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시 | 7월 12일(일요일) 13 : 40분 |
만남 장소 | 운길산역(경의 중앙선) 광장 경의중앙선 배차시간은 33분~37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상봉역에서 운길산 역 까진 소요시간은 32분입니다. |
트레킹 코스 | 운길산역⇨ 삼태기마을 입구⇨ 엣 능내역사⇨ 다산길⇨ 한강변 다산 생태공원⇨ 전망대⇨ 다산유적지/휴식 후 해산(마을버스 탑승하여 운길산 역 하차) |
트레킹 난이도 | 트레킹 약 3시간 10분(휴식, 해설, 관람, 포함) 8.0Km(난이도 하) |
진행자 | 김현회(010-8579-9988), 지종학(010-5233-2253) 김남선(010-5811-1188) |
길 안내자 및 해설자 | 임청아(010-2240-5956), 명인식(010-5340-9009), 이광우(010-7135-3366), 이길헌(010-5251-0083) 장동인(010-5342-1900), 권오철(010-5253-6628) 유경근 임정원 |
참석방법 | 카페에 들어가서 닉네임 또는 실명/연락처/하고 싶은 말 적어주세요..^^ 댓글로 신청 |
준비물 | 식수, 트레킹복장, 트레킹화, 개인 안전장비, 썬 크림, 날씨에 따른 준비물, 간단한 간식 |
트레킹 중 안전에 대하여 | - 역사문화지리트레킹은 순수 비영리 트레킹으로 카페운영진과 트레킹진행자는 같은 회원으로 일시적으로 봉사하는 것으로 트레킹 중 일어나는 모든 사고는 참석한 회원 각자의 책임이며, 어떠한 경우에도 카페 운영진이나 진행자에게 민, 형사상의 법적, 금전적 책임을 물을 수 없습니다. - 항상 회원 여러분이 스스로 자신의 안전에 최대한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참석신청 자체가 위 사항을 확인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 진행 측 차원에서는 보험이 없으므로 필요시 개인적으로 여행자보험가입해주시면 됩니다.
|
기타 | - 정시에 출발 - 참가비는 없음 - 트레킹 종료 후 식사 할 경우 n/1 원칙 - 당일 트레킹 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트레킹 질서를 지켜 가면서 공공선을 실천합시다. -상대방에게 불쾌감이나 마음에 상처를 주는 행동이나 언행은 삼가바랍니다. -선진 문화시민으로서 자연보호와 문화재 보호에 심혈을 기울여 주시고 자기가 발생시킨 쓰레기는 수거하여 지정된 장소에 버려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사항은 국제경영컨설팅 홈페이지(www.kukjec.com) 또는 카페주소(http://cafe.daum.net/trekking7)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 세부 설명
▢ 능내 역사((陵內 驛舍)
○소재지: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다산로 384 (능내리 131-1)
►능내역(陵內驛)은 중앙선의 신호장이었다. 2008년 12월 29일에 중앙선 광역전철의 운행구간이 국수역까지 연장되면서 선로가 이설되어 능내역을 지나가지 않아, 자연스럽게 역이 폐지되었고 이 역을 대신하여 3.5km 떨어진 곳에 운길산역이 신설되었다. 현재 능내역사는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관광용 및 쉼터로 사용 중이며, 철로는 전부 자전거도로가 되었다.
구(舊) 역장(驛長)이 기르던 고양이 "능내"가 폐역 이후로도 마스코트 역할을 했다. 고양이 능내는 2015년 7월 쥐약을 잘못 먹고 사망했다.
►역사
1956년 05월 01일: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 개시(청량리역 기점 28.7km)
1967년 09월 16일: 현 역사 준공
1967년 11월 25일: 보통역으로 승격[2]
1993년 11월 15일: 배치간이역으로 격하
2001년 09월 08일: 신호장으로 격하
2005년 04월 01일: 역무원 철수로 역 폐쇄
2007년 06월 01일: 여객 취급 중지
2008년 11월 28일: 중앙선 팔당 - 양수 구간 이설로 영업 종료
2008년 12월 29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 팔당역 - 국수역 구간 개통으로 공식 폐지
▢ 다산 정약용선생 유적지
남양주 조안면 팔당댐 인근에 있는 다산 정약용 선생 유적지는 한강을 내려다보고 있는 묘역을 중심으로 다산이 벼슬을 버리고 낙향해서 살던 집인, 여유당과 다산선생의 영정을 모신 사당, 그리고 기념관으로 구성 되어 있다. 다산 유적지는 서울에서 아주 가까이 위치하고 있으며, 조선후기 정조 때 실학사상에 큰 업적을 남긴 선생의 일생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곳이다.
