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무늬표범-
동물농장에도 나온놈이죠
타이완표범, 타이완호랑이 또는 구름표범이라고도 한다. 몸길이 60∼100cm, 꼬리길이 60∼90cm, 몸무게 16∼23kg이다. 표범과 비슷하지만 조금 작다. 꼬리가 길고 네 다리는 짧다. 몸의 털은 회색 또는 황색 바탕에 검은 색의 구름 모양 얼룩무늬가 있다. 위턱 송곳니는 현저하게 길다.
나무 위에서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나무를 잘 타며 동작도 매우 민첩하다. 나무 위에서는 구름 모양의 얼룩무늬가 보호색의 역할을 하고 있다. 야행성으로서 원숭이 ·사슴 ·소 ·염소 ·조류 등을 잡아먹는다. 사람에게 습격하는 일은 거의 없다. 임신 기간은 약 90일이며, 나무의 빈구멍에 한배에 2~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털의 무늬가 매우 아름다워 많은 개체들이 희생되었다. IUCN에서 취약종(vulnerable)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국제자연보호연맹(World Conservation Union)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10,000개체도 채 남아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네팔 ·중국 남부 ·타이완 ·수마트라 ·말레이반도 ·보르네오 등지에 분포한다



-렛서팬더-
몸의 윗부분은 녹슨 듯한 색 혹은 밤색 등 중앙부분은 매우 어두운 색이다. 얼굴은 전체적으로 흰색, 눈 주위 어두운 색 반점. 귀 뒤쪽과 사지, 배부분은 갈색, 검붉은색 혹은 검은색.날카로운 발톱을 지녔다. 상황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발톱을 감추는 것도 가능하다. 암컷은 4개의 유두를 지닌다. 털 색이 매우 화려하며, 길고 거친 바깥 털과 빽빽한 솜털이 있어 추위를 잘 타지 않는다.
귀엽죠? 수명은 겨우 6~10년이래요.

-대왕고래-
흰긴수염고래 또는 흰수염고래라고도 부른다. 북반구에서는 몸길이 24∼26m, 몸무게 약 125t, 남반구에서는 최대몸길이 33m, 몸무게 약 179t이다. 영어명으로 블루 러퀄(Blue Rorqual)이라고도 한다. 붓으로 살짝 스친 것 같은 잔 무늬가 몸 전체에 흩어져 있다. 바닷속에서 헤엄치고 있는 것을 위에서 내려다보면 온몸이 청회색으로 보인다.
검은색의 수염이 있으며, 주둥이의 너비가 넓다. 호흡할 때 분기공(噴氣孔:분기가 뿜어져 나오는 구멍)으로부터 내뿜는 분기(噴氣:고래가 물 위로 떠올라 숨을 내쉬는 것)의 높이가 10~15m에 달한다. 먹이는 크릴새우(남극새우)만 먹는다. 임신기간은 1년이며, 늦가을에 새끼를 낳는다. 어린 새끼의 크기는 7m이다.
2000마리남았습니다.


-설표-
첫번째 작은 어금니는 없거나, 발생초기에 없어졌거나 위축 되었다. 첫번째 작은 어금니가 없는 만큼 송곳니 주위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어져서 사냥시 먹이의 목덜미 깊숙한 곳까지 상처를 입힐 수 있다. 사냥시에는 목덜미의 측면을 물어서 경추 쪽에 상처를 입힌다. 망막이 잘 발달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생활이 자유롭다. 동공은 평소에는 둥근모양이지만 빛조절로 인해 줄어들면 삵이나 와일드캣같은 소형의 고양잇과 동물같은 경우 길쭉한 타원형으로 줄어들지만, 호랑이 같은 대형 고양잇과동물의 경우 작은 원형을 띤다. 수컷과 암컷은 몸무게에 차이가 있다. 수컷은 45~55kg, 암컷은 35~40kg 정도이다.새끼는 보통 2~4마리 정도 낳는다.
민첩: 몸놀림이 가볍고 민첩해 15m 거리를 한번에 뛸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추위의 달인: 체구가 땅딸막해 체표면적이 좁고, 귀가 작고 둥글며, 몸 전체에 두터운 털이 나있어서 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발바닥에도 털이 나있어서 눈길이 많은 추운 고위도지방에서도 어려움 없이 살수 있다.
꼬리를 담요로!: 꼬리가 길고 유연해 균형을 잡는데 유용하게 쓰인다. 또한 꼬리가 털로 덮혀있어 잠잘 때는 이를 얼굴에 대고 담요처럼 사용하기도 한다.
멸종위기동급이 판다와 동급이랍니다


