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명 새 주소가 2011년 7월 29일 도로명 주소 변경 고시를 거쳐 기존 지번 주소와 병행사용하면서 2014년부터는 전면 시행되고 있다. 건설교통부 자료대로라면 이 제도가 정상적으로 시행되면 초행길 찾기 등 물류비용의 절감 효과가 연 4조 3,000억에 이른다고 한다. 그 취지가 아무리 좋은들 모든 국민들이 태어나서부터 익히고 사용하던 길눈이 단기간에 정착될 수 없다는 것은 여러 경로를 통해 입증이 되고 있다. 정부가 추진해온 도로명 주소 제도가 현재는 옛 주소와 혼용되어 사용이 되고 있는데 이 제도가 잘 정착될 수 있으려면 행정기관이나 공공단체에서 주도적인 사용을 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4천억원이라는 예산을 투입하면서 추진해가고 있는 정부 정책임에도 여전히 ‘모르쇠’하는 공공단체들이 있다. 강암서예관, 승광재, 전주전통술박물관, 최명희문학관, 전주청소년문화의집, 학산종합사회복지관, 서원노인복지관, 한국지방세연구원, 전북환경운동연합, 전주문화의집, 청명헌 등은 홈페이지 주소가 신 도로명 주소가 아닌 구 주소를 사용하고 있어서 유관기관들의 관심과 관리자들의 신속한 수정이 요구된다. 이 단체들은 전주시청 홈페이지 하단부 ‘관련기관 링크모음’에 쉽게 방문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어서 운영실태가 자주 눈에 띈다. 이 밖에도 행정관서의 경우 홈페이지에 각종 공지문이나 생활안내를 게시할 경우 도로명주소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허다하다. 시청 홈페이지 ‘새소식’ 등에 게시된 문건 중에는 시민들의 행사문건이 구주소를 사용하고 있는 것도 종종 모니터 되고 있다. 공고문이나 안내문을 게시할 경우 장소를 표기할 때는 반드시 도로명을 사용하도록 계도하고 정정하는 검증과정을 거친후에 게시하여야 실생활 정착이 앞당겨진다. 처음에는 불편하지만 도입취지대로 기관이 앞장서고 시민들이 협력한다면 효과는 배가되기 마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