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감도(烏瞰圖)-시 제 1호
이상(李箱)
13인의아해가도로로질주하오.
(길은막다른골목이적당하오.)
제1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2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3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4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5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6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7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8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9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10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11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12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제13의아해도무섭다고그리오.
13인의아해는무서운아해와무서워하는아해와그렇게뿐이모였소.
(다른사정은없는것이차라리나았소.)
그중에1인의아해가무서운아해라도좋소.
그중에2인의아해가무서운아해라도좋소.
그중에2인의아해가무서워하는아해라도좋소.
그중에1인의아해가무서워하는아해라도좋소.
(길은뚫린골목이라도적당하오.)
13인의아해가도로로질주하지아니하여도좋소.
[시어, 시구 풀이]
오감도 : ‘조감도(鳥瞰圖)’를 조작하여 만든 조어(造語), 까마귀의 심상을 이용해 불길 하고 부정적인 분위기를 드러냄
시 제 1호 : 제 1호, 2호 등의 표제를 초현실주의의 경향으로 보는 견해가 있음, 시적인 의미를 한정시키지 않기 위한 의도적 수법
13인 : 최후의 만찬에 참석한 그리스도와 열 두 제자, 위기에 당면한 인류, 무수한 사람, 불길한 공포, 해체된 자아의 분신, 당시의 13도(道), 시계 시간의 부정, 시간의 불가사의를 희화한 것 등으로 다양하게 해석이 됨
아해 : 아이, 아이를 아해라고 표기한 것은 아이라는 낱말이 환기하는 언어의 일상적 습관성을 낯설게 만들려는 의도로 보임
도로질주하오. : 태초부터 미래를 향해 질주하는 인간의 현실적 상황과 도로라는 역사적 도정(道程)을 표시하는 은유. 또는 공포로부터의 도피 행위 등으로 해석된다. 뒤의 문맥과 연관지어 해석하면 도로 자체의 의미보다는 질주의 의미가 강조된다.
길은막다른골목이적당하오. : 이 시행은 구조적으로 대립되는 마지막 2행과 함께 읽어야 한다. 즉 길은 막다른 골목이든 뚫린 골목이든 관계없다는 의미가 강조된다. 중요한 것은 ‘아해들의 상태’이지 이런 외적 조건이 아니라는 의미이다.
제1의아해가무섭다그리오. : 아해가 무섭다고 하는 것은 아이가 공포를 느끼고 있음을 암시한다. 이러한 공포는 13인의 아해가 모두 느끼고 있다. 그러나 공포의 대상이 분명하게 드러나지는 않는다.
13인의아해는무서운아해와무서워하는아해와그렇게뿐이모였소. : 13인의 아해는 모두 공포에 질려 있지만 여기서 그들은 ‘무서운 아해’와 ‘무서워하는 아해’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13인의 아해가 공포의 대상이면서 동시에 공포를 수용하는 존재라는 의미이다. 이렇게 공포의 주체이면서 동시에 객체가 되는 심리 세계는 공포라기보다는 불안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중에1인의아해가무서운아해라도좋소. : 13인의 아해 중 몇 명의 아해가 무서운 아해고 몇 명의 아해가 무서워하는 아해인가를 따지는 것은 중요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무서움과 무서워함의 관계일 뿐이다. 유추적으로 해석하면 무서운 아해와 무서워하는 아해는 동일시된다.
[핵심 정리]
지은이 : 이상(李箱, 1910-1937) 시인이며 소설가. 본명은 김해경(金海卿). 서울 출생. 경성고등공업학교(서울 공대 전신) 건축과 졸업. 구인회에 가입(1934). 초현실주의 수법을 통해 분열된 자의식 세계의 탐구에 주력했고, 숫자와 기하학적 낱말, 관념적 한자로 구성된 특이한 작품을 썼다. 대표작으로 시 ‘오감도’, ‘거울’ 외에도 소설에 ‘날개’, ‘지주회시’, ‘종생기’ 등이 있으며, 수필로는 ‘권태’가 유명하다.
갈래 : 자유시. 초현실주의시
율격 : 내재율
성격 : 주지적. 관념적. 심리적. 상징적
어조 : 비판적. 냉소적 어조
표현 : 자동 기술법 등의 실험적인 초현실주의 기법
구성 :
1연 13인의 아이가 도로로 질주함
2연 13인의 아이가 무섭다고 함
3연 그 중 어느 아이가 무서운 아이든 무서워하는 아이든 무방함
4연 13인의 아이가 도로를 질주하지 않아도 무방함
제재 : 실존적 삶의 모습
주제 : 현대인의 공포 의식과 좌절 의식
출전 : <조선중앙일보>(1934. 7), <이상 전집(李箱全集)>(1956)
▶ 작품 해설
이 시의 외형적 특징으로 우선 일상적 문법 질서의 파괴를 들 수 있다. 여기서 문법 질서를 파괴한다는 것(띄어쓰기 무시, 동일한 통사 구문의 반복, 앞에서 진술한 내용의 번복 등)은 기존의 언어 체계를 근본적으로 불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이유는 일상적 삶의 질서를 무시하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일상적 삶의 질서란, 보통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너무나 당연한 것이지만, 그것으로부터 일탈한 소외된 존재의 입장에서 보면 불합리하고 부조리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 시의 시적 진술은 어떤 현상에 대한 기술이 아니라, 내면 심리를 형상화한 것으로 보인다. 즉, ‘열세 명의 아해가 도로로 질주하고’ 있다는 말은 구체적 상황을 진술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서정적 자아의 내면 세계에 자리잡고 있는 소외와 불안에 대한 상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모든 현대인은 절망한다. 절망은 기교를 낳고, 그 기교 때문에 또 절망한다.”는 이상(李箱) 자신의 말처럼, 이 시는 표면적으로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의사 소통이 단절된 소외와 불안을 드러내고 있지만, 진정한 의미에서 참다운 인간 관계를 갈망하는 시인의 마음이 역설적으로 표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