-판다-
털색은 흰색, 눈 주변, 양 어깨, 다리, 귀는 검은색
크기 1200~1500mm. 어깨높이 750mm. 꼬리길이 127mm. 몸무게 75~160kg
권골궁과 저작근이 발달하여 다른 곰과 동물들에 비해 크고 둥근 얼굴을 지님.체형은 곰과에 속하는 다른 동물들과 비슷.눈 주위 검은 반점, 그리고 양 어께를 잇는 검은 무늬가 특징.
염소소리, 경적소리, 지저귀는 소리 등 다양한 소리를 낸다. 혼자 생활하지만 번식기가 되면 암수가 짝을 지어 다닌다.해발고도 2,700~3,900m 에 위치한 대나무가 무성한 산지에서 서식하나 겨울에는 동면은 취하지 않고 해발고도 800m 정도의 저지대로 내려온다. 굴이나 바위틈새, 안이 빈 나무에서 휴식을 취하기도 한다. 주로 땅 위 생활을 하지만 나무도 잘 탄다먹이로는 특히 직경 13mm 정도의 죽순을 선호한다. 그외에도 아이리스 등 여러 식물을 먹이로 하며 먹이가 부족한 시기에는 물고기나 설치류를 잡아 먹기도 한다
음 더있는데 기억이잘안나내요
위동물들은 전부 IUCN Red List 멸종위기종, CITES 부속서 1종 (멸종위기등급기준) 에 등록되있지요
첫댓글 어린 새끼의 크기는 7m이다.
1년도 안된놈이 나보다 더커 젠장할 포유류... 아 얘도 포유류구나
저 큰덩치로 고작 새우만 먹고 산다니...
헐 귀여워 ㅠㅠ
멸종위기동급이 판다와 동급이랍니다.<--- 오타인듯?
우와 암컷 하얀색 예쁘겠다
만마리밖에 ㅠㅠ 2천마리밖에 ㅠㅠ
.......................................................................... 고래사진에서 숨멎을뻔함 ㅠㅜㅠㅜㅠㅜ 이 미칠듯한 고래공포증 ㅠㅜㅠㅜㅠㅜㅠ 2000마리나 있다니 ㅠㅜㅠㅜ 헉 ㅠㅜㅠㅜ 숨넘어갈듯함 ㅠㅜㅠㅜㅠㅜㅠㅜ 진짜 고래 너무 무서운듯 ㅠㅜㅠㅜ 동물 그 자체를 보면 순한동물인데 ㅠㅜㅠㅜ 아 ㅜㅠㅜㅠㅜㅠ 아무튼 너무 무서븜 ㅠㅜㅠㅜㅠㅜㅠㅜㅠㅜㅠㅜㅠㅜ 숨이 안쉬어지는 느낌이야 ㅠㅜㅠㅜ
설표랑 렛서팬ㄷㅓ봐써요 우아악 대박
와 귀엽다 다들 ㅋㅋㅋㅋ랫서팬더 나뭇가지에 있는겈ㅋㅋㅋㅋㅋ
으으.. 멸종위기라니 ㅠㅠㅠ안타까울 따름 ㅠㅠ
코뿔새 바나나3개얹어놓은줄...
22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따먹고싶당 홀랑까서 냠냠
설표완전멋있당
흰수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으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근데 어떻게크릴새우만 골라서먹나여
수염으로 걸러서먹는다고 하던데용... 아닌가 ㅠㅠ
우리가 고구마 먹고 이로 찍-하고 장난으로 내뱉을 때처럼...물을 슈왁~하고 내뱉..는다고..알고 있는데; 그럼 크릴새우? 애ㅔ들만 걸러지는 듯~
바다에서는 같은 종류끼리 집단으로 헤엄쳐 다니잖아요. 크릴새우 무리가 헤엄치면 쫓아가서 먹는거죠.
키위가 없잖음 키위키위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아 귀여워 ㅠㅠㅠㅠㅠㅠ
어린새끼가 7m라니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