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주 예수 그리스도(마 5:18; 요 10:35)와 사도 바울(갈 3:6; 딤후 3:16)의 증거대로,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이다.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이며 우리의 신앙과 행위에 있어서 정확무오한 유일의 법칙이라는 고백은 우리의 신앙생활에 있어서 매우 기본적이고 중요하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 진술된 대로(1:8), 우리는 성경의 원본이 하나님의 감동으로 오류가 없이 기록되었고 그 본문이 “그의 독특한 배려와 섭리로 모든 시대에 순수하게 보존되었다”고 믿는다. 이것은 교회의 전통적 견해이다. 그러므로 구약성경에서 전통적 히브리어 마소라 본문을 중요히 여기며 야곱 벤 카임에 의해 편집한 제2 랍비 성경(봄버그판)을 표준적 본문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본다.
성경은 성도 개인의 신앙생활뿐 아니라, 교회의 모든 활동들에도 유일한 규범이다. 오늘날처럼 다양한 풍조와 운동이 많은 영적 혼란의 시대에, 우리는 성경으로 돌아가 성경이 무엇을 말하는지 묵상하기를 원하며 성경에 계시된 하나님의 모든 뜻을 알기를 원한다.
성경으로 설교할지라도 그것을 바르게 해석하고 적용하지 않으면, 말씀의 기근이 올 것이다(암 8:11). 오늘날 많은 설교와 성경강해가 있지만, 순수한 성경 지식과 입장은 더 흐려지고 있는 것 같다.
그러므로 오늘날 요구되는 성경강해는 성경 본문의 뜻을 명료하게 해석하고 적용하는 것일 것이다. 실상, 우리는 성경책 한 권으로 충분하다. 성도는, 유일한 선생님이신 성령의 지도를 구하며 성경을 읽어야 하고, 성경강해는 오직 작은 참고서로만 사용해야 할 것이다.
심히 부족한 종에게 지혜와 분별력과 간절함과 건강을 주시고 또 약한 남편을 위해 일평생 헌신한 아내를 주시고 또 많은 기도와 물질로 후원한 성도들과 합정동 교회를 주신 하나님께만 영광을 돌린다.
제목 차례
1장: 첫 번째 인구조사
2장: 진영들의 배열
3장: 레위 지파의 인구조사
4장: 레위 지파의 임무
5장: 의심의 소제
6장: 나실인
7장: 족장들의 봉헌예물
8장: 레위인의 성별
9장: 불기둥, 구름기둥
10장: 은나팔
11장: 백성의 불평과 메추라기
12장: 미리암의 비방
13장: 가나안 정탐
14장: 원망과 징벌
15장: 여러 법들
16장: 고라 일당의 반역
17장: 아론의 싹난 지팡이
18장: 레위 지파의 직무와 보수
19장: 부정 제거의 물
20장: 모세의 실수
21장: 불뱀 사건
22장: 모압 왕이 발람을 청함
23장: 발람이 이스라엘을 축복함
24장: 발람이 이스라엘을 세 번째 축복함
25장: 모압 여자들과 음행함
26장: 두 번째 인구조사
27장: 여호수아를 후계자로 세움
28장: 각종 절기의 예물 (1)
29장: 각종 절기의 예물 (2)
30장: 서원에 대한 법
31장: 미디안에 대한 보복
32장: 세 지파가 요단 동편 땅을 얻음
33장: 광야 노정
34장: 가나안 땅의 경계
35장: 도피성
36장: 여자 상속자의 결혼 문제
서론
민수기도 모세가 쓴 책이다. 민수기 1:1, “이스라엘 자손이 애굽 땅에서 나온 후 제2년 2월 1일에 여호와께서 시내 광야 회막에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 우리는 구약성경의 처음 다섯 권의 책이 모세의 저작임을 믿는다. 그것은 구약성경 전체와 정통 유대교의 전통과 예수 그리스도 자신과 그의 사도들에 의해 밝히 증거된다(출 24:4; 34:27; 민 33:1-2; 신 31:9; 수 1:7-8; 8:31-35; 왕상 2:2; 왕하 14:6; 대하 34:14; 스 6:18; 느 8:1; 13:1; 단 9:11-13; 말 4:4; 마 19:8; 막 12:26; 요 5:46-47; 7:19; 행 3:22; 롬 10:5 등).
모세는 구약의 처음 다섯 권의 책을 쓰기에 가장 적합하고 충분한 자격자이었고 그 시대도 그러하였다.
(1) 그는 고대 세계에서 찬란한 문화를 가졌던 애굽 18왕조 때에 궁중 교육을 받았으므로 책을 쓸 수 있는 충분한 훈련을 받았을 것이다.
(2) 그는 하나님의 계시와 족장들의 행적에 대한 풍부한 내용을 조상들로부터 구전(口傳)으로나 토판 같은 기록물로 전달받을 수 있었을 것이다.
(3) 그는 애굽에서 40년간과 시내 반도에서 40년간 생활하였으므로 그 지역들의 지형과 기후에 대한 상당한 지식을 갖고 있었을 것이다.
(4) 그가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애굽에서 나온 후 광야에서 생활한 40년의 기간은 다섯 권의 책보다 몇 배의 양의 책을 쓸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었다.
(5) 오늘날 고고학적 발굴에 의하면, 모세 시대는 여인들이 화장실 물품까지 기록할 수 있을 정도로 문화가 발달되어 있었다.
민수기의 히브리어 성경 명칭은 베미드바르(‘광야에서’)이다. 민수기는 애굽에서 나온 이스라엘 백성의 광야 40년간의 역사이다. ‘민수기’라는 명칭은 고대 헬라어 70인역(ajriqmoiv, ‘수(數)들’)과 영어성경의 명칭('Numbers')을 따른 것이다. 그것은 본서에 나오는 두 번의 인구조사 때문에(민 1, 26장) 붙여진 이름일 것이다.
민수기의 특징적 진리는 ‘사람의 전적 부패성’이다. 이스라엘 백성의 광야 40년간의 역사는 불신앙, 원망, 불평, 불순종의 반복된 역사이었다.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징벌하셨고 그들은 광야에서 유리하며 방황했다. 1-10장은 시내 광야에서의 일들, 11-21장은 모압 평지까지의 일들, 그리고 22-36장은 모압 평지에서의 일들을 증거한다.
본문 혹은 각주에 자주 사용된 약어
KJV | 영어 King James Version. |
NASB | 영어 New American Standard Version. |
NIV | 영어 New International Version. |
LXX | 고대 헬라어 70인역. |
Syr | 고대 수리아어역. |
It | 고대 라틴어역. |
Vg | 고대 라틴어 Vulgate역. |
BDB | Brown-Driver-Briggs, Hebrew Lexicon of the O. T. |
KB | Koehler-Baumgartner, Lexicon in Veteris Testamenti Libros. |
Langenscheidt | Langenscheidt Pocket Hebrew Dictionary. |
NBD | The New Bible Dictionary. IVP. |
Poole | Matthew Poole, A Commentary on the Holy Bible |
JFB | Jamieson, Faussett, Brown의 주석. |
Harrison | R. K. Harrison, Introduction to the O. T. |