솜 트는 기계 멈춰있는 집 앞의 목련나무 꽃송이 안으로부터 달이 솜털을 짜기 시작했나봐요 자동차 바퀴에 찍힌 고양이 울음소리도 되살아나요 솜이불을 짜는 소리 할머니의 귓바퀴에 감겨요
나는 벼락처럼 자라난 목련나무의 꽃과 달의 이빨들이 하나의 틀을 이루는 소리를 생각했어요
먹구름을 집어 삼킨 듯 검게 물드는 것들은 솜틀집 앞 배수구에 걸려있나봐요 그늘 쪽에 얼어있는 지난 봄눈 덩어리들이 아지랑이를 피워 올려요 아직 꽃샘추위는 발끝을 야금야금 베어 물고 있었죠
그러니까 목련들도 밤의 이불을 덮고 싶어 나뭇가지 침대에 꼭 맞는 그믐이 올 때까지
할머니의 꽃상여를 짜듯 깊은 어둠을 지우려고 달의 이불을 짜고 있나봐요
봄눈 녹자 귀신도 볼 수 있다는 물웅덩이엔 달과 목련과 거미가 한 가계(家系)에서 태어났다는 소문이 고여 있었어요 이불 한 채에 그려진 목련나무, 노란 나비들이 먼저 날아와서 날개를 풀고 있었어요
- 2015년 <진주가을문예> 당선작
* 당선 당시 안양예술고등학교 2학년 재학 중이었다. 그때 당시에는 천재시인의 탄생이라고 다들 감탄했다는데..
《 심사평 》
예심을 거쳐 열다섯 분의 작품이 올라왔다. 모두 나름대로의 발견과 인식은 있었으나 새로운 것을 찾기란 쉽지 않았다. 시 쓰기는 유행도 없고 왕도도 없다. 따라 쓰기도 흉내 내기도 용납하지 않는다. 어렵기 때문에 오히려 한번 겨뤄볼만한 일이다. 가을문예는 바로 그 길을 가는 등용문이다. 시인에게 발견이 새로운 가치라면, 신인을 발견하는 일도 새로운 가치라 할 수 있다. 그 가치란 신인답게 참신하고 패기 있으며 앞으로 진화할 가능성이 있는 작품을 뽑는 일이다. 그래서 수많은 시들 중에서 골라야 하는 고충을 뽑는다고 말할 것이다. 마지막까지 남은 시는 김성진의 '육분의 자리' 외 8편과 김미나의 '달과 목련과 거미의 가계'외 9편이다. '육분의 자리' 외 8편은 사물을 보는 시각이 남다르게 넓고 어떤 존재론적 고뇌와 성찰도 보였으나 시가 너무 직설적이어서 언어적 기량을 뛰어넘는 원초적 힘이 미흡한 점이 아쉬웠다. 그 점만 깊이 생각한다면 내적인 리듬이 묘한 울림을 주는 좋은 시를 쓰리라 믿는다. 반면에 '달과 목련과 거미의 가계' 외 9편은 우선 제목에서부터 개성이 묻어난다. 그 자체가 가볍게 자연과 하나의 지경을 이룬다. 발상이 참신하고 삶과 자연이 한데 어우러져 섬세한 언어로 아름다움을 만들어내고 있다. 상상력과 창의력이 돋보이면서 섬세하고 연연하다. 말에 정감이 있고 상상력의 발랄명랑함이 있다. 그럼에도 은은한 슬픔을 건네준다. 작위적이지 않고 상투적인 말도 없다. 그래선지 그의 시에는 현실 너머를 생각하게 하는 묘한 매력이 있다. 독자를 느껴져서 알게할 뿐 따라서 납득시키려 하지않는 것이 그의 장점이다. 앞으로 생의 성찰과 내공이 쌓인다면 매우 넓은 시의 지평을 가질 것이다. 야생의 향기를 오래 간직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