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子曰 以約失之者 鮮矣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매사를) 단속함으로 해서 실수한 사람은 드물다.”라고 하셨다.
○ 謝氏曰: “不侈然以自放之謂約.” 사씨가 말하길, “사치함(잘난 체함, 오만함)으로써 자신을 풀어버리지(방자, 방종) 않는 것을 約이라고 한다.”라고 하였다.
慶源輔氏曰 約與放相反 約則守乎規矩之中 放則逸乎規矩之外 경원보씨가 말하길, “約과 放(방자함)은 서로 반대되니, 約은 곧 법도 안에서 지키는 것이고, 放은 법도 밖으로 일탈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
2 | 尹氏曰: “凡事約則鮮失, 非止謂儉約也.” 윤씨가 말하길, “무릇 일을 요약(절제)하면, 잃는 것이(실수) 적으니, 검약(검소하고 절약함)을 말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라고 하였다.
朱子曰 約有收斂近裏著實之意 非徒簡而已 或曰 約恐失之吝嗇 曰 這約字只是凡事自收斂 주자가 말하길, “約에는 收斂(거두어들임, 조심함)과 近裏(내면에 가까움), 그리고 著實(착실함)의 뜻이 있으니, 그저 헛되이 간략할 따름인 것은 아니다.”라고 하였다. 혹자가 말하길, “約은 아마도 인색함에서 잘못될 것 같습니다.”라고 하였다. 말하길, “이 約자는 단지 凡事에서 스스로 거두어들인다(收斂)는 것일 뿐이다.”라고 하였다.
此約字是實字 若約之以禮 約其情 則約字輕 여기서의 約자는 實字(실질적 내용을 가진 글자)이니, 約之以禮(예로써 절제함)와는 같고, 約其情(그 정을 묶어서)이라면 約자의 비중이 작다. 問以約失之者鮮 凡人須要撿束令入規矩準繩 使有所據守 方少過失 或是侈然自肆 未有不差錯 曰 說得甚分明 혹자가 묻기를, “절제함으로써 실수하는 자는 드물다고 하였는데, 무릇 사람들은 반드시 자신을 검속하여 規矩準繩(법도와 원칙)에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의지하여 지킬 바를 갖게 해야만, 바야흐로 과실이 적어질 것입니다. 혹시라도 거만하고 스스로 방자하게 행동하면, 어긋나고 잘못되지 않은 경우가 일찍이 없었습니다.”라고 하였다. 말하길, “매우 분명하게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南軒張氏曰 凡人事事以節約存心 則有近本之意 雖未能皆中節而失則鮮矣 남헌장씨가 말하길, “무릇 사람이 일마다 절제하고 요약함으로써 마음을 보존한다면, 근본에 가깝다는 의미가 있으니, 비록 모두 다 節度에 들어맞을 수는 없다 할지라도, 잘못이라면 곧 드물 것이다.”라고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