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람요금(ADMISSION)
관람요금 정보를 제공하며 구분,일반(개인,단체20인이상),목포시민 50%할인(개인,단체20인이상) 항목으로 구성된 표구분일반목포시민(50%할인)개인단체(20인이상)개인단체(20인이상)
성인(19세~65세) | 2,000원 | 1,500원 | 1,000원 | 700원 |
청소년+군인(13세~18세) | 1,500원 | 1,000원 | 700원 | 500원 |
어린이(7세~12세) | 1,000원 | 500원 | 500원 | 200원 |
※목포시에 거주하는 자에 대하여는 관람료의 50퍼센트를 감면하여 산정하되 100원미만은 절사한다.(다만, 주민등록을 확인 할 수 있는 신분 증서를 제시한 경우에 한한다.)
무료관람대상
전시실안내
차범석관
국내에서는 최초의 극작가 전시관으로 국내에서 그동안 보기 힘들었던 연극과 관련한 친필원고, 대본, 각종 공연 포스터, 팜플렛 등이 전시되었으며 한편의 연극이 완성되기까지의 과정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박화성관
박화성관은 기존의 박화성 기념관이 옮겨와 선생의 삶과 문학세계를 한층 깊이 있게 느낄 수 있도록 새롭게 꾸며졌습니다. 선생의 친필원고, 대표저서, 작품 속 소설공간, 생활유품 및 선생이 쓰시던 서재와 안방 들을 복원, 전시하고 있습니다.
김우진관
김우진관은 그동안 한번도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았던 선생의 희곡, 시 소설, 평론의 친필원고를 유족으로부터 기증받아 전시하였으며 5개국 대사관의 서기관, 무안 항 감리 등을 역임한 부친 김성규의 유품도 함께 전시되어 있습니다.
김현관
김현관은 친필원고, 생활유품 등 생전 흔적을 엿볼 수 있는 김현의 방과, 지인들이 그려준 김현의 모습, 김현 문학을 엿볼 수 있는 검색대 및 어록 등을 둘러볼 수 있습니다.
문학체험관
각종 세미나 등 학술연구 활동과 다양한 행사를 비롯하여 연극을 공연·관람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문학창작실
문학인들의 교육, 창작, 문학동우회들의 모임을 위한 공간입니다.
문학인사랑방
문학인, 일반인들이 책을 볼 수 있는 문학관 도서실 및 각종 회의, 모임을 위한 공간입니다.
전시실안내
차범석관
1번 | 연보 | 2번 | 육필원고 | 3번 | 생애와 문학 |
4번 | 작품세계 | 5번 | 자선대표작 | 6번 | 연극 공연 과정 |
7번 | 육필원고 | 8번 | 차범석과 방송 | 9번 | 집필실 |
10번 | 작품활동 | 11번 | 문학사적 위상 | - | - |
박화성관
1번 | 연보 | 2번 | 생애와 문학 | 3번 | 작품세계 |
4번 | 작품 속 소설공간 | 5번 | 생활유품 | 6번 | 집필실 |
7번 | 생활유품 | 8번 | 문인가족 박화성 | 9번 | 기념사업 |
10번 | 안방 | 11번 | 기념사업 | - | - |
김우진관
1번 | 연보 | 2번 | 육필원고 | 3번 | 생애와 문학 |
4번 | 김우진 작품 | 5번 | 집필실 | 6번 | 육필원고 |
7번 | 김성규와 김우진 | 8번 | 디오라마 | 9번 | 김우진과 목포문학 |
김현관
1번 | 연보 | 2번 | 주요저서 목록 | 3번 | 김현사진 |
4번 | 얼굴들 | 5번 | 김현을 그리다 | 6번 | 주요저서 |
7번 | 김현을 만나다(정보검색대) | 8번 | 김현을 말하다 | 9번 | 김현, 바다의 몸 |
10번 | 영상물 | - | - | - | - |
오시는길
교통정보안내
목포문학관으로 오는 교통정보를 제공하며 고속버스,기차,항공 항목으로 구성된 표고속버스기차항공
서울-목포(15:30~24:00) | 용산-목포(07:05~23:40) 평일 17회, 주말18회 | 서울-무안(12:30) |
부산-목포(06:30~15:20) | - | 무안-서울(13:50) |
광주-목포(05:30~24:00) | - | - |
목포문학관으로 오는 교통정보를 제공하며 시내버스,택시요금 항목으로 구성된 표시내버스택시요금
버스터미널 앞에서 1번 혹은 108번 탑승→목포mbc건너편(문화방송)에서 7번 환승 →목포문학관 | 터미널에서 문학관 : 약 5,000원 |
목포역 앞에서 13번 탑승→하당우성아파트에서 7번환승→목포문학관 | 목포역에서 문학관 : 약 5,000원 |
목포역 맞은편에서 15번탑승 → 목포문학관 |
작가이야기
김우진
김우진(水産) 1897~1926
김우진은 전남 장성에서 당시 군수였던 김성규의 장남으로 태어났다.1907년 목포시 북교동 46번지로 이주하여 목포공립보통학교(현 북교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일본 구마모토 농업학교를 거쳐 1924년 와세다 대학 영문과를 졸업했다.대학을 졸업하고 목포로 귀향하여 영농사업체 사장으로 일하면서 시 50편, 희곡 5편, 소설 3편, 문학평론 20편을 남겼다.
