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종(糯種) 또는 납질종(蠟質種:waxy corn) 옥수수
● 糯(나)는 '찰벼 나'라는 한자로, '찰벼', '찹쌀'을 뜻한다.
나종(糯種:waxy corn)은 납질종(蠟質種)이라고도 하며 찰옥수수라 하는 것으로 씨알이 납질 모양으로 반투명에 가깝고 찰기가 있어 떡을 만들기에 알맞다. 아시아에 분포되어 있다.
■ 폭립종(爆粒種:pop corn) 옥수수
●●모든 종류의 옥수수가 팝콘 만들기에 적합한 것은 아니고●● 보통 팝콘의 재료는 ''폭립종(폭열종)'을, 토종 옥수수 중에서는 '쥐이빨 옥수수'를 쓴다.
팝콘은 지금으로부터 약 400년 전인 1621년 10월 15일 첫 추수감사절에 인디언 원주민이었던 마사소이드족의 추장인 콰데구이나가 튀긴 옥수수를 영국 이주민에게 전달한 것이 유럽인 최초로 팝콘에 대한 기록이다.
이후 인디언들이 영국 이주민을 만날 때 마다 평화 협상의 표시로 팝콘을 사용했다.
이듬해 영국 이주민들은 마사소이드족으로부터 옥수수 재배 방법과 팝콘 만드는 법을 배우게 되었고, 집에서도 즐겨먹게 되었다.
■ 팝콘용 옥수수의 종류
옥수수는 종자의 모양과 성질에 따라서 마치종(dent corn), 경립종(flint corn), 감미종(sweet corn), 폭립종(pop corn), 연립종(soft corn), 연감종(starchy-sweet corn), 나종(waxy corn), 유부종(pod corn)의 8종류로 나뉘고,
팝콘용 옥수수인 폭립종(pop corn)은 튀겨진 모양에 따라 나비형(butterfly)과 버섯형(mushroom)으로 구분된다.
팝콘용 옥수수의 종류
오일팝핑
팝콘용 옥수수에 오일 및 소금 등을 넣어 튀겨낸 오리지널 팝콘
더스팅
오리지널 팝콘에 씨즈닝으로 더스팅하여 감칠맛을 더한 팝콘
https://youtu.be/1cGqDCYyrg4?si=c80HpG4DhMA3iKhm
https://youtu.be/obcd7R7jtFA?si=-aMAsqejJYk_llBZ
https://youtube.com/shorts/xQc1JqkqWjY?si=itdMBGCobmkBCpY5
옥수수는 종자의 모양과 성질에 따라서
○ 마치종(馬齒種:dent corn)
○ 경립종(硬粒種:flint corn)
○ 감미종(甘味種:sweet corn)
○ 폭립종(爆粒種:pop corn)
○ 연립종(軟粒種:soft corn)
○ 연감종(軟甘種:starchy-sweet corn)
○ 나종(糯種:waxy corn)
○ 유부종(有浮種:pod corn)
의 8종류로 나눈다.
① 마치종은 성숙한 씨알의 표면이 움푹하게 들어가 말의 이빨처럼 된다. 성숙기가 늦고 이삭이 굵어 수량이 많다. 사료 및 공업용에 알맞다.
② 경립종은 씨알 윗부분이 둥글고 대부분 각질(角質)이며 이삭과 씨알이 마치종보다 작고 수량이 떨어지나 맛이 좋아서 식용으로 주로 재배되어 왔다.
③ 감미종은 씨알 전체가 반투명인 각질로 되어 있고 여문 후에는 쭈글쭈글해진다. 조생이며 단맛이 강하고 연하여 식용 및 통조림용으로 이용된다.
④ 폭립종은 씨알이 거의 각질이고 잘며 식용으로는 품질이 우수하지 못하지만 팝콘으로 이용하기에 알맞다.
⑤ 연립종은 연질로서 각질은 배젖 주위에 극히 얇은 층이 있거나 전혀 없는 경우도 있다.
⑥ 연감종은 연립종과 감미종의 중간성질을 가진 것으로 아메리카의 일부에서 재배된다.
⑦ 나종은 납질종(蠟質種)이라고도 하며 찰옥수수라 하는 것으로 씨알이 납질 모양으로 반투명에 가깝고 찰기가 있어 떡을 만들기에 알맞다. 아시아에 분포되어 있다.
종실(從實)은 반투명에 가깝고 가열하면 점성이 강한 찰녹말을 갖는 amylopectin으로 찰기가 있어 떡을 만들기에 알맞다. 우리나라 강원도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는 타피오카 녹말을 대신할 목적으로 육종래료로 활용되고 있다.
⑧ 유부종은 씨알 하나 하나가 모두 껍질에 싸여 있는 것으로 별로 재배되지 않는다. 한국에서의 옥수수 품종은 미국에서 도입된 합성품종인 황옥1호·황옥2호·황옥3호, 그리고 잡종인 복교1호·복교2호 등이 보급된 바 있으나, 최근에는 단교잡종인 수원19호·수원20호·수원21호·홍성옥·제천옥·광옥 등이 육성되어 장려 품종으로 보급되고 있다.
유럽에서는 사료작물로 이용되나 아시아·아프리카에서는 식용으로 더 중요하다. 한국에서는 완숙되기 전에 수확하여 간식용으로 이용하나, 중부 산간지나 북부지방에서는 완숙 후에 수확하여 식량으로 이용하고 있다. 씨알은 물에 불려서 쌀이나 팥과 섞어 밥을 짓거나 맷돌에 갈아서 쌀·조와 섞어 먹기도 한다.
단맛이 나는 옥수수를 찌거나 삶아먹으면 그 안에 든 항산화(抗酸化)성분이 더 많이 생성된다는 것이다(미국 ´농업.식품화학지´최근호).
항산화성분이 많으면 노화.암.심장병 등의 예방에 좋다. 옥수수는 사람과 가축이 함께 즐기는 식품. 옥수수를 빻아 만든 미국 남부의 가루빵 ´허시 퍼피´가 좋은 예다. 주인이 먹을 때 강아지(puppy)에게 던져주면 조용해진다(hush)고 해서 생긴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