▢ 조선 최고의 실학자 다산 정약용 묘
○위치: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다산로747번길 11 (조안면)
○문화재 지정: 기도 시도 기념물 제7호(1972.05.04 지정)
1972년 5월 4일 경기도기념물 제7호로 지정되었다. 능내리에 정약용을 모신 유택인 여유당(與猶堂)과 함께 공원으로 조성되었다. 묘는 부인 풍산홍씨와 합장한 원형의 묘로 남향하고 있고, 묘 앞에는 비좌와 비신 및 팔작지붕 모양의 옥개석을 갖춘 비가 있다. 비신에는 2열로 ‘문도공다산정약용 숙부인 풍산홍씨 지묘(文度公茶山丁若鏞 淑夫人豊山洪氏 之墓)’라고 씌어 있다. 비좌는 높이 31.5㎝, 너비 129㎝, 두께 90㎝이며, 비신은 높이 179㎝, 너비 69.5㎝, 두께 34.2㎝이고, 옥개석은 높이 62㎝, 너비 119㎝, 두께 81㎝이다. 묘역 앞에는 1959년에 세운 묘비 2기와 자연석에 여유당이라 쓴 비가 서 있다.
○ 다산 정약용 선생에 대하여
다산 정약용은 조선후기의 대학자로서 1762년(영조38) 현재의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마현마을에서 태어났다. 정약용은 어려서부터 이익의 학문을 접하였고, 이벽에게 서양서적을 얻어 읽기도 하여 실학과 서학적 분위기 속에서 성장하였다. 1789년(정조 13)에 문과 급제하여 예문관검열이 되었으나 천주교인이라 하여 충청도 해미로 귀양갔다가 10일 만에 용서되어 풀려났다. 또한 거중기와 녹로(도르래)를 만들어 수원성을 쌓는 공정을 단축하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그 후 경기도 암행어사를 거쳐 동부승지·병조참의가 되었으나 주문모 신부의 변복 잠입 사건이 터지자 형 정약전과 함께 이 사건에 관련되어 충청도 금정찰방으로 좌천되기도 했다. 1801년(준조 1)신유박해 때 경상북도 포항 장기로 유배된 뒤에 황사영백서사건이 일어나 이 해 10월 다시 전라남도 강진으로 옮겨졌다. 이 후 오랜 유배생활에 들어가며 조선사회의 현실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여러 사상과 학문을 검토하여 조선 후기의 실학사상을 집대성하였다. 1818(준조 18) 유배생활에서 풀려난 후 마현마을 고향집으로 돌아와 저술생활로 평생을 보냈으며 1836년(현종 2) 75세로 생을 마쳤다.
다산 정약용 선생은 18년의 유배기간 동안 경서학에 전념, 실학의 대가가되어 「목민심서 」48권, 「경세유표」49권, 「흠흠신서」30권 등을 쓰면서 정치·경제 등 제도의 개혁을 주장하였고 500여 권의 방대한 책을 저술하였다. 능내리의 다산유적지에 있는 정약용의 묘(경기도 기념물 제 7호)는 발치 아래를 감싸고돌아 흐르는 두물머리를 물끄러미 바라보는 듯한 야트막한 언덕에 자리 잡고 있다. 묘 앞에는 비석상과 상석, 그리고 자우에 망주석이 배열되어 있다. 봉분은 단분이며 숙부인 풍산 홍씨와의 합장묘이다. 문화관에서는 다산 정약용의 일대기를 담은 영상물을 상영하고 있으며 다산 관련 강연회와 학술발표회가 열리고 있다. 또한, 다산문화제를 비롯한 다양한 문화행사들이 사계절 내내 이곳에서 열리고 있다.
▢ 다산선생의 저택인 여유당
▢ 영정을 모신 사당
▢ 다산 기념관
첫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