박화성
박화성(素影) 1903~1988
박화성의 본명은 경순, 화성은 아호이자 필명이다.12세 때 목포 정명여학교를 졸업하고 서울 숙명여고보를 거쳐 1926년 한국여성으로는 최초로 일본여자대학교 영문학부에 입학했다. 21세때 최초의 단편소설〈팔삭동〉을 〈자유예원〉에 발표하고, 이광수의 추천을 받아〈조선문단〉(1925)에〈추석전야〉로 문단에 데뷔하였다.
차범석
차범석 1924~2006
차범석은 목포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광주서중학교와 광주사범학교를 거쳐 1966년 연희전문학교(현 연세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했다.1955년〈조선일보〉신춘문예에 희곡 〈밀주〉가 가작 입선되고, 1956년 같은 신문에〈귀향〉이 당선됨으로써 본격적인 창작활동을 시작했다.6·25전쟁을 겪은 전후문학 세대로서 사회현실에 대한 풍자와 비판 의식이 강한 작품을 주로 발표했다.
김현
김 현 1942~1990
김 현은 1962년 서울대 불문학과 재학시절에 『자유문학』에 문학평론 「나르시스의 시론-시와 악의 문제」를 발표하여 문단에 등단했다. 동년 여름 우리나라 최초의 소설동인지 『산문시대』를 창간·주도했으며 이는 동인회 '68그룹' 결성과 1970년 가을 창간한 문학 계간지 『문학과지성』의 모태가 되었다.
그는 엄청난 독서량과 섬세하면서도 날카로운 작품 분석, 인문학 전반을 아우르는 드넓은 지적 관심, 그리고 명료하고 아름다운 문체로 비평을 창작에 기생하는 장르가 아니라 독자적인 문학 장르로 끌어올린 최초의 비평가로 평가되고 있다.김현은 살아생전 240여 편에 달하는 문학평론과 저서를 남겼으며, 1993년에는 문학과지성사에서『김현문학전집』전 16권이 발간되었다. 외국문학 논문상(1988), 제1회 팔봉비평문학상(1989) 등을 수상하였다.
문학길투어
목포문학산책 ‘목포문학길투어’
한국문학사를 빛낸 지역 대표 문학인들의 발자취를 찾아 떠나는 문학답사
목포문학길투어는 지역의 대표 문학인들의 생가, 작품배경지 등을 답사하고 문학작품과 연계한 작품공연을 함으로써 침체되어 있는 지역 문학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고 시민들에게 낭독 공연 감상 기회를 제공한다. 학생들에게는 문학 교육을, 관광객들에게는 문학관광상품으로 활용하며 지역 문학에 대한 자긍심을 고취하고 목포의 문학적 전통을 계승하는데 의의를 둔다.
※ 원활한 운영을 위해 필히 전화접수 후 서류 작성 요망
※ 참가서류는 이메일(mho730@korea.kr) 혹은 팩스 (061-270-8413) 전송
투어명 내용 및 코스
시화골목길 |
|
근대문학길 |
|
문학관탐방 |
|
시화골목길 세부 프로그램
시화골목길 세부 프로그램 안내표로 시간,활동명,활동내용,비고 항목으로 구성된 표시간활동명활동내용비고
총120 분 | 집합 : 연희네슈퍼 |
|
60 분 | 서산, 온금동 시화골목 투어 |
|
60 분 | 예술과 시의 만남 ( 나도 시인이다!) |
|
근대문학길 세부 프로그램
근대문학길 세부 프로그램 안내표로 시간,활동명,활동내용,비고 항목으로 구성된 표시간활동명활동내용비고
총120 분 | 집합 : 참사랑요양병원 |
|
120분 | 근대문학길 투어 |
|
문학관탐방 세부 프로그램
문학관탐방 세부 프로그램 안내표로 시간,활동명,활동내용,비고 항목으로 구성된 표시간활동명활동내용비고
총120 분 | 집합 : 목포문학관 로비 |
|
80분 | 목포문학관 해설 및 관람 |
|
20분 | 목포의 문학비 답사 |
|
20분 | 문학관 캐릭터 만들기 |
|
※ 상기일정은 조정될 수 있습니다.
목포문학길투어 신청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