |
死氣方 (財) |
본명성 오행이 극하는 방위 |
個人 | 凶 | 능동적 |
殺氣方 (官) |
본명성 오행을 극하는 방위 |
個人 | 凶 | 타의적 |
生氣方 (印綏) |
본명성 오행을 생하는 방위 |
個人 | 上吉 | 타의적 |
和氣方 (比劫) |
본명성 오행과 같은 방위 |
個人 | 吉 | 타의적 |
退氣方 (食傷) |
본명성 오행이 생하는 방위 |
個人 | 吉 | 능동적 |
太歲方 (年盤時) |
當年의 地支 방위 |
萬人 | 吉 | 타의적 |
歲德方 (年盤時) |
當年의 天干 방위 |
萬人 | 吉 | 타의적 |
※ 적용기준
년반 : 2개월 이상을 여행하거나 이사 갈때 적용
월반 : 2일 이상 2개월 미만
일반 : 2시간 이상 2일 미만
시반 : 2시간 미만 적용
변이구궁도 를 작성해 보면 (중궁에 1부터 9까지를 대입하여 작성하여 보면)
9 |
5 |
7 |
8 |
1 |
3 |
4 |
6 |
2 |
1 |
6 |
8 |
9 |
2 |
4 |
5 |
7 |
3 |
3 |
8 |
1 |
2 |
4 |
6 |
7 |
9 |
5 |
2 |
7 |
9 |
1 |
3 |
5 |
6 |
8 |
4 |
1 3 6 8 9 2 7
5
4
4 |
9 |
2 |
3 |
5 |
7 |
8 |
1 |
6 |
6 |
2 |
4 |
5 |
7 |
9 |
1 |
3 |
8 |
7 |
3 |
5 |
6 |
8 |
1 |
2 |
4 |
9 |
8 |
4 |
6 |
7 |
9 |
2 |
3 |
5 |
1 |
봄비가 촉촉히 내렸습니다.
마침 20일인 오늘이 곡우 이군요.
곡우에 비가 내리면 풍년이 든다는데, 농사에 필요한 비는 충분하리라 생각 됩니다.
그나저나 나라는 좀 조용해야 할텐데......
정의롭지 못한 정치인은 아웃 해야 하는데, 어리석은 백성들이 항상......
愚民입니다.
|
첫댓글 훌륭한자료 감사드립니다
좋은 자료 열씸히 익혀보겠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